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대학들의 재정난 가중되자... 정부 일부 대학에 보조금 지원

정부는 16일 대학자치권을 발동하는 대학규제개혁안을 발표했지만 '뜨거운 감자'인 등록금 규제 완화는 포함하지 않았다. 

 

등록금이 14년째 그대로 유지되면서 대학들의 재정난은 가중되고 있다. 

 

한편 등록금 규제 완화가 고금리·고물가에 시달리는 서민들의 경제에 부담을 가중시키고 기부 입학제 등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교육용 교과서 비과세 일몰제 폐지 등에 따른 세금 폭탄과 내년 12만 명 추가 감원 등으로 대학 재정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 우려된다. 

 

전문가들은 대학의 재정난이 각종 시설·장비·인력에 대한 투자 감소로 이어져 필연적으로 고등교육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진다고 지적한다.

 

등록금 동결에 대한 교육계의 반발이 거세지자 정부가 임시방편을 내놨다. 

 

11월에는 초·중·고교 교육에만 쓸 수 있는 보조금 중 일부를 대학에 지원할 수 있도록 지방교육재정지원을 개편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경찰 출동시킨 부장판사 3인방, 법원의 징계는 '경고'가 전부?

법을 수호하고 사회의 귀감이 되어야 할 현직 부장판사들이 근무 시간에 버젓이 술판을 벌이고 노래방에서 소란을 피워 경찰까지 출동하는 일이 벌어져 충격을 주고 있다. 심지어 이들 중 한 명은 변호사에게 회식비 후원을 요구했다는 의혹까지 제기되며 사법부에 대한 신뢰가 바닥에 떨어졌다는 비판이 나온다.사건은 지난해 6월 제주지방법원에서 발생했다. 부장판사 3명은 동료 행정관의 송별회를 이유로 근무 시간에 술을 마신 뒤 노래방으로 향했습다. 하지만 이들은 술 냄새가 난다는 업주의 퇴실 요구에 불응하고 버티며 소란을 피웠고, 결국 경찰이 출동해 상황을 수습해야 했다. 이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자 법원 감사위원회는 지난달 26일, 해당 부장판사 3명에게 '품위유지의무 위반'으로 '경고' 처분을 내렸다. 이흥권 제주지방법원장 역시 "국민께 심려를 끼쳐 무거운 책임을 통감한다"며 공식 사과하고 '엄중한 주의 촉구 처분'을 내렸다고 밝혔다.하지만 논란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음주 소란을 피운 부장판사 중 1명은 과거 변호사들에게 재판부 회식비 명목의 후원을 요구했다는 의혹으로 대법원에 진정서가 제출된 인물인 것으로 드러났다. 법관의 도덕성에 치명적인 흠결이 연이어 드러나면서, 법원의 '제 식구 감싸기'식 솜방망이 징계로는失墜한 신뢰를 회복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거세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