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동두천 '성병관리소' 보존 촉구

 김 씨(67·여)는 1976년 열아홉에 미군 장교 클럽 광고를 보고 소개업자에게 속아 기지촌 성매매 업소에 들어갔다. 그는 2년간 일하며 많은 빚을 지게 되었고, 미군 병사와 결혼해 미국으로 이주했다. 그러나 동두천 기지촌에서 성병관리소에 강제로 끌려가 페니실린 주사를 맞는 등 고통스러운 경험을 했다.

 

동두천 성병관리소는 1973년부터 1996년까지 운영되며 기지촌 여성들을 강제로 격리하고 성병 검사를 시행한 곳으로, 국가가 성매매를 조장한 증거로 남아 있다. 

 

현재 동두천시는 이 성병관리소를 철거하고 관광 개발을 추진 중이며, 이에 대해 시민단체와 피해자들은 반발하고 있다.

 

김 씨는 성병관리소의 보존을 주장하며, 자신의 과거가 잊히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표현했다. 그는 기지촌 여성들이 겪었던 고통을 기억하고, 이를 후세에 남기고 싶다고 밝혔다. 

 

현재 동두천 성병관리소는 철거 위기에 처해 있으며, 김 씨와 시민단체는 이곳을 근현대문화유산으로 보존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결국 따로 만났다…뉴진스 민지·다니엘, 어도어와 '복귀 조건' 첫 대면

 그룹 뉴진스와 소속사 어도어 사이의 갈등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멤버 민지와 다니엘이 최근 어도어 측과 개별적으로 만나 면담을 진행한 사실이 확인되면서, 완전체 복귀를 향한 조심스러운 첫발을 내디뎠다. 이번 면담은 앞서 세 멤버가 변호인을 통해 일방적으로 복귀 의사를 밝힌 것에 대해, 어도어가 멤버들의 진의를 직접 확인하고 향후 활동에 대한 서로의 입장을 조율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양측은 이 자리에서 복귀를 위한 구체적인 전제 조건과 향후 활동 환경 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얼어붙었던 관계가 해빙 무드로 접어들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다만, 현재 개인 일정으로 남극에 체류 중인 것으로 알려진 하니는 아직 면담에 참여하지 못해, 완전체 복귀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이번 개별 면담이 성사되기까지의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앞서 뉴진스는 소속사 어도어를 상대로 제기한 전속계약 유효확인 소송 1심에서 패소했으며, 항소를 포기하며 법원의 판결을 받아들였다. 이후 멤버 해린과 혜인이 가장 먼저 부모님과 함께 어도어와 충분한 논의를 거쳐 복귀를 결정하고, 소속사를 통해 공식적으로 입장을 발표했다. 그러나 민지, 하니, 다니엘은 해린, 혜인과는 다른 방식을 택했다. 세 사람은 어도어와의 직접적인 소통 없이 법률 대리인을 통해 "신중한 상의 끝에 어도어로 복귀하기로 결정했다"고 통보하며, 소속사가 회신이 없다는 내용을 덧붙여 양측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음을 암시했다.세 멤버의 갑작스러운 복귀 선언에 어도어 측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며 "멤버들의 진의를 확인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일방적인 통보만으로는 진정한 복귀 의사를 파악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에 어도어는 "원활한 논의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멤버들과의 개별 면담을 공식적으로 제안했고, 이번 민지와 다니엘의 만남을 시작으로 양측은 비로소 마주 앉아 대화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는 단순히 소속사로 돌아오는 것을 넘어, 갈등의 앙금을 털어내고 향후 활동을 함께하기 위한 신뢰를 회복하는 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하는 대목이다.이제 가요계와 팬들의 시선은 남은 멤버 하니의 면담 일정과 전체 논의 결과에 쏠리고 있다. 이번 개별 면담을 통해 뉴진스 멤버들과 어도어가 서로의 입장을 얼마나 이해하고, 완전체 활동 재개를 위한 합의점을 찾아낼 수 있을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한때 해체설까지 불거지며 위기를 맞았던 뉴진스가 극적인 갈등 봉합을 통해 다시 한번 다섯 멤버가 함께 무대에 서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지, 그들의 향후 행보에 대한 대중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