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뉴스

봉준호 감독 '미키 17' 북미 1위 했지만... 충격적 손실 입었다

 봉준호 감독의 신작 '미키 17'이 북미 박스오피스 정상에 올라 한국 영화계에 새 역사를 썼다. 지난 7일 개봉한 '미키 17'은 주말 사흘간 북미 3,807개 상영관에서 1,910만 달러(약 276억9천만원)의 티켓 수입을 올리며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고 9일(현지시간) 할리우드 주요 매체인 버라이어티와 데드라인 등이 일제히 보도했다. 한국 감독의 작품이 북미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봉준호 감독은 또 한 번 한국 영화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미키 17'은 북미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도 선전하고 있다. 북미 외 지역에서 3,420만 달러의 수입을 추가해 전 세계적으로 총 5,330만 달러(약 772억7천만원)의 흥행 수입을 기록했다. 특히 아시아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유럽에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영화의 수익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업계에서는 '미키 17'의 개봉 첫 주 북미 수입을 최대 2,000만 달러 수준으로 예상했으나, 실제 수입은 이에 약간 못 미치는 1,910만 달러에 그쳤다. 더욱이 투자배급사 워너브러더스 스튜디오가 투입한 제작비가 1억1,800만 달러(약 1,710억8천만원)에 달해, 현재의 흥행 추세로는 손익분기점 도달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버라이어티는 업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마케팅 비용으로 8,000만 달러(약 1,160억원)가 추가로 투입된 점을 고려하면, '미키 17'이 극장 개봉 기간 흑자를 내기 위해서는 전 세계에서 약 2억7,500만3억 달러(약 3,987억4,349억원)의 수익을 올려야 한다고 전했다. 이는 현재의 개봉 첫 주 성적을 감안할 때 상당히 도전적인 목표로 평가된다.

 


관객들의 반응도 예상보다는 다소 미온적이다. '미키 17'은 시장조사업체 시네마스코어의 현장 관객 대상 조사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B' 등급을 받았다. 시네마스코어의 영화 등급은 A부터 F까지 매겨지는데, 일반적으로 주요 흥행작들은 대부분 A 등급을 받는 것이 통상적이다. 미국의 영화·드라마 평점 사이트인 로튼토마토에서도 평론가 점수 79%, 일반 관객 점수 73% 수준을 기록하며 봉준호 감독의 전작인 '기생충'(평론가 99%, 관객 90%)에 비해 다소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

 

워너브러더스의 글로벌 배급 담당 제프 골드스틴 사장은 "(전 세계 수입) 5,300만 달러로 시작한 것은 좋은 숫자"라면서도 "비용과 비교할 때는 더 도전적이다"라고 언급해 수익성에 대한 우려를 간접적으로 인정했다. 그는 "영화의 품질과 봉준호 감독의 명성을 고려할 때 장기적인 흥행을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키 17'은 봉준호 감독이 '기생충'으로 아카데미 4관왕을 차지한 이후 처음 선보이는 신작으로, 에드워드 애슈턴의 SF 소설 '미키7'을 원작으로 한다. 영화는 우주 개척 임무 중 죽을 때마다 복제되어 기억을 유지한 채 부활하는 '소모품' 노동자 미키의 이야기를 그린다. 로버트 패틴슨, 스티븐 연, 나오미 아키, 토니 레볼로리 등 할리우드 스타들이 대거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영화계 전문가들은 '미키 17'의 흥행 부진 원인으로 다소 난해한 SF 설정과 철학적 주제를 꼽는다. 한 영화 평론가는 "봉준호 감독 특유의 장르적 실험성과 메시지가 일반 관객들에게는 다소 어렵게 다가갈 수 있다"며 "특히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에 익숙한 북미 관객들에게는 이 영화의 페이스와 톤이 예상과 달랐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개봉 시기도 흥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6월은 전통적으로 할리우드 여름 블록버스터 시즌이 본격화되는 시기로, '인사이드 아웃 2'와 '배드 보이즈: 라이드 오어 다이' 등 강력한 경쟁작들이 개봉을 앞두고 있어 '미키 17'의 장기 흥행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봉준호 감독의 국제적 명성과 작품성을 고려할 때 향후 해외 시장에서의 추가 성장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있다는 평가다. 특히 아시아 시장에서의 선전과 향후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한 2차 수익 창출 등을 통해 손익분기점에 근접할 가능성도 있다.

 

한국 영화계 관계자는 "비록 초반 흥행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지만, 봉준호 감독이 한국 감독으로서 북미 박스오피스 1위라는 전례 없는 기록을 세운 것 자체가 큰 의미가 있다"며 "이는 한국 영화의 글로벌 위상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 사례"라고 평가했다.

 

결국 또 일냈다…아이유가 조용히 세운 '소름돋는' 대기록의 정체

 가수 아이유의 거침없는 흥행 신화가 또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가요계를 넘어 대중문화계 전반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그녀가 또 하나의 기념비적인 기록을 추가하며 '아티스트'로서의 가치를 스스로 증명해냈다. 소속사 이담엔터테인먼트는 19일, 아이유의 여섯 번째 미니앨범 'The Winning'의 선공개 곡이었던 'Love wins all'의 뮤직비디오가 유튜브 조회수 1억 뷰를 돌파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로써 아이유는 '스물셋'을 시작으로 '밤편지', '팔레트', '삐삐', 'Blueming', '에잇', 'Celebrity', '라일락'에 이어 개인 통산 9번째 억대 조회수 뮤직비디오라는 눈부신 이정표를 세우게 됐다. 이는 그녀의 음악이 단순히 순간적인 유행에 그치지 않고, 시간을 뛰어넘어 꾸준히 사랑받는 생명력을 지녔음을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다.'Love wins all'이 처음 대중에게 공개되었을 때의 파급력은 실로 대단했다. 발매 직후 멜론, 지니, 벅스 등 국내 주요 음원 차트의 정상을 무섭게 석권했으며, 그 열기는 곧바로 전 세계로 확산되어 23개 지역 아이튠즈 톱 송 차트 1위라는 기염을 토했다. 특히 방탄소년단(BTS)의 뷔와 함께 출연하여 화제를 모았던 뮤직비디오는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연출한 엄태화 감독이 메가폰을 잡아 한 편의 영화 같은 서사와 압도적인 영상미를 선보였다. 두 최정상 아티스트의 처절하고도 아름다운 열연은 전 세계 팬들에게 깊은 감동과 울림을 선사했고, 이는 무려 73개국 유튜브 인기 동영상 1위라는 경이로운 결과로 이어졌다. 팬들 사이에서는 뮤직비디오 속 숨겨진 의미를 해석하는 'N차 시청' 열풍이 불었으며, 이러한 꾸준한 관심이 결국 1억 뷰 돌파라는 쾌거의 밑거름이 되었다.아이유의 신드롬은 과거의 기록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최근 발표한 신곡 '바이, 썸머' 역시 각종 음원 차트 1위를 휩쓸며 '아이유'라는 이름값을 톡톡히 해내고 있으며, 미국 유력 경제지 포브스는 그녀를 "K팝과 K드라마의 여왕"이라 칭하며 집중 조명하는 등 해외에서의 위상 또한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현재 더현대 서울에서 팝업스토어 'Found at Eight'을 성황리에 운영 중인 그녀는 차기작 드라마 '21세기 대군부인' 촬영에 매진하며 연기자로서의 변신도 준비하고 있다. 음악, 연기, 공연 등 자신의 영역을 끊임없이 확장하며 매번 기대를 뛰어넘는 결과물을 내놓는 아이유의 다음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