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뉴스

시간이 쏜살같다고 느껴진다면?"… 뇌 속 '시간세포' 깨워라

 "시간이 너무 빨리 가요." 나이가 들수록 누구나 한 번쯤 공감하는 말이다. 

 

어린 시절에는 한없이 길게만 느껴졌던 시간이 어른이 되면 마치 쏜살처럼 흘러가는 것처럼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최근 노화와 체감 시간의 상관관계를 뇌 과학적으로 규명한 연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프랑스 심리학자 폴 자네는 일찍이 '자네의 법칙'을 통해 심리적 시간이 연령에 반비례한다는 사실을 주장했다. 1세 아동에게 1년은 365일 그 자체이지만, 20세에게는 18.3일, 40세는 9.1일로 그 길이가  줄어든다는 것이다. 50세가 되면 1년이 고작 일주일(7.3일)처럼 느껴지고, 80대 이상에게 1년은 4.6일에 불과하다는 분석은 실로 놀랍다.

 

그렇다면 왜 나이가 들수록 시간이 빨리 흐르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일까? 그 비밀은 바로 우리 뇌 속에 존재하는 '시간 세포'에 있다. 도호쿠대 약학부 사사키 다쿠야 교수는 "뇌 해마에 위치한 시간 세포는 외부 정보를 많이 받아들일수록 시간이 천천히 흐르는 것처럼 인식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어린 시절에는 모든 것이 새롭고 낯설기 때문에 뇌가 활발하게 활동하며 수많은 정보를 받아들인다. 새로운 경험, 새로운 지식, 새로운 감정들이 시간 세포를 자극하며 시간의 흐름을 늘리고 기억을 선명하게 새기는 것이다.

 

반면, 나이가 들면서 새로운 경험이 줄어들고 익숙한 일상이 반복되면 뇌 활동량이 감소하고 시간 세포 역시 활발하게 움직이지 않게 된다. 마치 오래된 시계가 느리게 가는 것처럼, 시간 세포의 활동 저하는 체감 시간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과도한 사용은 시간 세포의 활동을 방해하는 주범으로 꼽힌다. SNS, 웹서핑 등 자극적인 콘텐츠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뇌는 피로감을 느끼고, 시간 세포는 무뎌진다. 단순히 화면을 스크롤하는 수동적인 활동은 새로운 정보 처리를 위한 뇌 활동을 저해하고, 결과적으로 시간에 대한 감각을 둔화시킨다.

 

전문가들은 시간을 풍요롭게 느끼기 위해서는 뇌를 자극하고 새로운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여행, 독서, 학습 등 뇌를 활성화하는 활동은 기억 형성을 촉진하고 시간 세포를 깨워 체감 시간을 확장시키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일상 속에서도 작은 변화를 통해 시간을 확장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닛케이는 “매일 같은 길로 출퇴근하는 대신 새로운 경로를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하루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시간을 더욱 의미 있게 보낼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익숙한 공간에서 벗어나 새로운 풍경, 새로운 소리, 새로운 사람들과 마주하는 것은 잠들어 있던 시간 세포를 일깨우는 좋은 방법이다.

 

시간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주어지지만,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그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뇌 속 시간 세포를 깨워 시간을 능동적으로 경험하고 기억에 남는 순간들로 채워나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울프독', 83억 거래..세계에서 가장 비싼 개로 기록

 세계에서 가장 희귀한 개로 알려진 ‘울프독’이 570만 달러(약 83억 원)에 거래되며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 희귀한 품종은 인도 남부 카르나타카주 벵갈루루 출신의 유명 개 사육사 사티시(51)에 의해 새로운 주인을 만났다.20일 유로뉴스와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사티시는 지난달 미국에서 태어난 생후 8개월 된 울프독 ‘카다봄 오카미’를 데려오기 위해 570만 달러를 지불했다. 오카미는 늑대와 코카시안 셰퍼드의 혼혈로, 이전까지 한 번도 거래된 적이 없는 품종이다.오카미는 생후 8개월에 불과하지만 이미 키 76cm, 몸무게 74kg에 달하며 웅장한 외모와 독특한 유전적 배경으로 주목받고 있다. 사티시는 “나는 개를 좋아할 뿐만 아니라 독특한 개를 키워 인도에 소개하는 것을 즐긴다”며 “오카미를 데려오는 데 기꺼이 돈을 썼다”고 밝혔다.사티시는 이미 150종이 넘는 개 품종을 키워본 경험이 있으며, 오카미를 데려온 뒤 여러 행사장에 동행하며 인도 전역에 알리고 있다. 특히 영화 시사회에서 오카미와 함께 레드카펫을 밟은 영상은 온라인에서 30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큰 관심을 받았다.사티시는 10년 전 개 사육을 중단했지만, 현재는 오카미를 대중에게 보여주는 방식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희귀한 울프독을 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거액을 지불하고 있으며, 오카미의 행사 초대 비용은 30분에 2800달러(약 400만 원), 5시간에 1만1700달러(약 1700만 원)에 달한다.사티시는 오카미 외에도 중국 고유 견종인 ‘차우차우’를 키우고 있다. 차우차우는 ‘사자개’라는 별명을 가진 품종으로, 그는 지난해 이 개를 325만 달러(약 47억 원)에 데려왔다. 그는 “희귀한 개를 키우는 데 돈을 아끼지 않는다”며 “나와 나의 개들은 항상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이를 통해 충분한 수익을 올리고 있다”고 말했다.사티시의 개들은 약 2만8000㎡(약 8500평)의 넓은 농장에서 지내며, 여섯 명의 전담 관리자가 돌보고 있다. 또한, 도난과 위협에 대비해 3m 높이의 벽과 감시카메라(CCTV)를 설치하는 등 철저한 보안 조치도 마련되어 있다.사티시는 “개들이 걷고 달릴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며 “나와 나의 개들은 관객을 끌어들이는 특별한 재주를 가지고 있다”고 자부심을 드러냈다. 그의 희귀견에 대한 열정과 투자는 인도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큰 주목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