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원도심, 빈집 해결 ‘통합 연구’ 추진

협의체는 동구, 중구, 서구, 영도구, 부산진구 등 산복도로를 관통하는 다섯 개 지자체가 모여 구성되었으며, 지역 구청장과 전문가, 실무지원단 등이 참여한다. 원도심 지역에서 급증하는 빈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의체는 적극적으로 의견을 모으고 있다.
부산 원도심권에서 발생한 빈집은 총 5922채에 이른다. 이들 빈집을 정비하고 지역 사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협의체는 지난 회의에서 추진을 결정한 ‘원도심 통합 발전 연구용역’에 빈집 문제 공동 대응을 추가로 포함하기로 했다. 이 연구용역은 지자체별로 진행되며, 다음 달부터 서구를 비롯한 5개 구에서 착수된다. 연말까지 진행된 후 각 지역의 결과를 종합하여 공동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협의체는 빈집 문제 해결을 위해 중구의 ‘빈집뱅크’ 사업과 제주도의 ‘빈집 숙박시설’ 사업을 모범으로 삼고 있다. 중구의 ‘빈집뱅크’는 빈집 소유자와 수요자를 연결하는 중개 프로그램으로, 구의 홈페이지에 별도 사이트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또한 제주도의 ‘다자요’ 모델은 빈집을 장기 임차하여 숙박시설로 활용하는 사업으로, 지자체가 관광객과 연결해 주는 방식이다.
협의체는 또한 법적 절차가 까다로운 무허가 빈집의 정비를 위해 정부와 부산시에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특히 빈집 및 소규모 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을 개선해 무허가 건축물도 포함될 수 있도록 요청했다. 이들 노력을 통해 부산의 원도심 지역에서 빈집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발전에 기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