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

뜨겁게 더 뜨겁게 '록 열대야' 속으로..

 인천 송도달빛축제공원에서 '인천펜타포트 록 페스티벌'이 개막하며, 록 음악 팬들을 맞이했다. 

 

2일 '인천펜타포트 록 페스티벌'은 19회를 맞이하며, 'K-록의 본고장'이라는 주제로 사흘간 열린다. 

 

올해 축제에는 세계적인 기타리스트 잭 화이트를 비롯해 다양한 국내외 밴드들이 참여한다. 

 

잭 화이트는 미국 출신으로 12회 그래미를 수상한 바 있으며, 그의 밴드 화이트 스트라입스의 유명 곡 '세븐 네이션 아미'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축제 이틀째 헤드라이너로 출연할 예정이며 중독적인 기타 리프 덕분에 팬들의 기대를 모은다.

 

미국의 펑크 밴드 턴스타일, 대만의 국민 밴드 파이어 이엑스,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오리사카 유타 등 세계 각국의 유명 아티스트들도 한국을 찾아 무대를 빛낸다. 특히, 브라질의 메탈 밴드 세풀투라는 이번 축제에서 고별 투어의 일환으로 마지막 공연을 펼친다.

 

축제의 마지막 날인 4일에는 한국 밴드 잔나비가 헤드라이너로 나선다. 잔나비는 2014년 신인 발굴 프로그램 '슈퍼루키'를 통해 처음 펜타포트에 출연했으며 10년 만에 다시 헤드라이너로 돌아오는 이번 무대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실리카겔, 라쿠나, 새소년, QWER, 아마도이자람밴드 등 다양한 한국 밴드들이 참여해 풍성한 라인업을 구성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번 펜타포트를 글로벌 축제로 선정하고, 해외 관광객 유치와 음악 교류를 지원하기 위해 향후 3년간 국비 2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축제 기간 동안 아시아 축제산업 관계자와 해외 음악산업 관계자들을 초청해 '펜타포트 쇼케이스'를 추진하며, 국제적인 음악 교류를 확대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외신과 해외 콘텐츠 창작자들이 축제 현장을 취재하고 알릴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하고 있으며, 내년부터는 해외 단체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여행 상품도 출시할 예정이다. 인천펜타포트 록 페스티벌은 이제 단순한 음악 축제를 넘어 국제적인 음악 교류의 장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리천장 깬 여성 감독들, 스릴러 판도를 바꾸다

 최근 한국 스릴러 드라마계에서 여성 감독들의 약진이 두드러지며 새로운 흐름을 만들고 있다. 현재 방영 중인 디즈니+ ‘북극성’(김희원 감독)과 SBS ‘사마귀: 살인자의 외출’(변영주 감독)을 비롯해 웨이브 ‘S라인’(안주영 감독), 넷플릭스 ‘당신이 죽였다’(이정림 감독) 등 주요 스릴러 작품들이 모두 여성 감독의 손에서 탄생했다. 이는 과거 로맨스나 가족 드라마에 주로 참여했던 여성 감독들이 대형 프로젝트와 스릴러 장르로 활동 영역을 넓히는 뚜렷한 변화다.특히 여성 감독들은 스릴러 장르에서 사건 자체보다는 인물의 내면 심리를 섬세하게 다루는 강점을 보여주고 있다. 충남대 윤석진 교수는 "통상 여성의 장르로 여겨지지 않던 스릴러에서 여성 감독의 강점이 드러나고 있다"고 평했다. 대중문화 평론가 김헌식은 "기존 스릴러가 사건 중심이었다면, 여성 감독의 스릴러는 여성 서사나 내면 심리 묘사에 충실해 좋은 결과를 내며 기회가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사마귀: 살인자의 외출’은 연쇄 살인마 엄마와 형사 아들의 심리적 공조를, ‘북극성’은 한반도 정세 스릴러에 로맨스를, ‘S라인’은 히키코모리 주인공의 심리를 깊이 있게 다룬다.이러한 변화에는 OTT 플랫폼의 영향도 크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넷플릭스 등 OTT 여성 가입자가 늘면서 과거의 잔인하고 거친 스릴러보다 심리 묘사가 풍부한 작품들이 인기를 얻게 된 것이다. 윤석진 교수는 스릴러가 감성과 정서가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장르임을 강조하며, 여성 연출자들의 성공 사례가 누적되며 업계 인식이 변화했다고 설명했다.대중문화 평론가 하재근은 "사람 간의 관계가 섬세하고 깊이 있게 표현되는 한국형 스릴러 탄생에 여성 감독들이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며, 국내 대중문화 산업에서 여성들의 지위 향상과 함께 다양한 시각과 감성의 작품이 나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다만, 김헌식 평론가는 기존 스릴러 문법과의 상호 보완을 통해 특정 성별의 서사에 치우치지 않는 보편적 스토리를 추구해야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여성 감독들의 활약은 국내 스릴러 장르의 지평을 넓히고 K-콘텐츠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