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27일이냐 31일이냐"...6일 연휴에도 터진 '불만 폭탄'

 설 연휴 임시공휴일 지정을 둘러싼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정부와 여당이 1월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일각에서는 1월 31일을 대체 공휴일로 지정해야 한다는 반론이 제기되면서다.

 

정부는 지난 8일 설 연휴 기간을 총 6일(1월 25~30일)로 확대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이는 설 당일(29일) 이전에 나흘간의 연휴를 집중 배치함으로써 소비 진작과 내수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겠다는 취지다. 해당 방안은 오는 14일 국무회의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하지만 최근 31일 공휴일 지정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 경우 연휴는 1월 28일부터 2월 2일까지로 조정된다. 31일 지정을 지지하는 측은 월말 업무 마감일에 휴일을 배치함으로써 직장인들의 업무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설 전에 긴 연휴를 두면 며느리들의 가사 노동이 가중된다는 점, 명절 후 충분한 휴식이 필요하다는 점 등을 근거로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면밀한 내부 검토 끝에 27일 지정이 더 많은 장점을 가진다고 판단했다. 우선 월말 정산 업무는 언제든 처리해야 하는 필수 과제로, 31일을 휴일로 지정하더라도 일부 직원들의 휴일 근무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오히려 27일 휴일이 기업과 근로자 모두에게 실질적인 휴식을 보장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자영업자들의 경우도 27일 휴무가 더 유리하다는 평가다. 27일이 공휴일이 되면 일요일부터 목요일까지 5일간 연속 휴식이 가능하지만, 31일 휴무는 4일 휴식 후 토요일 영업을 재개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귀성 차량의 분산 효과 측면에서도 설 전 연휴 배치가 더 효율적이라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특히 이미 많은 기업과 개인이 27일 휴일을 전제로 계획을 수립한 상황에서 갑작스러운 변경은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기업들의 생산·물류 일정, 개인들의 여행 계획 등이 모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핵심은 당초 목적인 경기 부양 효과의 달성 여부다. 정부는 이번 6일 연휴가 침체된 소비 심리를 되살리고 내수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임시공휴일 지정을 둘러싼 논란과 별개로, 이번 연휴가 실질적인 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한국, 열등감 때문에 쑨양 물고 늘어져'…황선우 신기록에 中 궤변

 한국 수영의 '뉴에이스' 황선우(강원도청)가 연일 압도적인 레이스로 신기록을 쏟아내자, 중국 언론이 자국의 '수영 황제' 쑨양과 비교되는 상황에 노골적인 불쾌감을 드러내며 '열등감'이라는 단어까지 동원해 격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황선우는 21일 부산 사직실내수영장에서 열린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남자 일반부 개인혼영 200m 결선에서 1분 57초 66의 기록으로 가장 먼저 터치패드를 찍었다. 이는 자신이 2021년 수립했던 종전 한국 기록(1분 58초 04)을 0.38초 앞당긴 새로운 한국 신기록이다. 이에 그치지 않고 황선우는 곧바로 이어진 남자 계영 400m에서도 동료들과 힘을 합쳐 또 하나의 한국 신기록을 합작하며 이번 대회를 자신의 독무대로 만들었다.이번 대회 황선우의 퍼포먼스는 그야말로 경이로운 수준이다. 특히 지난 20일 열린 주 종목 자유형 200m 결승에서는 1분 42초 92라는 믿기지 않는 기록으로 '마의 43초 벽'을 허물었다. 이는 과거 아시아 수영을 지배했던 쑨양의 아시아 기록을 넘어선 새로운 이정표였기에 국내외 수영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자신의 주 종목뿐만 아니라 번외로 출전한 개인혼영에서까지 한국 기록을 갈아치우는 등, 한계를 가늠할 수 없는 황선우의 폭발적인 성장에 라이벌 중국 역시 극도의 경계심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아시아 기록 경신이라는 상징적인 사건을 계기로 황선우가 쑨양을 넘어설 새로운 아시아의 지배자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는 상황이다.하지만 중국 언론은 황선우의 기록 경신 자체보다는, 이를 계기로 쑨양의 위상이 흔들리는 듯한 분위기에 극도로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시나 스포츠'는 황선우의 아시아 신기록 소식을 전하며 "대한민국이 황선우의 기량이 쑨양보다 뛰어나다고 부풀릴 기회를 잡았다"고 비꼬았다. 이 매체는 일부 한국 네티즌들이 쑨양의 과거 도핑 문제를 거론하며 비난하는 것을 문제 삼으며 "쑨양을 향한 인신공격까지 퍼붓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황선우의 성과를 순수하게 인정하기보다는, 자국 스타를 깎아내리기 위한 의도적인 여론전으로 치부하며 평가절하하려는 의도가 다분히 엿보이는 대목이다.나아가 '시나 스포츠'는 한국의 이러한 반응이 '열등감'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원색적인 비난까지 쏟아냈다. 매체는 "대한민국은 박태환 이후 진정한 수영 스타가 없었다"고 전제한 뒤, "이 때문에 황선우의 성공을 계기로 분노를 표출하며 쑨양과 비교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심지어 "대한민국은 열등감이 폭발했다. 만일 그들이 진심으로 황선우가 무적이라고 믿는다면, 자꾸 중국 선수들을 언급하며 비교하지 않을 것이다. 이는 명백히 열등감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덧붙였다. 황선우의 정당한 기록 도전을 자국 선수와 비교하며 의미를 깎아내리고, 한국 전체를 '열등감'에 사로잡힌 집단으로 매도하며 논점을 흐리는 전형적인 물타기성 여론전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