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뉴스

'평화가 곧 경제다' 이재명 대통령의 6·25 메시지에 숨겨진 의도는?

 이재명 대통령은 6·25 전쟁 75주년을 맞아 페이스북에 '6·25전쟁 75주년을 맞으며'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전쟁 참전용사와 국민들에게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전했다.

 

이 대통령은 "오늘의 대한민국은 결코 저절로 만들어지지 않았다"며 전장을 지킨 국군 장병과 참전용사, 유가족, 그리고 전쟁의 상처를 감내하며 살아온 국민 모두의 희생과 헌신이 있었기에 현재의 대한민국이 가능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민국은 여러분을 영원히 잊지 않겠다"라는 약속과 함께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고자 피와 땀을 흘린 모든 분께 다시 한번 깊은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6·25 전쟁이 한국인의 삶에 미친 영향을 언급하며 "전쟁은 우리의 삶을 송두리째 흔들었다"고 회고했다. 수많은 사람들이 가족을 잃고 고향을 떠나야 했으며, 평온했던 삶이 무참히 파괴되었지만, 한국 국민들은 다시 일어나 희망을 품었고 상처를 딛고 더 나은 내일을 향해 나아갔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 대통령은 한국의 눈부신 경제 발전을 강조했다. 전쟁이 끝난 1953년에는 1인당 국민소득이 67달러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국민소득 3만6천 달러를 넘어서는 세계 10위권 경제 강국으로 성장했다고 언급했다. 더불어 OECD 출범 이후 최초로 원조 수혜국에서 원조 공여국으로 전환되어 세계 개발도상국의 롤모델로 평가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경제성장뿐만 아니라 교육, 보건, 과학기술,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다고 평가했다. 세계 10위 경제력과 세계 5위 군사력을 갖추며, K-컬처로 세계 문화를 선도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국가를 위해 희생한 이들에 대한 보상과 예우가 충분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표현하며, 앞으로 더 많은 지원이 이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겠다고 약속했다.

 

마지막으로 이 대통령은 평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전쟁을 다시 겪을 일 없는 나라를 만드는 것이 수많은 이들의 희생과 헌신에 올바로 응답하는 길"이라며, 군사력에만 의존하는 시대는 지났고 "싸워서 이기는 것보다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가장 확실한 안보는 싸울 필요가 없는 상태, 즉 평화를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하며, "평화가 곧 경제이자, 국민의 생존과 직결되는 시대"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경제가 안정되고, 국민이 안심하며 안전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한반도 평화 체계를 굳건히 구축해나갈 것"을 다짐했다.

 

삼성 몰락의 시작? SK그룹에 영업이익 왕좌 내주며 충격적 패배

 한국CXO연구소가 25일 발표한 2024년 그룹 총수 경영 성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최태원 회장이 이끄는 SK그룹이 지난해 그룹 전체 영업이익 부문에서 삼성을 근소한 차이로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이번 분석은 공정거래위원회 발표 기준 공정자산 규모 5조원 이상 92개 대기업 집단의 총수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SK그룹은 지난해 27조1,38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삼성의 27조352억원을 불과 0.4% 차이로 앞섰다. 이러한 결과의 결정적 요인은 SK하이닉스의 사상 최대 실적이었다. SK하이닉스는 21조3,314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려 삼성전자의 12조3,610억원보다 약 9조원이나 더 많은 성과를 거뒀다.그룹 전체 순이익 증가율에서도 SK그룹은 놀라운 성장세를 보였다. 2023년 6,582억원에서 2024년 18조3,595억원으로 무려 2,689.1% 급증하며 이 부문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반면, 이재용 회장의 삼성은 여전히 그룹 전체 매출(399조6,362억원), 당기순익(41조6,022억원), 고용(28만4,761명) 부문에서는 1위 자리를 지켰다. 삼성은 국내 최대 기업 집단으로서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지만, 영업이익 측면에서는 SK그룹에 근소하게 뒤처진 모습을 보였다.정의선 회장이 이끄는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그룹 매출(292조1,195억원), 당기순익(23조7,712억원), 고용(20만3,915명) 부문에서 모두 삼성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현대차그룹은 재작년에 그룹 전체 영업이익 1위를 차지했으나, 작년에는 18조5,333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SK와 삼성에 이어 3위로 밀려났다.그룹 매출 증가율 부문에서는 조현범 한국앤컴퍼니 회장이 1위를 차지했다. 한국앤컴퍼니그룹은 지난해 한온시스템을 인수하면서 매출이 전년의 4조2,239억원에서 8조4,668억원으로 1년 새 100.4% 증가하는 놀라운 성장을 보였다.영업이익 증가율에서는 박정석 고려에이치씨 회장이 1위를 차지했다. 고려에이치씨는 고려해운의 실적 개선 등에 힘입어 그룹 영업이익이 2023년 453억원에서 2024년 7,029억원으로 1,450.3%나 급증했다.수익성 측면에서는 장병규 크래프톤 의장이 돋보였다. 크래프톤은 지난해 그룹 영업이익률 43.9%, 순이익률 50%라는 높은 수치를 기록하며, 이 두 부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이번 분석 결과는 국내 주요 기업 집단들의 경영 성과와 경쟁 구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특히 SK그룹의 약진과 반도체 산업의 영향력이 두드러진 한 해였음을 시사한다. 또한 한국앤컴퍼니와 고려에이치씨 같은 중견 그룹들의 성장세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