정치뉴스

북한, 나토 참석 윤 대통령 맹비난.."안보 위기 겪을 것"

 북한이 윤 대통령의 나토 정상회담 참가를 비판하며 한국이 '안보 위기'를 겪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조선중앙통신은 29일 김효명 북한협회 연구원의 이름으로 "아시아태평양은 북대서양이 아니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어 윤 대통령의 국제적 행동을 혹독하게 비판했다. 

 

기사에는 “이제 남한 당국자는 분노의 근원인 나토의 검은 손을 잡고 매우 고통스럽고 엄중한 안보 위기를 겪을 것”이라며 "장기적인 안보 불안정의 후유증에 시달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남조선 당국자가 나토의 그늘에 빠지면 안보 불안을 완화했다고 미국 상급자들에게 칭찬을 받을 수 있다고 오해할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두발을 불구덩이에 깊이 파묻고 있다”고 말했다. 

 

“NATO는 동유럽 분노의 주범이고, NATO 정상회의에서 채택 할 새로운 전략 개념에는 반중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미국과 한국은 한반도와 주변 지역에서 우리를 반대하는 군사적 움직임을 노골화하고 있는 점을 볼때 조만간 북대서양의 검은 파도가 태평양의 평온을 깨뜨릴 불길한 징후가 보인다."고 했다.

 

또한 언론은 미국이 주도하는 NATO의 목적은 중국을 억제하고 고립시키기 위해 환태평양 지역 포위망을 형성하는 것이며, 나토는 미국의 패권전략 실현의 도구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뒤에서 발목 잡더라"...이재명, 한미 관세협상 내부 압박 폭로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대통령실에서 직접 브리핑을 진행하며 한·미 관세협상 과정에서 겪었던 내부 압박의 어려움을 솔직하게 털어놓았다. 이 대통령은 협상 과정 내내 내부에서 "빨리 합의해라", "빨리 합의하지 못하면 무능한 것이다", "상대방 요구를 빨리 들어줘라"는 취지의 압박이 계속됐다고 밝혔다. 그는 이러한 내부의 압력이 협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참으로 힘들었다고 고백하며, 대외 협상에서 국내 정치적 입장 차이가 협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시사했다. 특히 미국이라는 강대국과의 협상에서 국익을 지키기 위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는 상황에서, 내부로부터의 성급한 합의 압박은 협상 전략을 수립하는 데 큰 장애물이었다는 점을 강조했다.이 대통령은 대외 관계에 있어서는 국내 정치적 입장이 다르더라도 국익과 국민을 위해 합리적인 목소리를 내주는 것이 필요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익에 관한 사안, 특히 대외 관계에 관한 문제를 정쟁의 대상으로 삼는 것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이 대통령은 일부에서 국익에 반하는 합의를 강제하거나, 협상이 실패하기를 기다렸다가 공격하려는 심사처럼 느껴지는 부당한 압력이 있었다고 언급했다. 이는 대외 협상이라는 민감한 사안에서도 국내 정치적 이해관계가 개입되면서 협상 당사자가 이중고를 겪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는 이러한 내부적인 압력이 없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분명히 전달하며, 초당적 협력의 필요성을 역설했다.이어 이 대통령은 "전면에서 정말 힘센 강자와 우리의 국익을 지키기 위한 협상을 하는데, 그것을 버티기도 힘든 상황"이라고 협상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그는 미국과 같은 강대국과의 협상에서는 상대방의 압박뿐만 아니라 국내 여론과 정치권의 압력까지 동시에 감당해야 하는 이중적 부담이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뒤에서 자꾸 발목을 잡거나 "왜 요구를 빨리 안 들어주느냐"고 압박하는 것은 참으로 견디기 어려웠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는 대외 협상에서 협상가가 최선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과 전략적 여유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정치적 압력이 이를 방해했다는 비판으로 해석된다.이번 이 대통령의 발언은 한·미 관세협상이라는 중요한 대외 협상 과정에서 국내 정치적 분열과 압력이 얼마나 큰 장애물로 작용했는지를 적나라하게 드러낸 것으로 평가된다.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내부 압박의 어려움을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은 이례적이며, 이는 향후 대외 협상에서 초당적 협력과 국익 중심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강하게 전달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또한 이번 발언은 정치권과 국민들에게 대외 협상의 복잡성과 어려움을 이해시키고, 성급한 판단이나 정치적 공세를 자제해달라는 호소의 성격도 담고 있다. 앞으로 유사한 대외 협상 상황에서 국내 정치권이 어떤 태도를 취할지가 주목되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