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뉴스

"우크라 광물은 우리 것"... 러시아vs미국 '자원 전쟁' 시작되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충격적인 '광물 외교'를 제안했다. 부동산 재벌 출신다운 '거래의 기술'을 국제 외교 무대에서도 펼치겠다는 의도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크라이나와의 새로운 거래를 추진하겠다"며 "우리의 군사 지원에 대한 대가로 그들이 보유한 희토류 광물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크라이나는 리튬, 우라늄, 티타늄 등 첨단산업의 핵심 원료인 희토류 광물의 보고(寶庫)로 알려져 있다.

 

이번 제안은 의외로 우크라이나 측에서 먼저 손을 내밀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최근 몇 달간 차기 미국 정부를 겨냥해 자국 방어가 미국의 경제적 이익과 직결된다는 점을 강조해왔다. 실제 우크라이나의 한 고위 관리는 "충분한 안보 보장"을 전제로 미국과의 희토류 거래에 협력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광물 외교'의 실현 가능성을 두고는 회의적인 시각이 지배적이다. 가장 큰 걸림돌은 러시아다. 현재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 동부의 주요 리튬 매장지 인근까지 진출해 있는 상태다. 전쟁의 와중에 광물 채굴이 가능할지도 의문이다.

 

법적·행정적 장애물도 만만치 않다. 우크라이나 기업인들과 정치인들은 최근 키이우에서 열린 회의에서 "광물의 실제 가치 평가를 위해서는 추가 탐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외국인 투자를 가로막는 각종 규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특히 이번 제안은 트럼프 특유의 '거래식 외교'의 전형을 보여준다는 평가다. 그는 이미 콜롬비아, 멕시코 등 동맹국들을 상대로 미국의 경제력을 지렛대 삼아 자신의 요구를 관철시켜왔다. 우크라이나발(發) 인도주의적 위기 속에서도 실리를 추구하는 모습이다.

 

한편, 트럼프는 러시아와의 협상 진전을 언급하며 회담 계획을 시사했으나, 러시아 측은 즉각 부인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미국으로부터 어떠한 접촉도 없었다"고 일축했다. 트럼프의 '광물 외교'가 또 하나의 '허언'에 그칠지, 새로운 외교 패러다임이 될지 주목된다.

 

트럼프 행정부에 '한국 때려라' 지시한 미 의원 43명... 한국계 의원도 가세

 미국 공화당 하원의원 43명이 한국의 온라인 플랫폼 규제법안을 겨냥해 한·미 무역협상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라고 트럼프 행정부 무역 협상 담당자들에게 강력히 촉구했다. 에이드리언 스미스 무역소위원회 위원장과 캐럴 밀러 의원 주도로 작성된 서한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등 협상 책임자들에게 전달됐다.이들은 서한에서 "한국 공정거래위원회가 추진하고 이재명 정부가 지지하는 법안이 미국 디지털 기업들만을 과도하게 규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해당 법안이 유럽연합의 '디지털 시장법'을 모방하고 있으며, 미국 기업들만 규제하고 바이트댄스, 알리바바, 테무 등 중국 대형 디지털 기업들은 제외해 "중국 공산당의 이익을 대변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의원들은 이런 차별적 규제로 인해 "데이터 보안과 허위정보 유포, 경제적 압박, 중국 공산당의 영향력에서 비롯된 산업 스파이 행위 등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한국계 영 김 하원의원도 이 서한에 서명했다.서한은 한국을 "매우 중요한 지정학적 동맹국이자 인도 태평양 경제 전략의 핵심 국가"라고 인정하면서도, "한국은 오랜 기간 경쟁법을 보호무역적 목적과 차별적 정책 추진의 수단으로 활용해 왔다"고 지적했다. 특히 "최근 몇 년간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런 목적을 달성하는 주요 수단으로 작용해왔다"고 비판했다.미국에서는 그동안 한국의 플랫폼법에 대한 반대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USTR은 지난 3월 발간한 '2025 국가별 무역장벽 보고서'에서도 한국의 온라인플랫폼 법안을 디지털 무역의 대표적 장벽으로 지목한 바 있다.이번에는 한미 간 무역협상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공화당 소속 의원 43명이 집단으로 행정부에 해당 사안을 해결하라고 요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는 여당 소속 의원 수십 명이 공동 서한을 통해 무역 상대국의 특정 법안을 직접 지목해 비판한 매우 이례적인 사례로, 플랫폼법 등 디지털 무역에 대한 미국의 압박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월스트리트저널(WSJ)도 미국 협상팀이 한국과의 무역협상에서 디지털 무역 이슈를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WSJ는 "한국이 미국 전자상거래 기업의 국내 영업에 대해 제안한 규제는 그리어 대표와 구글 등 미국 기업들의 분노를 불러일으켜 협상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미국 협상단은 지난달 말 워싱턴을 방문한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의 회담에서 디지털 무역 문제를 제기했지만, 협상 타결은 임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고 덧붙였다.이처럼 한국의 온라인 플랫폼 규제법안이 한·미 무역협상의 핵심 쟁점으로 부상하면서, 향후 양국 간 통상 관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