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OECD 평균 노동시간보다 130시간 많은 한국, 주4일제 시행에 과반수 찬성

 주 4일 근무제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직장인 10명 중 6명 이상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주 4일제 네트워크가 진행한 이 조사는 만 19세 이상 직장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찬성 비율은 63.2%에 달했다. 특히 정규직에서는 64.5%, 20대에서는 74.2%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주 4일제 도입 시범사업을 추진할 경우, 우선하여 개선해야 할 사업장으로는 열악한 환경의 교대제 사업장이 60.2%로 가장 높았다. 이어 산업재해 위험이 큰 사업장과 저임금 중소기업이 뒤를 이었다. 네트워크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와 이해당사자들에게 시범사업 추진의 필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해외 여러 선진국에서는 이미 주 4일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국내 대기업들도 이를 도입하는 상황이다. OECD에 따르면, 2023년 한국의 연간 노동시간은 1872시간으로 OECD 평균보다 130시간 많았다. 이에  직장인 10명 중 7명은 노동시간 단축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서는 법정 노동시간을 주 35시간 또는 36시간으로 조정하는 것에 대해 68.1%가 찬성했으며, 연차휴가 확대와 연장근로 한도 하향에 대해서도 높은 지지를 보였다. 특히 파견 용역 근로자의 81.8%가 노동시간 개편에 동의했다.

 

박 의원은 노동시간 단축이 시대적 흐름이라며, 이를 통해 저출생, 내수 경제 침체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토대로 9월 9일에 주 4일제 도입을 주제로 토론회가 열릴 예정이다.

 

김예지 향한 '찬탄' 낙인찍기?…장애인 비하 넘어선 국민의힘 내부 갈등

 국민의힘 내부에서 장애인 비하 및 당내 갈등으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이 나와 파장이 일고 있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17일, 박민영 미디어대변인이 최근 유튜브 방송에서 한 발언에 대해 엄중 경고 조치를 내렸다. 이번 논란은 박 대변인이 시각장애인인 김예지 비례대표 의원의 공천 과정과 그의 의정 활동을 원색적으로 비난하면서 시작되었으며, 당의 포용성과 당내 민주주의에 대한 심각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해당 발언이 단순한 개인의 의견 표출을 넘어, 당내 특정 계파의 목소리를 대변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과 함께, 사회적 약자에 대한 정당의 기본 인식을 보여주는 사례라는 비판이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논란의 중심에 선 박민영 대변인의 발언은 지난 12일 한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되었다. 그는 국민의힘 비례대표 공천 결과를 언급하며 "장애인 할당이 너무 많다"고 주장하는 한편, 김예지 의원을 직접 겨냥해 "눈이 불편한 걸 빼면 기득권"이며 "배려를 당연히 여긴다"고 평가했다. 발언의 수위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박 대변인은 김 의원의 의정 활동에 대해 "당론을 제일 많이 어기고, 배은망덕하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러한 표현들은 장애 자체를 폄하하는 것을 넘어, 한 인격체이자 동료 정치인에 대한 명백한 인신공격성 발언으로 해석되면서 즉각적인 논란을 불러일으켰다.박 대변인의 '배은망덕'이라는 표현은 김예지 의원의 과거 정치적 행보를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의원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정국 당시, 당내에서 '찬탄파', 즉 탄핵에 찬성하는 입장을 보인 소장파 의원 중 한 명으로 분류된 바 있다. 박 대변인의 발언은 이러한 과거 이력을 다시 수면 위로 끌어올려, 당의 주류 의견과 다른 목소리를 냈던 김 의원에게 정치적 낙인을 찍으려는 시도로 해석될 여지가 충분하다. 이는 결국 장애인 비하라는 표면적 문제 아래, 당내 노선 투쟁과 계파 갈등이라는 복잡한 정치적 역학 관계가 숨어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논란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자 박민영 대변인은 17일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사과의 뜻을 밝혔다. 그는 "과격하게 들릴 수 있는 표현에 대해서 사과드린다"고 고개를 숙였으나, 곧이어 "국민의힘 비례대표 당선권인 20번 미만에 장애인이 3명 배정된 걸 지적한 것"이라며 자신의 발언 취지를 재차 설명했다. 이는 표현 방식에 대한 사과일 뿐, 장애인 후보 공천이 과도했다는 자신의 핵심 주장은 철회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졌다. 결국 '반쪽짜리 사과'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되었으며, 이번 사태가 단순한 해프닝을 넘어 국민의힘의 쇄신 방향과 가치관을 시험하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