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

국립심포니, '세계적인 지휘자' 아바도와 미래 열다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는 15일, 제8대 예술감독으로 로베르토 아바도(70)를 임명했다고 밝혔다. 그의 임기는 2024년 1월 1일부터 시작해 3년간 지속될 예정이다. 아바도는 이탈리아 밀라노 출신으로, 음악적으로 깊은 유산을 지닌 집안에서 태어났다. 세계적인 지휘자인 클라우디오 아바도의 조카로 잘 알려져 있으며, 밀도 높은 시즌 기획력과 성숙한 해석력, 방대한 레퍼토리를 지닌 지휘자로 인정받고 있다.

 

아바도는 그동안 많은 음악계에서 활발히 활동해 왔다. 현재는 볼로냐 시립극장 필하모닉의 상임지휘자로 활동 중이며, 이전에는 뮌헨 방송교향악단, 파르마 베르디 페스티벌, 소피아 여왕 예술 궁전의 음악감독을 역임한 바 있다. 또한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 빈 심포니, 로열 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LA 필하모닉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에서 활발히 활동을 펼쳤다.

 

그는 오케스트라의 명장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특히 1992년에 음악감독이 부재했던 뮌헨 방송교향악단에 부임하여 7년 동안 악단을 이끌었다. 이 시기에 힌데미트의 ‘세계의 조화’와 다리우스 미요의 ‘스크라무슈’ 모음곡 등을 통해 레퍼토리를 확장하고, 차별화된 음악적 정체성을 확립하며 악단의 재도약을 이끌었다. 또한 아바도는 RCA 레코드와 협업해 총 14종의 디스코그라피를 발매했으며, 로시니와 푸치니의 오페라 음반으로 주목을 받았다. 특히 로시니 오페라 ‘탄크레디’로 1997년 에코 클래식 독일 음반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벨리니 오페라 ‘카풀레티 가문과 몬테키 가문’으로 1999년 BBC 매거진에서 ‘올해 최고의 음반상’ 후보에 올랐다.

 

아바도는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와도 이전에 여러 차례 협연을 진행한 바 있다. 2023년에는 오페라 ‘노르마’와 3월에는 국립심포니 제255회 정기연주회에서 베르디의 ‘레퀴엠’으로 호흡을 맞췄다. 그의 경험과 지휘력은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와의 협연에서도 큰 시너지를 일으켰다.

 

 

 

그는 또한 오케스트라뿐만 아니라 극음악과 페스티벌 운영에도 폭넓은 경험을 쌓아왔다. 특히 관현악, 오페라, 발레에 정통한 그는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의 예술감독으로서 새로운 예술적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 음악 레퍼토리 확장에도 앞장서 왔으며, 찰스 워리넨, 파스칼 뒤사팽, 루카 프란체스코니, 실비아 콜라산티 등의 작품을 초연하며 음악적 지평을 넓혀왔다. 이러한 경험은 그가 국립심포니와 함께 한국 작곡가들의 작품을 어떻게 조명할지에 대한 큰 기대감을 자아낸다.

 

로베르토 아바도는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에 대해 “음악적 역량과 새로운 길을 탐색하려는 호기심이 가장 큰 장점”이라며, “이들과 함께 만들어갈 음악이 매우 기대된다”고 밝혔다. 그는 국립심포니의 예술적 가능성을 높이 평가하며, 그와 함께 새로운 음악적 지평을 여는 데 대한 의지를 내비쳤다.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는 아바도와 함께 지난 40년간 쌓아온 국립심포니의 가치를 더욱 빛내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국립심포니는 국민의 오케스트라로서 국립예술단체의 품격에 맞는 무대를 선보일 계획이며, 아바도의 지휘 아래 더욱 깊이 있는 음악적 성취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이번 임명은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의 예술적 성장과 글로벌한 명성을 이어가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로베르토 아바도의 지휘 아래, 국립심포니는 새로운 음악적 비전을 향해 나아가며, 관객들에게 더욱 풍성한 음악적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

 

대체 미국에서 무슨 일이?…오타니 아내, 출산 후 가족과 '사실상 단절' 상태

 '슈퍼스타' 오타니 쇼헤이를 둘러싼 열기가 그의 아내 다나카 마미코에게로 옮겨붙고 있다. 오타니의 야구 실력만큼이나 그의 사생활, 특히 아내의 근황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폭발적인 가운데, 일본의 한 매체가 그녀가 출산 후 가족과도 만나지 못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하며 일본 사회에 또 다른 화두를 던졌다. 모든 이야기의 시작은 오타니가 내년 3월 열리는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출전을 깜짝 발표하면서부터였다.오타니는 지난 25일, 자신의 SNS를 통해 "다시 일본 대표 선수로 뛸 수 있어 자랑스럽고 기쁜 마음"이라며 WBC 출전 의사를 공식화했다. 이는 다가오는 시즌에 투타 겸업을 완벽하게 소화하기 위해 컨디션을 조절해야 하는 만큼, 그가 WBC에 불참할 것이라는 대다수의 예상을 뒤엎는 파격적인 선택이었다. 일본 야구계가 그의 대표팀 합류 소식에 들썩이는 한편, 대중의 관심은 자연스럽게 새로운 포인트로 향했다. 바로 그의 아내 마미코가 이번 기회에 출산 후 처음으로 일본 땅을 밟게 될 것인지에 대한 궁금증이다.일본 매체 '포스트 세븐'에 따르면, 마미코는 결혼 발표 이후 단 한 번도 일본에 귀국하지 않았다. 작년 도쿄돔에서 열렸던 소속팀의 개막 시리즈 역시 출산 시기와 겹치면서 LA에 머물렀던 것으로 확인됐다. 매체는 그녀가 현지 스태프나 다른 선수들과 대화하는 모습이 거의 포착되지 않았고, 오타니가 공개 석상에서 통역을 해주는 모습으로 미루어 볼 때 아직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런 상황에서 오타니의 WBC 참가 일정은, 부부가 오랜만에 일본에서 마음 편히 모국어로 대화를 나누고 가족과 함께할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을 낳고 있다.특히 매체는 마미코의 지인이라고 밝힌 익명의 인물과의 인터뷰를 통해 그녀의 구체적인 상황을 전하며 안타까움을 더했다. 이 지인은 "마미코는 조부모님까지 포함해 가족 관계가 매우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미국과 일본의 물리적 거리 때문에 가족과 직접 만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출산 전후로 마미코의 어머니가 잠시 LA로 건너와 도움을 주기는 했지만, 조부모님과는 영상 통화로만 안부를 주고받았을 뿐, 아직 갓 태어난 증손주를 직접 보지 못했다는 것이다. 심지어 "오타니까지 포함된 가족 단체 대화방에서 소통하고 있지만, 마미코는 출산 후 친오빠와도 아직 만나지 못했다"는 충격적인 주장까지 제기됐다. 오타니의 WBC 출전이라는 스포츠 뉴스가 그의 아내를 둘러싼 애틋한 가족사로 번지며 일본 열도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