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뉴스

“입장부터 계산까지 40분!” 성심당 샌드위치 매장, 인기 폭발

 대전의 대표 빵집인 성심당이 샌드위치 메뉴의 인기에 힘입어 샌드위치를 주력으로 판매하는 전문 매장을 새롭게 개점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최근 성심당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에는 ‘샌드위치 정거장 오픈 현장’이라는 제목의 글과 영상이 게재되었으며, 이를 본 소비자들의 뜨거운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성심당은 지난 22일 대전 중구 대전 중앙역 인근 성심당 본점 지하에 샌드위치 전문 매장인 ‘샌드위치 정거장’을 열었다. 개점 이후 매장은 연일 방문객들로 북적이고 있으며, 다양한 후기와 반응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 많은 소비자가 “진짜 샌드위치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꼭 한번 먹어봐야 한다”며 호평을 아끼지 않았고, 일부 메뉴는 오픈 직후 빠르게 품절되며 인기를 실감케 했다. 특히 패스츄리 빵 안에 너비아니와 치즈, 양배추가 들어간 패스츄리 샌드위치와 올리브 포카치아 빵으로 만든 이탈리안 샌드위치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 외에도 양상추, 햄, 사과가 어우러진 애플브리치즈 샌드위치와 바게트 빵 사이에 잠봉햄과 버터를 넣은 잠봉뵈르 샌드위치도 대표 메뉴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폭발적인 관심만큼이나 불편함을 호소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매장이 빵집이 아니라 정글 같다”는 반응부터 “입장부터 계산까지 40분이나 걸렸다”는 불만까지, 오픈 초기 특유의 혼잡함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대해 성심당 측은 “많은 고객님이 관심 가져주시고 방문해 주셔서 너무나 감사하다”며 “아직 오픈 초기라 미숙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나, 최대한 빠르게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1956년 대전역 앞 작은 빵집에서 시작한 성심당은 대전의 대표 빵집으로 자리 잡으며 전국적으로도 큰 사랑을 받아왔다. 특히 ‘튀김소보로’, ‘부추빵’, ‘딸기시루케이크’ 등 특색 있는 메뉴로 유명세를 얻었으며, 최근에는 샌드위치 메뉴가 새로운 주력 상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샌드위치 정거장은 이러한 변화의 일환으로, 성심당이 빵집이라는 기존의 이미지를 넘어 다양한 메뉴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물로 평가받고 있다.

 

성심당의 샌드위치 전문 매장은 단순히 샌드위치를 판매하는 공간을 넘어, 대전 시민들과 관광객들에게 새로운 맛과 경험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폭발적인 인기에 따른 혼잡과 대기 시간 문제는 앞으로 성심당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성심당은 “고객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앞으로의 운영 계획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영원한 화학물질'이 당신 몸속에 쌓이고 있다...전문가가 경고하는 치명적 주방용품

 일상에서 무심코 사용하는 주방용품들이 우리의 건강과 환경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중년 여성 건강과 피트니스 전문가 크리스 프레이태그는 특히 주의해야 할 주방용품들과 그 대안을 제시했다.가장 대표적인 유해 주방용품은 논스틱 프라이팬이다. 대부분의 논스틱 팬은 PFC 계열의 '영원한 화학물질'로 코팅되어 있어 고온에서 유해 가스를 방출할 수 있다. 이 물질은 체내에 축적되어 갑상선 문제, 호르몬 불균형, 심지어 암 발병과도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전문가들은 세라믹 코팅 팬이나 스테인리스, 무쇠 팬으로의 전환을 권장한다.플라스틱 커피 캡슐 역시 위험 요소로 지목된다. 고온에 노출될 경우 환경호르몬을 포함한 유해 화학물질이 방출될 수 있으며, 대부분 일회용으로 사용되어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프렌치프레스나 스테인리스 재질의 리필 캡슐, 또는 캡슐이 필요 없는 커피머신이 더 안전한 대안이다.플라스틱 밀폐용기도 주의가 필요하다. BPA-free 표시가 있는 제품이라도 플라스틱 자체의 화학물질이 전자레인지나 고온에서 음식에 스며들 수 있다. 유리나 스테인리스 소재의 밀폐용기가 더 안전한 선택이다.플라스틱 도마는 사용 중 흠집이 생기기 쉬우며, 이때 미세플라스틱이 음식에 혼입될 위험이 있다. 일부 제품에는 항균처리를 위해 트리클로산과 같은 화학성분이 포함되기도 한다. 자연 항균 효과가 있는 나무나 대나무 도마가 권장된다.플라스틱 조리도구 역시 열에 노출되면 변형되거나 유해물질을 방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나무, 스테인리스, 고급 실리콘 소재의 조리도구로 대체하는 것이 좋다.알루미늄 포일은 산성이나 염분이 높은 식품과 함께 사용할 경우 알루미늄 성분이 음식으로 이행될 수 있다. 특히 반복 사용 시 노출량이 누적될 수 있어, 베이킹 시에는 유산지나 실리콘 매트를, 음식 보관 시에는 유리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일회용 위생봉투와 지퍼백은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이며, 화학물질 유출 가능성도 있다. 실리콘 재질의 다회용 보관팩이나 벌집 밀랍랩 등이 대안으로 제시된다.플라스틱 생수병도 반복 사용하거나 고온에 노출될 경우 미세플라스틱이 물에 섞일 수 있어 위험하다. 유리병이나 스테인리스 텀블러, 대용량 유리병이 더 안전한 대체재로 활용될 수 있다.식기세척기용 주방 세제와 캡슐 세제에는 합성향료, 염료, 인산염 등 화학성분이 포함된 경우가 많아 식기에 잔류할 수 있다. 식물성 원료 기반의 친환경 제품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주방 세정제 역시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인공향료 등이 포함되어 실내 공기질을 악화시키고 호르몬 교란 가능성이 있다. 천연 성분의 안전한 세정제나 식초, 베이킹소다, 에센셜 오일 등을 활용한 자가제조 방식이 확산되고 있다.전문가들은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주방용품의 재질과 성분을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건강과 환경을 지키는 첫걸음"이라며 "작은 실천이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유의미한 변화를 이끌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