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세븐틴 콘서트 티켓이 내 손에! 호텔 패키지로 덕질도 럭셔리하게

 그룹 세븐틴의 아시아 투어 열기가 공연장을 넘어 호텔 업계까지 뜨겁게 달구고 있다. 

 

싱가포르, 자카르타, 방콕 등 투어 개최 도시의 유명 호텔들이 세븐틴 콘서트와 연계한 특별 패키지를 선보이며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먼저 싱가포르의 상징적인 호텔 마리나베이 샌즈는 세븐틴 콘서트 기간 동안 팬들을 위한 특별한 미식 경험을 선사한다. 세븐틴의 상징색인 로즈쿼츠와 세레니티 컬러를 활용한 디저트부터 한국적인 풍미를 가득 담은 '캐럿 킥 버거'까지, 팬들의 눈과 입을 즐겁게 할 다채로운 메뉴를 준비했다. 특히, 세븐틴 메뉴를 주문한 고객에게는 한정판 스티커를 증정하는 이벤트도 진행해 팬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페어몬트 자카르타는 한층 더 파격적인 혜택으로 팬들을 맞이한다. 콘서트 티켓 2매와 사운드체크 참여 기회를 포함한 '풀 패키지'는 예약 오픈과 동시에 매진되는 기염을 토했다. 콘서트 티켓이 없는 팬들을 위해 준비된 '스테이 패키지' 역시 스펙트럼 레스토랑에서 즐기는 특별한 한국식 저녁 식사를 제공하며 팬들의 아쉬움을 달래준다. 

 


태국 방콕의 이스틴 그랜드 호텔 파야타이는 세븐틴 콘서트 티켓과 호텔 숙박을 결합한 '스테이 히어 패키지'를 선보였다. 팬들은 콘서트 티켓 종류에 따라 슈페리어 파노라마 객실, 조식, 세븐틴 특별 어메니티 등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이처럼 호텔 업계가 콘서트와 연계된 특별 패키지를 적극적으로 선보이는 것은 팬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하는 동시에 수익 증대와 브랜드 홍보 효과까지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콘서트 티켓과 숙박을 한 번에 해결하고자 하는 팬들의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앞으로 더욱 다양한 형태의 콘서트 연계 호텔 패키지 상품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븐틴의 아시아 투어는 단순한 콘서트를 넘어 팬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고, 호텔 업계에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등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앞으로도 세븐틴의 글로벌 활동과 함께 더욱 다채로운 협업이 기대된다. 

 

시진핑과 통화 마친 트럼프, 곧바로 日 총리에게 전화 걸어

 미국과 중국, 일본을 둘러싼 동북아시아의 외교 지형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화 한 통을 계기로 또다시 요동치고 있다. 후지뉴스네트워크(FNN)는 25일, 트럼프 대통령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전화 통화를 하는 방안을 최종 조율 중이라고 보도했다. 특히 이번 통화는 트럼프 대통령 측이 먼저 요청한 것으로 알려져, 그 배경에 국제적인 관심이 집중된다. 이번 통화는 트럼프 대통령이 바로 전날인 24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를 마친 직후에 추진되는 것으로, 최근 다카이치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발언으로 촉발된 중일 갈등의 중재 혹은 설명의 성격을 띨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이번 미일 정상 간 통화 논의의 핵심 배경에는 앞서 있었던 미중 정상 간의 대화 내용이 자리 잡고 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통화에서 "미국은 중국에 있어 대만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매체가 이 발언을 대대적으로 보도한 것은 명백히 일본을 겨냥한 외교적 메시지로 풀이된다. '하나의 중국' 원칙을 훼손하는 어떠한 언행도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혀온 중국이,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에 격앙된 반응을 보이는 가운데 미국의 '이해'를 얻어냈다는 점을 부각하며 일본을 압박하려는 전략적 의도가 담겨있는 것이다.하지만 이러한 중국 측의 발표에는 미묘한 온도 차가 감지된다. 정작 통화의 당사자인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시 주석과의 통화 사실을 알리면서도, 중국 측이 강조한 대만 문제나 이와 관련된 중일 갈등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이는 같은 사안을 두고 미국과 중국의 입장과 해석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중국은 자국의 입장을 강화하기 위해 트럼프의 발언을 특정 방향으로 해석하고 확대했지만, 미국은 직접적인 갈등 개입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며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이 다카이치 총리에게 직접 어떤 설명을 내놓을지에 따라 미국의 진짜 속내가 드러날 전망이다.이처럼 복잡하게 얽힌 외교전 속에서 일본 정부는 극도로 신중한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기하라 미노루 관방장관은 미중 정상 통화에 대해 "미중 관계의 안정은 국제사회에 매우 중요하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히면서도, 중국 측이 발표한 통화 내용의 진위에 대해서는 "하나하나 논평하는 것을 자제하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동맹국인 미국과 이웃 나라인 중국 사이에서 어느 한쪽의 편을 들기 어려운 일본의 외교적 딜레마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장면이다. 결국 이번 트럼프-다카이치 통화는 최근의 외교적 파문의 진의를 파악하고 향후 미일 동맹의 공조 방향을 확인하는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