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모바일로 쉽게 '전월세 대출 갈아타기' 개시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 등 핀테크 업계가 '전월세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31일 출시했다. 앞으로는 금융사 지점을 방문할 필요 없이 핀테크 앱에서 여러 금융사의 금리를 비교하고 손쉽게 갈아탈 수 있다.카카오페이가 출시한 '전월세 대출 갈아타기'에는 NH농협은행,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IBK기업은행, 경남은행 총 6개 금융사가 함께한다. 우리은행도 추후 입점 예정이며 인터넷은행 2개사도 입점을 협의하고 있다. 카카오톡이나 카카오페이앱의 '대출' 영역에서 만나볼 수 있다.
네이버페이는 케이뱅크와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IBK기업은행, 경남은행 등 6개 금융사와 함께 '전월세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준비했다. 네이버페이 '금융상품' 탭의 '대출' 메뉴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네이버에서 '네이버페이 전월세 대출 갈아타기' 검색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금융 서비스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이하 토스)는 '전세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준비를 앞두고 알고리즘 검증사인 코스콤으로부터 '이해상충 방지 알고리즘 인증 확인서'를 받았다. 토스는 케이뱅크, 신한은행, 하나은행 등 3개 금융사와 제휴해 서비스를 지원한다. 토스에서 '전세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토스 앱 내에서 '대출' 영역에서 '전세대출 갈아타기'에서 확인가능 하다.
대출 중개·관리 핀테크 기업인 핀다도 우리은행, 전북은행과 함께 '전세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마련했으며,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등 정책금융상품은 서비스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번 서비스 출시로 이들 플랫폼과 금융회사 앱을 통해 은행 18개사, 보험 3개사의 전월세 대출을 갈아탈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