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화제

전세계를 '놀라게' 한 '월드클래스' 손흥민

 토트넘 홋스퍼에서 승리를 거머쥔 손흥민이 경기 외적인 모습으로 외신 언론에 칭찬받았다. 

 

영국 매체 더선은 "토트넘 주장 손흥민이 경기가 종료된 후 경기장에 떨어진 쓰레기를 직접 줍는 모습을 보여 솔선수범했다"고 보도했다.

 

유명인의 신분이기에 청소부나 관리자에게 처리를 맡기는 방법도 있었지만, 그런데도 본인이 직접 주워서 문제를 깔끔하게 해결한 것이다.

 

SNS를 통해 공개된 영상에서 경기를 마친 손흥민이 승리의 기쁨을 팀원들과 나눈 후, 경기장에 떨어진 쓰레기를 주워 깨끗한 현장을 만들고 나서야 라커룸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손흥민은 이날 진행한 경기에서 159골을 기록하여 구단 통산 득점 순위에서 공동 5위에 올랐고, 팀 내에서는 득점과 도움 모두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흉작에 '관세 폭탄'까지…美 커피값, 트럼프가 불 지피고 브라질이 기름 부었다

 미국인들의 아침을 깨우던 커피 한 잔의 여유가 값비싼 사치가 되어가고 있다. '커피플레이션(Coffeeflation)'이라는 신조어가 현실로 다가오면서, 미국 전역의 소비자들이 가파르게 치솟는 커피 가격에 비명을 지르고 있다. 단순한 물가 상승을 넘어, 이는 기후 변화와 보호무역주의라는 두 개의 거대한 파도가 동시에 덮친 결과물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미국 노동부 노동통계국이 현지시간 11일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이러한 위기 상황을 수치로 명확히 보여준다. 8월 커피 가격은 불과 1년 전보다 무려 21%나 폭등했다. 이는 파이낸셜타임스(FT)의 보도에 따르면 1997년 이후 거의 25년 만에 가장 가파른 상승세로, 시장에 엄청난 충격을 던졌다. 이제 식료품점에서 판매되는 원두커피 가루 가격은 파운드당 8.87달러(약 1만 2,300원)라는 사상 최고치 꼬리표를 달게 되었다.이러한 가격 폭등의 근본적인 원인은 세계 최대 커피 생산국인 브라질을 덮친 최악의 흉작에서 찾을 수 있다. 기후 변화로 인한 이상 기후가 커피 농장들을 강타하면서 글로벌 커피 공급망 전체가 흔들리기 시작했다. 베트남, 콜롬비아 등 다른 주요 커피 생산국들도 공급 부족분을 메우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그런데 여기에 기름을 부은 것은 바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 정책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월, 이미 작황 부진으로 신음하던 브라질을 향해 50%라는 징벌적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조치는 미국 내 커피 업체들의 비용 부담을 임계점까지 밀어 올리는 결정타가 되었다.관세의 여파는 수입 물량 데이터에서 즉각적으로 드러났다. 해운 데이터 업체 비지온(Vizion)에 따르면, 올해 들어 브라질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커피 원두 물량은 이미 평년의 절반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특히 관세 부과 발표의 영향이 본격화된 8월에는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 무려 75% 이상 물량이 급감하는 기현상까지 벌어졌다. 사실상 브라질산 커피의 미국행 뱃길이 막혀버린 셈이다.더 큰 문제는 아직 진짜 위기가 시작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ING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테이스 예이예르는 "지금까지는 기존 재고가 충격을 어느 정도 완화해주고 있었지만, 미국인들이 평소처럼 커피를 마신다면 재고는 금방 바닥을 드러낼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추가 수입이 절실하지만, 문제는 '어디에서 그 물량을 조달할 것인가'이다"라며 공급망 붕괴의 심각성을 지적했다.또한, 브라질 항구에서 선적된 커피가 미국 항구에 도착해 로스팅 과정을 거쳐 소매 매장에 깔리기까지는 물리적인 시간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50% 관세의 파괴력이 소비자 가격에 온전히 반영되는 시점을 오는 10월이나 11월로 예측하고 있다. 즉, 지금의 가격 상승은 '예고편'에 불과할 수 있다는 암울한 전망이다.상황이 이렇자, 미국 식료품 업계는 "자국 내 생산이 거의 불가능한 커피와 같은 품목에 대해서는 관세를 면제해달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다급해진 백악관 역시 지난주 새로운 무역협정 체결 시 커피를 포함한 일부 품목에 낮은 관세율을 적용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기며 한발 물러서는 듯한 제스처를 취했지만, 당장의 커피 대란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