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뉴스

日 학교 폭력 ↑ 등교 거부 건수 급증

 코로나 엔데믹 이후로 일본에서 학교 폭력이 늘어나 등교 거부 건수가 높아졌다. 

 

4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전국 초·중·고교에 2022년 학교 폭력 681,948명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대사태는' 건수는 923건으로 조사됐다. 

 

학교폭력 유형은 '차갑게 대하거나 욕설로 위협하는 등의 언어폭력'이 57.4%로  가장 높았고, '부딪히거나 발로 차는 것'이 23.4%, '따돌리거나 무시하기'가 11.7%, '온라인 괴롭힘'이 23,92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코로나19의 제한이 완화되며 오프라인 수업과 학교 행사 등이 열리면서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이 늘어나 폭력이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30일 이상 등교하지 않는 초·중학생의 '등교 거부' 사례가 전년 대비 22.1% 늘어난 29만 9048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평화가 곧 경제다' 이재명 대통령의 6·25 메시지에 숨겨진 의도는?

 이재명 대통령은 6·25 전쟁 75주년을 맞아 페이스북에 '6·25전쟁 75주년을 맞으며'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전쟁 참전용사와 국민들에게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전했다.이 대통령은 "오늘의 대한민국은 결코 저절로 만들어지지 않았다"며 전장을 지킨 국군 장병과 참전용사, 유가족, 그리고 전쟁의 상처를 감내하며 살아온 국민 모두의 희생과 헌신이 있었기에 현재의 대한민국이 가능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민국은 여러분을 영원히 잊지 않겠다"라는 약속과 함께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고자 피와 땀을 흘린 모든 분께 다시 한번 깊은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다.이 대통령은 6·25 전쟁이 한국인의 삶에 미친 영향을 언급하며 "전쟁은 우리의 삶을 송두리째 흔들었다"고 회고했다. 수많은 사람들이 가족을 잃고 고향을 떠나야 했으며, 평온했던 삶이 무참히 파괴되었지만, 한국 국민들은 다시 일어나 희망을 품었고 상처를 딛고 더 나은 내일을 향해 나아갔다고 설명했다.또한 이 대통령은 한국의 눈부신 경제 발전을 강조했다. 전쟁이 끝난 1953년에는 1인당 국민소득이 67달러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국민소득 3만6천 달러를 넘어서는 세계 10위권 경제 강국으로 성장했다고 언급했다. 더불어 OECD 출범 이후 최초로 원조 수혜국에서 원조 공여국으로 전환되어 세계 개발도상국의 롤모델로 평가받고 있다고 덧붙였다.경제성장뿐만 아니라 교육, 보건, 과학기술,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다고 평가했다. 세계 10위 경제력과 세계 5위 군사력을 갖추며, K-컬처로 세계 문화를 선도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이 대통령은 국가를 위해 희생한 이들에 대한 보상과 예우가 충분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표현하며, 앞으로 더 많은 지원이 이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겠다고 약속했다.마지막으로 이 대통령은 평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전쟁을 다시 겪을 일 없는 나라를 만드는 것이 수많은 이들의 희생과 헌신에 올바로 응답하는 길"이라며, 군사력에만 의존하는 시대는 지났고 "싸워서 이기는 것보다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가장 확실한 안보는 싸울 필요가 없는 상태, 즉 평화를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하며, "평화가 곧 경제이자, 국민의 생존과 직결되는 시대"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경제가 안정되고, 국민이 안심하며 안전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한반도 평화 체계를 굳건히 구축해나갈 것"을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