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뉴스

젤렌스키, 트럼프 ‘희토류’ 협박에 단호히 거절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대해 희토류 자원의 50% 지분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과거의 군사적 지원을 상환하는 차원에서 제시된 조건이었다. 그러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를 거부하고, 더 나은 협상안을 찾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15일(현지 시간)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이 우크라이나와의 광물 협정에서 과거 군사적 지원에 대한 대가로 희토류 자원 50%를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NBC는 익명의 고위 미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 트럼프 행정부가 향후 우크라이나에 미군을 파견하는 대가로 이와 같은 요구를 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파이낸셜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미국은 구체적인 미래의 안보 지원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으며, 과거 지원에 대한 보상만을 강조했다고 한다.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지난 12일 키이우에서 젤렌스키 대통령과 회동하며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문서를 제시했다. 문서에는 미국이 우크라이나 자원을 확보하는 조건만 명시돼 있었고, 향후 안보 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 제안을 거부하고 "검토 후 상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후 14일 뮌헨안보회의에서 그는 미국의 제안을 "안보 협정이 아닌 각서"라며, 더욱 구체적인 안보 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젤렌스키는 광물 매장량에 관한 거래가 반드시 유럽연합(EU) 등 다른 국가들과의 협력도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래의 안보 보장을 위한 거래"를 원하며, 자원을 교환하는 개념을 지지하지만, 미국의 제안이 과거 지원만을 언급하고 미래 지원은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불만을 표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우크라이나의 희토류 광물을 5000억 달러에 인수하고자 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우크라이나가 사실상 이 제안에 동의했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러나 이에 대해 젤렌스키는 우크라이나가 미국의 군사적 지원 없이 생존하기 어렵다고 강조하며, 미국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기회는 있지만, 미국 정부 지원 없이 생존할 가능성은 작다"고 말했다.

 

젤렌스키는 14일 NBC의 ‘밋 더 프레스’ 인터뷰에서 이와 같은 어려움을 털어놓았으며, 그의 발언은 국제 사회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한편, JD 밴스 미국 부통령은 뮌헨안보회의 참석 전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에 미군 주둔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였다. 그러나 후에 그는 엑스(X, 구 트위터)를 통해 "미국 이익과 안보에 도움이 되지 않는 곳에 미군을 파견해서는 안 된다"고 입장을 번복했다.

 

현재 우크라이나는 미국과 유럽 간의 협상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려고 노력 중이다. 유럽연합(EU) 및 NATO 회원국들이 우크라이나의 장기적인 안보 보장 문제와 관련해 협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우크라이나의 자원을 둘러싼 협상이 국제적 주목을 받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희토류 관련 요구가 향후 우크라이나의 안보 상황과 어떻게 연결될지는 아직 미지수다.

 

삼성 몰락의 시작? SK그룹에 영업이익 왕좌 내주며 충격적 패배

 한국CXO연구소가 25일 발표한 2024년 그룹 총수 경영 성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최태원 회장이 이끄는 SK그룹이 지난해 그룹 전체 영업이익 부문에서 삼성을 근소한 차이로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이번 분석은 공정거래위원회 발표 기준 공정자산 규모 5조원 이상 92개 대기업 집단의 총수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SK그룹은 지난해 27조1,38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삼성의 27조352억원을 불과 0.4% 차이로 앞섰다. 이러한 결과의 결정적 요인은 SK하이닉스의 사상 최대 실적이었다. SK하이닉스는 21조3,314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려 삼성전자의 12조3,610억원보다 약 9조원이나 더 많은 성과를 거뒀다.그룹 전체 순이익 증가율에서도 SK그룹은 놀라운 성장세를 보였다. 2023년 6,582억원에서 2024년 18조3,595억원으로 무려 2,689.1% 급증하며 이 부문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반면, 이재용 회장의 삼성은 여전히 그룹 전체 매출(399조6,362억원), 당기순익(41조6,022억원), 고용(28만4,761명) 부문에서는 1위 자리를 지켰다. 삼성은 국내 최대 기업 집단으로서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지만, 영업이익 측면에서는 SK그룹에 근소하게 뒤처진 모습을 보였다.정의선 회장이 이끄는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그룹 매출(292조1,195억원), 당기순익(23조7,712억원), 고용(20만3,915명) 부문에서 모두 삼성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현대차그룹은 재작년에 그룹 전체 영업이익 1위를 차지했으나, 작년에는 18조5,333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SK와 삼성에 이어 3위로 밀려났다.그룹 매출 증가율 부문에서는 조현범 한국앤컴퍼니 회장이 1위를 차지했다. 한국앤컴퍼니그룹은 지난해 한온시스템을 인수하면서 매출이 전년의 4조2,239억원에서 8조4,668억원으로 1년 새 100.4% 증가하는 놀라운 성장을 보였다.영업이익 증가율에서는 박정석 고려에이치씨 회장이 1위를 차지했다. 고려에이치씨는 고려해운의 실적 개선 등에 힘입어 그룹 영업이익이 2023년 453억원에서 2024년 7,029억원으로 1,450.3%나 급증했다.수익성 측면에서는 장병규 크래프톤 의장이 돋보였다. 크래프톤은 지난해 그룹 영업이익률 43.9%, 순이익률 50%라는 높은 수치를 기록하며, 이 두 부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이번 분석 결과는 국내 주요 기업 집단들의 경영 성과와 경쟁 구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특히 SK그룹의 약진과 반도체 산업의 영향력이 두드러진 한 해였음을 시사한다. 또한 한국앤컴퍼니와 고려에이치씨 같은 중견 그룹들의 성장세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