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임신 확인되면 단축근무" 시키자 출산율 '올랐다'

 통계청에 따르면 코스메틱 브랜드 '닥터지'를 만드는 중소기업 고운세상코스메틱의 2022년도 합계출산율은 2.70명이다. 고운세상코스메틱은 10여년간 자체적으로 마련한 다양한 가족친화제도 덕분에 출산율이 급격히 증가했다.

 

고운세상코스메틱은 2017년에 자율 출퇴근제를 처음 시행했다. 이는 지난 2003년 브랜드를 론칭한 이후 병원 외의 상업 시장에 뛰어들면서 확장세로 나아가던 시기로, 일에 더욱 몰입할 수 있게 자율성을 부여한다는 취지와 직원에게 자율성을 부여했을 때 업무 관리 능력을 높일 수 있다고 보고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것이다. 김선호 인재성장팀 팀장은 "직원이 하루 동안 약속했던 목표만 달성하면 나머지는 회사에서 관리하는 영역이 아니라는 인식이 회사 내에 존재하는데, 이처럼 목표 달성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기업에서 해야 할 일이다"고 말했다.

 

고운세상코스메틱은 2020년 무렵부터 출산과 육아와 관련된 제도를 더욱 적극적으로 도입해 임신이 확인된 순간부터 출산 전까지 2시간 단축 근로를 할 수 있는 유연근무제를 실시하고, 이에 육아휴직 기간도 법정 1년보다 긴 2년으로 확대했다. 이렇게 새로 만들어진 가족친화제도는 조직 구성원의 생애주기와 맞닿아있는 것으로, 고운세상코스메틱은 청년 근로자 비율이 높고 여성이 많아 근로자 및 여성 임원 비율이 79%에 달한다. 가족친화제도에 안심한 직원의 임신과 출산이 이어지며 1년에 5명 정도였던 출산자 수는 2022년 10명을 넘어서게 되었다. 

 

이후 직원들의 출산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한 팀에서 여러 명이 동시에 출산휴가를 쓰자 남아있는 직원들을 위해 '서포터즈 지원금' 10만 원을 지급하는 제도를 마련했다. 출산휴가에 들어가는 직원들의 부담을 덜고 축하를 받을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서로, 출산 당사자만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팀원들에게도 작지만 보상을 줘서 진심으로 축하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주자는 취지다. 

 

고운세상코스메틱의 가족친화제도는 여전히 진보하는 추세로, 돌봄 재택제도와 난임 치료비 지원, 태아 검진 동행 휴가 반차, 자녀 입학식 휴가를 제공하여 공고해진 직원 만족감과 안정적 업무 환경은 기업의 매출 성장세까지 끌어냈다. 

 

이주호 고운세상코스메틱 대표는 기업이 가족친화제도를 갖추는 일은 직원의 업무 능력 향상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이라 강조하며 "회사는 구성원이 평생 먹고 살 수 있는 전문성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사회적 기업이 돼야 한다. 이는 좋은 제품 개발의 밑바탕이 되고 고객도 주주도 이익을 보게 된다. 회사는 제도를 통해 회사 안의 사람 개인이 성장할 기회를 만드는 공간이 돼야 한다"고 의견을 표했다.

 

몸값 수십억 지드래곤, 왜 생긴 지 4년된 AI 스타트업에 몸을 맡겼나

 생성형 인공지능(AI) 플랫폼 '뤼튼테크놀로지스'(이하 뤼튼)가 최근 파격적인 마케팅으로 주목받고 있다. 몸값이 수십억 원에 달하는 가수 지드래곤을 광고 모델로 발탁해 대형 쇼핑몰, 도심 전광판, 서울·경기 운행 버스 등에 대규모 옥외광고를 전개하며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지드래곤이 스타트업의 전속 모델로 나선 배경에는 그의 평소 AI에 대한 관심이 작용했다. 지드래곤은 지난해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 'CES 2024'에 깜짝 등장해 화제를 모았고, 이후 카이스트(KAIST) 기계공학과 초빙교수로 임명되기도 했다. 그의 소속사인 갤럭시코퍼레이션은 AI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열겠다는 비전을 가진 기업이다.갤럭시코퍼레이션은 올해 KAIST 기계공학과 내에 'AI 엔터테크 연구센터'를 설립했다. 이 센터에서는 지드래곤을 비롯한 한류 아티스트를 대상으로 디지털트윈 기술 연구, K컬처와 과학기술 융합 연구, 아티스트 아바타 개발 등의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뤼튼은 설립 4년 만에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까지 누적 투자 유치 금액이 1268억 원에 달할 정도로 벤처캐피털 업계에서 주목받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스타트업 업계가 전반적인 불황을 겪을 때도 뤼튼은 일본, 중동 시장 진출을 추진하며 성장을 이어갔다.생산성을 높이는 다양한 AI 업무 툴을 무료로 제공하는 전략으로, 뤼튼은 서비스 출시 1년 10개월 만에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 500만 명을 돌파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는 토스(약 3년 3개월), 당근(2년)보다 짧은 기간에 이룬 성과로, 토종 AI 스타트업으로서의 경쟁력을 입증했다.뤼튼은 구글의 경쟁자로 불리는 미국 AI 기업 '퍼플렉시티'와 사업 모델이 유사하다. 두 기업 모두 다양한 외부 AI 모델을 활용해 사용자에게 원하는 답변과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흥미롭게도 뤼튼이 지드래곤을 모델로 내세웠다면, 퍼플렉시티는 '오징어게임'의 주인공 이정재를 광고 모델로 채용했다. 퍼플렉시티는 더 나아가 이정재가 공동 대표로 있는 '아티스트컴퍼니'와 함께 엔터테인먼트-AI 융합 서비스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는 등, AI 기업들이 서비스 대중화를 위해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협력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최근 뤼튼은 캐릭터 AI챗 서비스와 광고 사업을 본격 추진하며 성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혁신의숲' 자료에 따르면, 2024년 12월 뤼튼의 소비자 거래 건수는 1만5000건이었으나 지난 5월에는 7만3000건으로 5배나 증가했다. 특히 사용자의 62%가 20대 이하로, 젊은 층에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이제 뤼튼의 과제는 챗GPT 사용자나 AI에 생소한 중장년층까지 고객 범위를 확장하는 것이다. 이세영 뤼튼 대표는 "1인 1AI를 실현하기 위해 소상공인, 영세기업의 생산성을 높일 AI 기술 도입 방안을 모색 중"이라며 향후 계획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