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화제

4억 4천만 원의 삐끼삐끼? 이주은, 대만서 '특급 스타'로 화려한 날갯짓

 대만 프로야구 무대를 밟은 치어리더 이주은이 13일 타이베이에서 성대하게 치러진 입단식 및 기자회견을 통해 '푸본 엔젤스'의 새 식구가 되었다. 100여 개가 넘는 언론사가 몰린 이날 행사에서 이주은은 치어리더 입문 계기, 대만행을 결심한 배경과 소회 등을 털어놓았다.

 

이주은은 서툰 중국어로 "여러분과 만나게 되어 정말 기쁘고 설렌다"는 인사로 기자회견의 문을 열었다. 춤에 대한 열정으로 치어리더의 길을 걷게 되었다는 그녀는 대만으로 오게 된 이유에 대해 "해외 활동에 대한 두려움도 있었지만, 푸본 구단의 신뢰와 지난해 방문 당시 팬분들의 열렬한 환호 덕분에 용기를 냈다"고 밝혔다.

 

대만에서 맛본 음식 중 샌드위치, 만두, 버블티, 편의점 음식이 인상적이었다고 밝힌 이주은은 회견 도중 동료들이 직접 가져다준 간식을 받는 등 '특급 스타'다운 환대를 받았다. '카메라 공포증'이 있다고 솔직하게 털어놓은 그녀는 "대만에서 경기 중 수많은 카메라를 접하며 극복해나가고 있다"고 말했지만, 회견 내내 긴장한 기색으로 연신 손부채를 흔들었다.

 

한국과 대만의 응원 문화 차이에 대해서는 "대만은 춤에 애교 섞인 동작이 많고, 한국은 각이 잡힌 동작과 선을 중시하는 것 같다"고 비교했다. 연예계 진출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아직은 적응하는 시기라 고려해본 적 없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끝으로 이주은은 "작년부터 오랫동안 기다려주신 팬 여러분들을 만나 뵙게 되어 정말 기쁘고 감사드린다. 사랑합니다"라는 진심 어린 인사로 팬들을 향한 애정을 드러냈다. 질의응답을 마친 뒤에는 한국에서와 동일한 등번호 32번이 새겨진 유니폼을 들고 취재진 앞에서 포즈를 취했다. 푸본 엔젤스 측은 이주은이 4월 2일과 3일 홈 개막전에 출격해 팬들에게 첫인사를 할 예정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이주은의 입단 기자회견은 100여 개 언론사가 취재 열기를 뿜어낼 만큼 지대한 관심을 모았으며, 행사 역시 대만 리그 정상급 선수 이상의 '특급 대우'를 받는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었다.

 

한편, 지난해까지 KIA 타이거즈 치어리더로 맹활약하며 '삐끼삐끼 댄스' 영상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린 이주은은, 시즌 종료 후 대만 '푸본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전속 계약을 맺었다. 계약 당시 대만 현지 언론은 계약금 1,000만 대만달러(약 4억 4천만 원) 설을 보도하며 '고액 몸값' 논란이 불거지기도 했다. 이는 대만 프로야구 선수들의 평균 연봉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팬들 사이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자 소속사 측은 "계약 관련 내용은 공개 불가하나, 해당 보도는 사실무근"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당신은 원숭이의 후손이 아니었다…교과서에도 안 나오는 인류 진화의 '불편한 진실'

 인류의 진화를 떠올릴 때 우리 뇌리에 가장 먼저 각인된 이미지는 허리를 구부린 유인원이 점차 허리를 펴며 현대 인류로 나아가는 '일렬 행진'의 모습일 것이다. 이 상징적인 그림은 진화에 대한 가장 흔하고 치명적인 오해를 낳았다. 바로 "인간이 원숭이에서 진화했다면, 왜 지금도 세상에는 원숭이가 존재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이다. 과학자들은 이 질문 자체가 진화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이해한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단호하게 말한다. 진화는 하나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직선 경주가 아니기 때문이다.영국 런던대학교의 루스 메이스 교수를 비롯한 전문가들은 진화를 위로 곧게 자라는 콩나물이 아닌, 사방으로 무질서하게 뻗어 나가는 거대한 '생명의 나무'에 비유한다. 이 나무에서 현생 인류와 오늘날의 원숭이(침팬지, 보노보 등)는 같은 줄기에서 뻗어 나온 별개의 '가지'일 뿐이다. 즉, 인간이 현재의 원숭이로부터 직접 진화한 것이 아니라, 약 600만 년에서 1000만 년 전 존재했던 '공통의 조상'으로부터 각자의 길을 향해 갈라져 나왔다는 의미다. 우리는 원숭이의 후손이 아니라, 아득히 먼 옛날 같은 할머니를 두었던 '6촌쯤 되는 먼 친척'에 가깝다. 실제로 인간은 침팬지와 DNA의 약 98.7%를 공유하는데, 이는 우리가 얼마나 가까운 친척인지를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다."그렇다면 왜 원숭이는 인간처럼 똑똑해지지 못했는가?"라는 질문 역시 인간 중심적인 오만에서 비롯된 잘못된 전제다. 진화는 특정 방향이나 우월한 지능을 목표로 진행되지 않는다. 각 생명체는 자신이 처한 환경에서 생존하고 번성하는 데 가장 유리한 방향으로 적응해왔을 뿐이다. 울창한 우림 속에서 식물을 채집하고 무리 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지능과, 탁 트인 사바나 초원에서 도구를 사용하고 집단 사냥을 통해 생존해야 했던 초기 인류에게 필요했던 지능은 그 종류와 쓰임새가 전혀 달랐다. 케임브리지 대학의 존 로완 박사는 오히려 "왜 인간은 보노보처럼 폭력과 전쟁 없이 평화롭게 살아가지 못했는가?"라고 반문하며, 인간의 진화가 결코 모든 면에서 우월한 것이 아님을 시사한다.생명의 나무에는 우리 인류처럼 성공적으로 번성한 가지만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와 공존했지만 결국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사라져버린 네안데르탈인처럼, 수많은 가지들이 도중에 꺾이고 말라버렸다. 진화는 이처럼 수많은 갈림길과 우연, 그리고 멸종의 역사로 가득 차 있다. 그렇다면 미래에 현재의 원숭이가 인간처럼 진화할 가능성은 있을까? 전문가들은 '수렴 진화'의 가능성을 언급하면서도, 그것이 결코 인간과 같은 모습은 아닐 것이라고 말한다. 환경적 압력이 주어진다면 원숭이가 지금보다 더 높은 지능을 가진 새로운 존재로 진화할 수는 있겠지만, 그 결과물은 '제2의 인간'이 아닌, 우리에게는 완전히 낯선 새로운 종일 것이라는 예측이다. 결국 인간과 원숭이는 진화라는 거대한 나무 위에서 각자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독립적인 존재일 뿐, 어느 한쪽이 다른 한쪽의 미완성된 과거이거나 예정된 미래가 아닌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