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뉴스

'불닭' 하나로 농심 제쳤다! 삼양식품, '라면 신흥 강자' 등극

 한국 라면 시장의 판도가 극적으로 뒤바뀌고 있다. 40년 넘게 국내 라면 시장을 장악해온 농심이 단일 제품의 파격적인 성공으로 급부상한 삼양식품에 수익성 측면에서 완전히 추월당한 것이다.

 

16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삼양식품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3442억원을 기록, 농심(1631억원)의 두 배를 훌쩍 뛰어넘었다. 특히 농심의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3.1% 감소한 것과 대조적으로, 삼양식품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업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더욱 놀라운 것은 시가총액의 차이다. 삼양식품은 6조1997억원으로, 농심(2조1228억원)의 약 3배에 달하는 기업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이는 신라면, 짜파게티, 너구리 등 국민적 스테디셀러를 보유한 농심의 위상을 고려할 때 상상하기 어려운 반전이다.

 

이러한 극적인 역전극의 주인공은 다름 아닌 '불닭볶음면'이다. 2012년 출시된 불닭볶음면은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식문화 트렌드를 창출했다. 특히 SNS를 통해 퍼진 '불닭 챌린지'는 전 세계 젊은이들 사이에서 일종의 문화 현상으로 자리 잡았다. 유튜브와 틱톡에서 끊임없이 생산되는 도전 영상은 무료 마케팅 효과를 창출하며 브랜드 가치를 높였다.

 


미국, 중국, 동남아 시장에서 불닭볶음면은 단순한 라면을 넘어 'K-푸드'의 대표 주자로 자리매김했다. 현지 젊은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불닭볶음면을 먹는 것이 일종의 '쿨한' 문화적 행위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라면의 소비 패턴을 완전히 바꾸어 놓은 혁신적인 변화다.

 

삼양식품은 이러한 성공을 바탕으로 공격적인 확장에 나서고 있다. 오는 6월 밀양 2공장 가동을 앞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능력을 대폭 확충할 예정이다. 불닭볶음면의 성공 방정식을 다른 제품군으로 확대하려는 시도도 본격화하고 있다.

 

식품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역전극이 단순한 우연이 아닌, 글로벌 시장에 대한 차별화된 접근법의 결과라고 분석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삼양식품이 젊은 소비자들의 입맛과 문화적 트렌드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마케팅에 효과적으로 활용했다"며 "전통적인 방식을 고수한 농심과는 달리, 디지털 시대에 맞는 혁신적인 전략이 통했다"고 평가했다.

 

이제 관심은 농심의 대응 방향에 쏠리고 있다. 여전히 매출액에서는 농심이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수익성과 성장성 측면에서 확연한 열세를 보이고 있어 전략적 변화가 불가피해 보인다. 한국 라면 시장의 새로운 지형도가 그려지고 있는 것이다.

 

아시아에선 오직 그뿐…지드래곤, '21세기 패션 아이콘'으로 세계가 인정

 가수 지드래곤이 자신의 이름값을 또 한 번 세계 무대에 증명해냈다. 최근 2025 APEC 정상회의 만찬에서 갓을 쓴 파격적인 모습으로 공연을 펼치며 화제의 중심에 섰던 그가, 이번에는 미국 유력 패션 미디어 '컴플렉스'가 선정한 '21세기 베스트 드레서' 명단에 아시아 아티스트로서는 유일하게 이름을 올리는 기염을 토했다. 카니예 웨스트, 리한나, 퍼렐 윌리엄스, 데이비드 베컴 등 전 세계 패션계를 움직이는 거물들과 나란히 16위에 선정된 것은 그의 영향력이 단순히 국내나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최상위 수준임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쾌거라 할 수 있다.컴플렉스 측은 지드래곤을 향해 "K팝이 세계적인 신드롬이 되기 이전부터 패션의 기준을 세운 인물"이라며 "언제나 트렌드보다 한발 앞서 나갔다"는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이는 그가 단순히 유행을 따르는 스타가 아닌, 스스로 유행을 창조하고 이끌어가는 선구자적 위치에 있음을 명확히 한 평가다. 또한 "데뷔 후 20년 가까이 흐른 지금도 K팝 스타일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경계를 허물며, 패션을 자기표현의 형태로 바라보도록 한 세대 전체에 영감을 주고 있다"고 덧붙이며 그의 꾸준하고 깊이 있는 영향력을 상세히 조명했다. 한 시대의 아이콘을 넘어, 다음 세대에게까지 영감을 주는 살아있는 전설로 평가한 것이다.실제로 지드래곤의 지난 20년은 그 자체가 하나의 패션 역사였다. 데뷔 초부터 알렉산더 맥퀸의 스컬 스카프나 꼼데가르송, 나이키 에어 모어 업템포 등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아이템들을 완벽하게 소화하며 하이패션과 스트리트웨어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었다. 이러한 독보적인 감각은 2016년 샤넬의 첫 아시아 남성 글로벌 앰배서더 발탁으로 이어졌고, 현재까지 그 관계를 공고히 유지하며 패션계에서의 그의 위상을 증명하고 있다. 나이키 등 글로벌 브랜드와의 협업 제품들은 출시와 동시에 품절 대란을 일으키며 세계적인 트렌드가 되었고, 이는 '지드래곤'이라는 이름이 가진 막강한 브랜드 파워를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다.특히 지드래곤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는 남성 아티스트에게는 금기시되던 '젠더리스' 스타일을 수면 위로 끌어올려 주류 트렌드로 안착시킨 것이다. 스커트나 화려한 액세서리, 여성복 라인 등을 과감하게 시도하는 그의 모습은 성별의 경계를 허무는 새로운 스타일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럭셔리 브랜드들이 K팝 아티스트들과 본격적으로 협업하는 흐름을 촉발시킨 기폭제가 되었다. 이번 컴플렉스의 선정은 이처럼 지난 20년간 지드래곤이 패션과 문화 전반에 걸쳐 쌓아 올린 혁신적인 발자취와 독보적인 영향력이 세계 시장에서 다시 한번 공식적으로 공인받은 상징적인 사건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