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3년간 노동자 3명 사망' SPC 계열사 '죽음의 공장', 이번엔 덜미 잡혔다

 경찰과 고용노동부가 근로자 사망사고가 발생한 SPC삼립 시화 공장에 대해 사고 발생 한 달 만에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수사기관은 네 차례 영장 청구 끝에 법원으로부터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아 전격 집행에 나섰다.

 

압수수색은 오전 9시부터 시작되었으며, 노동부 관계자 등이 탑승한 차량 여러 대가 공장 입구로 진입했다. 수사관들은 증거물을 담을 파란색 박스를 들고 현장에 투입되었다. 이번 압수수색은 시화 공장뿐만 아니라 SPC삼립 양재 본사 등도 대상에 포함됐으며, 경찰과 노동부는 총 80여 명의 인력을 투입했다.

 

사고는 지난달 19일 새벽 3시경 발생했다. 50대 여성 노동자가 냉각 컨베이어 벨트에 윤활유를 뿌리는 작업을 하던 중 기계에 끼여 숨지는 사고였다. 이후 수사기관은 여러 차례 영장을 청구했으나 발부받지 못하다가, 네 번째 시도 끝에 영장을 확보하여 강제수사에 나섰다.

 

현재 경찰은 안전 관리를 소홀히 한 혐의로 센터장을 포함한 공장 직원 7명을 입건해 수사 중이다. 또한 사고 당시 숨진 근로자가 사용하던 윤활유가 인체에 유해한 공업용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어, 경찰은 윤활유가 담겼던 용기를 임의제출 받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성분 분석을 의뢰한 상태다.

 


한편 노동부는 SPC삼립 김범수 대표이사와 시화 공장장 등을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혐의로 입건했다. 더불어 김 대표와 SPC삼립 법인, SPC그룹 허영인 회장도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로 입건해 조사 중이다.

 

수사 당국은 SPC삼립 측이 안전 확보 의무를 소홀히 했다고 보고 있다. 사고 당시 숨진 노동자가 안전 규정상 2인 1조가 아닌 개별 작업을 하고 있었다는 의혹과 함께, 사고 예방 장치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주목할 점은 SPC 계열 공장에서는 이번 사고 외에도 2022년과 2023년에 노동자 2명이 작업 중 사망했다는 사실이다. 만약 시화 공장에서도 유사한 안전사고 사례가 확인된다면, 경영책임자나 공장관리책임자는 충분히 예상 가능했던 사고를 예방하지 않은 책임을 물어 더 무거운 처벌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이번 압수수색을 통해 수사 당국은 사고 원인과 책임소재를 명확히 규명하고, 안전관리 소홀 여부와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가능성 등을 집중적으로 살펴볼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반복되는 산업재해에 대한 기업의 책임과 안전관리 시스템의 실효성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세계 1위' 안세영, 아직 올림픽 전설들의 '급'은 아니었다

 현존하는 여자 배드민턴 최강자이자 세계랭킹 1위 안세영의 시대가 활짝 열렸지만, '역대 최고 선수'라는 궁극적인 타이틀을 향한 여정은 이제 막 시작됐다. 올 시즌에만 무려 9개의 국제대회 우승 트로피를 쓸어 담으며 코트 위를 완벽하게 지배하고 있는 그이지만, 과거의 전설들이 쌓아 올린 위대한 업적의 벽은 여전히 높았다. 배드민턴 관련 데이터를 전문적으로 분석하는 '배드민턴 랭킹스'가 최근 발표한 역대 여자 단식 선수 순위에서 안세영은 616점을 획득하며 4위에 이름을 올렸다. 그의 앞에는 시대를 풍미했던 전설적인 이름들이 자리했다. 1위는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초대 챔피언인 인도네시아의 수시 수산티(901점)가 차지했고, 2004년과 2008년 올림픽 2연패를 달성한 중국의 장닝(820점)이 2위, 2016 리우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스페인의 카롤리나 마린(737점)이 3위에 올랐다.안세영의 이름 앞에 '4위'라는 숫자가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 있지만, 순위 산정 기준을 살펴보면 충분히 납득할 만한 결과다. '배드민ton 랭킹스'는 선수의 통산 성적과 각종 종합 지표를 반영했는데, 특히 4년마다 열리는 올림픽에서의 성과에 상당한 가산점을 부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1위부터 3위까지의 선수들이 모두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라는 점이 이를 명확히 증명한다. 수산티는 배드민턴이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첫 대회에서 정상에 오른 상징적인 인물이며, 장닝은 2회 연속 금메달이라는 불멸의 기록을 세웠다. 마린 역시 유럽 선수로서 아시아의 아성을 무너뜨리고 올림픽 시상대 가장 높은 곳에 섰다. 이처럼 올림픽이라는 가장 권위 있는 무대에서 거둔 성과가 역대 순위를 가르는 핵심 잣대로 작용한 것이다.하지만 이 순위표는 역설적으로 안세영의 미래가 얼마나 찬란하게 빛날지를 증명하는 지표이기도 하다. 2002년생으로 이제 20대 초반에 불과한 안세영은 앞으로 최소 두 번 이상의 올림픽 무대를 밟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당장 다음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목에 거는 것만으로도 그의 순위는 수직 상승할 수 있다. 더욱 고무적인 사실은 현재 그의 가장 강력한 경쟁자들조차 이 역대 랭킹에서는 안세영의 아래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동시대를 풍미한 일본의 야마구치 아카네(511점), 중국의 천위페이(396점), 대만의 타이쯔잉(389점) 등은 모두 안세영보다 나이가 많으면서도 누적 포인트에서 격차를 보인다. 사실상 현역 선수 중에서는 독보적인 위치를 선점한 채, 시간과 싸우며 과거의 전설들을 넘어설 일만 남은 셈이다.안세영을 향한 기대감은 국내뿐만 아니라 최대 경쟁국인 중국 언론의 평가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중국의 '시나스포츠'는 "안세영은 겨우 23세의 나이로 이미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고 극찬하며, "그녀가 배드민턴계를 평정한 지 3년이 지났지만, 아직 누구도 명확한 공략법을 찾아내지 못했다"고 혀를 내둘렀다. 매체는 심지어 "안세영의 전성기는 이제 막 시작됐지만, 중국에서는 그를 대적할 만한 스타가 나오지 않고 있다"며 자국의 현실을 한탄하기까지 했다. 이는 안세영의 기량이 단순히 뛰어난 수준을 넘어, 동시대 경쟁자들을 절망에 빠뜨릴 만큼 압도적인 경지에 올랐음을 방증한다. 현재 4위라는 숫자는 과정일 뿐, 안세영이 역대 최고의 선수로 등극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것이 배드민턴계의 중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