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NJZ 하니, '비자 문제' 70개 기사 폭탄... '심각한 권익 침해' 지적

 글로벌 K팝 그룹 NJZ(이하 뉴진스)가 멤버 하니의 비자 문제를 둘러싼 논란에 정면으로 대응했다. 소속사 어도어와의 갈등이 비자 문제로까지 확대되면서, 멤버들의 부모들이 직접 나서서 진실을 밝히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12일 뉴진스 부모들이 운영하는 SNS 계정을 통해 공개된 입장문에 따르면, 호주·베트남 이중국적자인 하니는 이미 지난 11일 적법한 절차를 통해 새로운 비자를 발급받은 상태다. 이는 최근 언론을 통해 제기된 '불법체류' 우려를 정면으로 반박하는 것이다.

 

특히 뉴진스 측은 어도어가 비자 문제를 빌미로 부당한 압박을 가했다고 폭로했다. 소속사 측이 어도어를 소속사로 기재한 연장 동의서 서명을 요구하며, 이를 거부할 경우 불법체류가 될 수 있다는 협박성 메일을 보냈다는 것이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당사자의 동의도 없이 개인정보와 서명이 포함된 서류를 관련 기관에 임의로 제출했다는 주장이다.

 

해외 국적 K팝 아이돌의 국내 활동을 위해서는 예술흥행(E-6) 비자가 필수적이다. 이 비자는 소속사와의 고용계약을 전제로 발급되며, 매년 갱신이 필요하다. 하니의 비자 만료를 앞두고 벌어진 이번 사태는 소속사와의 전속계약 분쟁이 맞물리면서 더욱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됐다.

 


뉴진스 측은 언론의 무분별한 보도 행태에도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바탕으로 '불법체류자'라는 민감한 표현을 남용하고,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비자 관련 정보가 무차별적으로 보도된 점을 지적했다. 특히 하루 동안 약 70개의 관련 기사가 쏟아진 것에 대해 "심각한 권익 침해"라고 비판했다.

 

더불어 이들은 비자의 종류와 만료 날짜 등 비공개 개인정보가 언론에 유출된 것과 관련해, 이는 "당사자가 아닌 어도어만이 제공할 수 있는 정보"라고 지목하며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한편 NJZ로 새 출발을 선언한 뉴진스는 3월 23일 홍콩에서 신곡을 발표할 예정이다. 어도어는 이들을 상대로 기획사 지위보전 가처분과 전속계약 유효확인 소송을 제기한 상태로, 양측의 법적 공방은 계속될 전망이다.

 

알고 보면 더 재밌다…영화 '어쩔수가없다'에 숨겨진 미친 상징들

 영화 '어쩔수가없다'가 관객들에게 N차 관람을 유도하는 숨은 디테일들을 공개하며 흥미를 더하고 있다. 박찬욱 감독의 작품답게 영화는 서사 곳곳에 의미심장한 상징과 장치를 배치해 관객들이 다채로운 해석을 내놓게 만든다. 모든 것을 다 이뤘다고 생각했던 순간 해고 통보를 받고 나락으로 떨어지는 가장 만수(이병헌 분)의 처절한 재취업 분투기를 그린 이 영화는, 그의 내면을 상징하는 정원의 식물부터 아이러니한 상황을 극대화하는 옛 가요, 인물들의 관계를 암시하는 의상에 이르기까지, 스쳐 지나가기 쉬운 모든 요소에 깊은 의도를 담아내며 작품의 완성도를 높였다.영화의 핵심적인 상징 중 하나는 만수의 정원 한가운데 자리한 '배롱나무'다. 박찬욱 감독은 근육질 몸을 연상시키는 단단하고 울퉁불퉁한 나무의 몸통과 굵은 가지가 주인공 만수를 떠올리게 해 이 나무를 선택했다고 밝혔다. 화려하고 아름다운 분홍색 꽃잎과 달리 비틀리고 거친 몸통을 가진 배롱나무의 모습은, 평온해 보이는 가장의 삶 이면에 숨겨진 만수의 고뇌와 거친 성장 과정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다. 여기에 '부귀'라는 꽃말은 그가 자신만의 전쟁을 치르면서까지 지키고자 했던 삶의 가치가 무엇인지를 함축적으로 보여준다. 심지어 정원 입구에 심어진 '위성류'라는 식물의 꽃말은 '범죄'로, 앞으로 만수에게 닥쳐올 파국을 암시하는 복선으로 작용하며 섬세한 연출에 감탄하게 만든다.영화의 또 다른 백미는 적재적소에 활용된 추억의 한국 가요들이다. 특히 만수와 범모(이성민 분), 아라(염혜란 분)가 치열한 몸싸움을 벌이는 난투 장면에서는, 극적인 상황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조용필의 경쾌한 노래 '고추잠자리'가 흘러나와 기이하고 아이러니한 웃음을 유발한다. 이는 박찬욱 감독 특유의 블랙 코미디가 돋보이는 장면이다. 또한, 비 내리는 거리에서 실의에 빠진 만수의 모습 위로 흐르는 김창완의 '그래 걷자'는 그의 자조적인 심정을 대변하는 듯한 가사로 씁쓸한 여운을 남기고, 범모와 아라 부부의 애틋한 과거를 장식하는 배따라기의 '불 좀 켜주세요'는 이들의 관계에 복잡한 정서를 더하며 극의 감정선을 한층 풍성하게 만든다.인물들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드러내는 의상 또한 놓쳐선 안 될 관전 포인트다. 만수의 아내 미리(손예진 분)와 범모의 아내 아라는 영화 속에서 동일한 디자인의 니트를 각각 파란색과 빨간색으로 입고 등장한다. 이는 비슷한 환경에 처해 있지만 전혀 다른 운명을 맞이하게 되는 두 인물의 상황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치다. 박찬욱 감독은 만수가 이들 부부를 보며 자신의 부부 관계를 반성하고 아내를 의심하게 되는 등, 타인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는 거울 같은 설정을 원했다고 밝혔다. 이처럼 '어쩔수가없다'는 감독이 세심하게 설계한 상징들을 발견하고 그 의미를 곱씹어볼 때 더욱 깊은 재미와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