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뉴스

이재명-이시바 통화 중 '빵 터진' 이유는?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두 번째 해외정상 통화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를 선택한 것은 외교·안보 정책의 '일관성'을 강조하는 행보로 해석된다. 이는 정권 교체에도 불구하고 국익에 부합하는 한일관계를 계승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한일 협력체계를 유지하며 G7 정상회의 등을 통해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정책에 공동 대응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9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이날 낮 12시부터 약 25분간 이시바 총리와 첫 통화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이 대통령은 한미일 협력의 성과를 평가하고 앞으로도 이 틀 안에서 지정학적 위기에 대응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이시바 총리도 미중 패권경쟁,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 등 급변하는 외교 환경에서 한일관계와 한미일 협력의 중요성에 동의했다.

 

이는 문재인 전 대통령이 2017년 취임 다음날 미국, 중국에 이어 일본과 통화하면서 위안부 합의 문제를 제기하며 강경책을 펼쳤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한미동맹을 근간으로 한미일 협력을 다지고 주변국과의 관계를 국익과 실용의 관점에서 접근하겠다"고 밝힌 바 있으며, 윤석열 정부의 '제3자 변제해법'에 대해서도 "국가 간 관계는 일관성이 중요하다"며 기존 정책 유지 의사를 시사했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이 대통령이 시진핑 주석보다 이시바 총리와 먼저 통화한 것은 한미동맹과 한미일 협력체계를 근간으로 실용외교를 펼치겠다는 공약이 진정성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는 "중국과 먼저 통화할 경우 '친중 정부' 비판을 받을 수 있어 이를 차단하면서 일본과의 협력을 강조하는 실용주의 외교를 보여준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대통령은 SNS를 통해 이시바 총리에 대해 "양국이 진정한 신뢰관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소신을 가지신 분"이라고 평가했다. 이시바 총리는 앞서 이 대통령 취임 축하 메시지를 한글로 전달하기도 했다. 양 정상은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는 올해 양국 국민 간 활발한 교류와 당국 간 의사소통 강화에 뜻을 모았으며, 향후 직접 만나 한일관계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오는 15~17일 캐나다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으로, 이는 첫 해외 정상외교 무대가 될 전망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통화는 현재 조율 중이며,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통화 계획은 아직 정해진 바 없다고 대통령실은 밝혔다.

 

골키퍼 실수, 수비 붕괴, PK 2골…자멸로 끝난 이민성호의 사우디 원정

 한국 축구에 그야말로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졌다. 이민성 감독이 이끄는 22세 이하(U-22) 대표팀이 중동의 강호 사우디아라비아와의 원정 2연전에서 단 한 골도 넣지 못하고 무려 6골을 실점하며 전패를 당하는 참사를 겪었다. 단순한 연습경기라고 치부하기에는 상상조차 하기 힘든 결과이며, 경기 내용 역시 졸전이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내년 아시안컵 개최지에서 미리 적응하고 전력을 가다듬겠다는 당초의 목표는 완전히 빗나갔고, 오히려 팀 전력에 대한 의문부호만 잔뜩 남긴 최악의 전지훈련으로 기록되게 되었다.이번 사우디 원정은 단순한 평가전 이상의 의미를 가졌다. 내년 1월, 사우디에서 열리는 U-23 아시안컵은 2026 아시안게임 남자축구 4연패라는 대업의 성패를 가늠할 중요한 무대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한국은 본선에서 우즈베키스탄, 이란 등 월드컵 본선 진출국들과 한 조에 묶여 '죽음의 조'에 속했다는 평가를 받는 상황. 그렇기에 이민성 감독은 배준호, 양민혁, 김용학 등 유럽파 선수들까지 소집하며 이번 전지훈련에 심혈을 기울였지만, 결과적으로 받아 든 성적표는 0득점 6실점 전패라는 처참한 수준이었다.특히 지난 11일 열린 1차전의 내용은 변명의 여지가 없는 완벽한 자멸에 가까웠다. 한국은 골키퍼의 어이없는 킥 실수로 선제골을 헌납한 것을 시작으로, 수비진의 빌드업 과정에서 공을 빼앗겨 추가 실점을 내주는 등 스스로 무너지는 모습을 보였다. 클리어링 미스까지 겹치며 무려 네 골을 내리 내주며 0-4로 대패했다. 15일 열린 2차전 역시 다르지 않았다. 경기 내용은 조금 나아졌을지 몰라도, 결국 수비진의 실수로 두 번의 페널티킥을 헌납하며 0-2로 무릎을 꿇었다. 두 경기 연속으로 이어진 수비 불안은 이민성호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설상가상으로 전력 손실까지 발생했다. 팀의 핵심 공격 자원으로 기대를 모았던 배준호가 1차전 이후 부상을 당해 소속팀으로 조기 복귀하는 악재가 터진 것이다. 득점력 빈곤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공격의 활로를 열어줄 선수를 잃은 것은 뼈아픈 손실이다. 결국 이민성호는 이번 사우디 원정에서 경기력, 결과, 선수 부상 관리까지 어느 하나 잡지 못한 채 총체적 난국에 빠졌다. 아시안컵 본선까지 남은 시간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이번 참패가 과연 약이 될지, 아니면 독이 될지 축구 팬들의 우려 섞인 시선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