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화제

살라-아놀드 '격한 충돌' 영상 유출... 리버풀 UCL 탈락의 숨겨진 진실

 파리 생제르맹(PSG)이 리버풀과의 치열한 접전 끝에 승부차기 승리로 UCL 8강 진출을 확정했다. 그러나 경기 전 공개된 리버풀 핵심 선수들 간의 불화 장면이 패배의 원인으로 지목되며 논란이 일고 있다.

 

PSG는 12일 오전 5시(한국시간) 영국 리버풀의 안필드에서 열린 2024-2025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 16강 2차전에서 리버풀을 1-0으로 꺾었다. 1차전에서 0-1로 패했던 PSG는 합계 1-1 동점을 만든 뒤 승부차기에서 4-2로 승리하며 8강 진출에 성공했다.

 

경기 초반부터 리버풀이 홈 이점을 살려 공격적으로 나섰지만, PSG가 빠른 반격으로 선제골을 기록했다. 전반 12분 브래들리 바르콜라의 오른쪽 측면 패스를 우스만 뎀벨레가 문전에서 밀어 넣으며 PSG가 1-0으로 앞서나갔다. 이후 리버풀은 여러 차례 동점골을 노렸으나 PSG의 견고한 수비와 돈나룸마의 선방에 막혔다.

 

후반전에는 리버풀의 공세가 더욱 거세졌다. 알렉산더-아놀드의 중거리 슈팅이 돈나룸마의 선방과 골대를 강타하며 아쉬움을 남겼고, 디아스의 헤더 슈팅도 돈나룸마의 슈퍼 세이브에 막혔다. 후반 34분에는 로버트슨의 프리킥을 콴사가 헤더로 연결했지만 골대를 맞고 나오는 불운까지 겹쳤다.

 

양 팀은 1, 2차전 합계 1-1로 연장전에 돌입했고, PSG의 루이스 엔리케 감독은 연장 전반 11분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를 대신해 이강인을 투입하는 승부수를 띄웠다. 오른쪽 측면에 배치된 이강인은 빠른 돌파와 슈팅으로 공격에 활력을 불어넣었으나, 연장 후반 10분과 13분의 결정적 기회에서 알리송의 선방에 막히며 득점에는 실패했다.

 

연장전에서도 승부가 나지 않자 승부차기가 진행됐다. PSG의 비티냐, 하무스, 뎀벨레, 두에가 모두 성공한 반면, 리버풀은 살라만 성공하고 누녜스와 존스가 실축하며 PSG가 4-2로 승리를 거뒀다.

 


한편, 이번 경기를 앞두고 공개된 리버풀의 훈련 영상에서 모하메드 살라와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 간의 격렬한 다툼이 포착돼 충격을 안겼다. 영상 속 살라는 웃으며 말하는 반면, 아놀드는 극도로 화를 내며 소리치는 모습이 그대로 드러났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이브라히마 코나테와 하비 엘리엇이 두 선수 사이를 말리며 중재에 나섰다.

 

정확한 다툼의 원인이나 대화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살라가 시종일관 웃으며 도발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 반면, 아놀드는 정색하며 분노를 표출했다. 공개 훈련 중 벌어진 이 갈등 장면은 리버풀의 팀 분위기에 의문을 제기하게 만들었고, 결국 PSG전 패배와 연결되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리버풀은 이번 시즌 위르겐 클롭 감독의 마지막 시즌이라는 점에서 UCL 우승을 강하게 노렸으나, 16강에서 탈락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반면 PSG는 킬리안 음바페의 부재 속에서도 강한 팀워크로 8강 진출에 성공하며 우승 가능성을 이어갔다.

 

이번 경기는 두 팀 모두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졌다. 리버풀은 클롭 감독 시대의 마지막 UCL 도전이었고, PSG는 음바페 없이도 강팀임을 증명하는 무대였다. 그러나 경기 결과보다 리버풀 핵심 선수들 간의 불화설이 더 큰 화제가 되며, 앞으로 리버풀의 시즌 마무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국, 열등감 때문에 쑨양 물고 늘어져'…황선우 신기록에 中 궤변

 한국 수영의 '뉴에이스' 황선우(강원도청)가 연일 압도적인 레이스로 신기록을 쏟아내자, 중국 언론이 자국의 '수영 황제' 쑨양과 비교되는 상황에 노골적인 불쾌감을 드러내며 '열등감'이라는 단어까지 동원해 격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황선우는 21일 부산 사직실내수영장에서 열린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남자 일반부 개인혼영 200m 결선에서 1분 57초 66의 기록으로 가장 먼저 터치패드를 찍었다. 이는 자신이 2021년 수립했던 종전 한국 기록(1분 58초 04)을 0.38초 앞당긴 새로운 한국 신기록이다. 이에 그치지 않고 황선우는 곧바로 이어진 남자 계영 400m에서도 동료들과 힘을 합쳐 또 하나의 한국 신기록을 합작하며 이번 대회를 자신의 독무대로 만들었다.이번 대회 황선우의 퍼포먼스는 그야말로 경이로운 수준이다. 특히 지난 20일 열린 주 종목 자유형 200m 결승에서는 1분 42초 92라는 믿기지 않는 기록으로 '마의 43초 벽'을 허물었다. 이는 과거 아시아 수영을 지배했던 쑨양의 아시아 기록을 넘어선 새로운 이정표였기에 국내외 수영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자신의 주 종목뿐만 아니라 번외로 출전한 개인혼영에서까지 한국 기록을 갈아치우는 등, 한계를 가늠할 수 없는 황선우의 폭발적인 성장에 라이벌 중국 역시 극도의 경계심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아시아 기록 경신이라는 상징적인 사건을 계기로 황선우가 쑨양을 넘어설 새로운 아시아의 지배자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는 상황이다.하지만 중국 언론은 황선우의 기록 경신 자체보다는, 이를 계기로 쑨양의 위상이 흔들리는 듯한 분위기에 극도로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시나 스포츠'는 황선우의 아시아 신기록 소식을 전하며 "대한민국이 황선우의 기량이 쑨양보다 뛰어나다고 부풀릴 기회를 잡았다"고 비꼬았다. 이 매체는 일부 한국 네티즌들이 쑨양의 과거 도핑 문제를 거론하며 비난하는 것을 문제 삼으며 "쑨양을 향한 인신공격까지 퍼붓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황선우의 성과를 순수하게 인정하기보다는, 자국 스타를 깎아내리기 위한 의도적인 여론전으로 치부하며 평가절하하려는 의도가 다분히 엿보이는 대목이다.나아가 '시나 스포츠'는 한국의 이러한 반응이 '열등감'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원색적인 비난까지 쏟아냈다. 매체는 "대한민국은 박태환 이후 진정한 수영 스타가 없었다"고 전제한 뒤, "이 때문에 황선우의 성공을 계기로 분노를 표출하며 쑨양과 비교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심지어 "대한민국은 열등감이 폭발했다. 만일 그들이 진심으로 황선우가 무적이라고 믿는다면, 자꾸 중국 선수들을 언급하며 비교하지 않을 것이다. 이는 명백히 열등감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덧붙였다. 황선우의 정당한 기록 도전을 자국 선수와 비교하며 의미를 깎아내리고, 한국 전체를 '열등감'에 사로잡힌 집단으로 매도하며 논점을 흐리는 전형적인 물타기성 여론전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