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세븐틴 콘서트 티켓이 내 손에! 호텔 패키지로 덕질도 럭셔리하게

 그룹 세븐틴의 아시아 투어 열기가 공연장을 넘어 호텔 업계까지 뜨겁게 달구고 있다. 

 

싱가포르, 자카르타, 방콕 등 투어 개최 도시의 유명 호텔들이 세븐틴 콘서트와 연계한 특별 패키지를 선보이며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먼저 싱가포르의 상징적인 호텔 마리나베이 샌즈는 세븐틴 콘서트 기간 동안 팬들을 위한 특별한 미식 경험을 선사한다. 세븐틴의 상징색인 로즈쿼츠와 세레니티 컬러를 활용한 디저트부터 한국적인 풍미를 가득 담은 '캐럿 킥 버거'까지, 팬들의 눈과 입을 즐겁게 할 다채로운 메뉴를 준비했다. 특히, 세븐틴 메뉴를 주문한 고객에게는 한정판 스티커를 증정하는 이벤트도 진행해 팬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페어몬트 자카르타는 한층 더 파격적인 혜택으로 팬들을 맞이한다. 콘서트 티켓 2매와 사운드체크 참여 기회를 포함한 '풀 패키지'는 예약 오픈과 동시에 매진되는 기염을 토했다. 콘서트 티켓이 없는 팬들을 위해 준비된 '스테이 패키지' 역시 스펙트럼 레스토랑에서 즐기는 특별한 한국식 저녁 식사를 제공하며 팬들의 아쉬움을 달래준다. 

 


태국 방콕의 이스틴 그랜드 호텔 파야타이는 세븐틴 콘서트 티켓과 호텔 숙박을 결합한 '스테이 히어 패키지'를 선보였다. 팬들은 콘서트 티켓 종류에 따라 슈페리어 파노라마 객실, 조식, 세븐틴 특별 어메니티 등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이처럼 호텔 업계가 콘서트와 연계된 특별 패키지를 적극적으로 선보이는 것은 팬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하는 동시에 수익 증대와 브랜드 홍보 효과까지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콘서트 티켓과 숙박을 한 번에 해결하고자 하는 팬들의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앞으로 더욱 다양한 형태의 콘서트 연계 호텔 패키지 상품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븐틴의 아시아 투어는 단순한 콘서트를 넘어 팬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고, 호텔 업계에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등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앞으로도 세븐틴의 글로벌 활동과 함께 더욱 다채로운 협업이 기대된다. 

 

부모님은 현인, 나는 신해철…세대 대통합 예고한 오케스트라의 정체

 초여름의 문턱에서 부산의 문화계가 관객의 눈과 귀를 사로잡을 이색적인 무대와 전시를 잇달아 선보이며 활기를 띠고 있다. 클래식 음악은 어렵고 미술은 난해하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대중가요를 클래식 선율로 재해석하거나 미술품을 일상 공간 속 인테리어 소품처럼 제안하는 새로운 시도들이 돋보인다. 이는 예술의 문턱을 낮춰 더 많은 사람이 부담 없이 즐기고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부산의 젊은 예술가들이 주축이 된 오케스트라의 파격적인 연주회와 여러 갤러리가 협업하여 쇼룸 형태로 꾸민 특별한 기획전이 바로 그 주인공들이다.먼저 부산과 경남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청년 연주자들이 모여 창단한 '트레프 오케스트라'는 오는 28일, 두 번째 정기연주회를 통해 관객들에게 아주 특별한 음악적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이들은 클래식은 특정 계층만 즐기는 어려운 음악이라는 편견을 깨기 위해 과감한 도전에 나섰다. 바로 우리에게 익숙한 대중가요를 오케스트라의 웅장하고 섬세한 선율로 재해석해 선보이는 것이다. 이번 공연에서는 부산을 대표하는 가수 현인과 작곡가 박시춘의 명곡들은 물론, 시대를 앞서간 뮤지션으로 기억되는 고(故) 신해철이 불렀던 노래들이 강상모 예술감독의 지휘 아래 새롭게 태어난다. 소프라노 정성윤의 목소리까지 더해져 익숙함과 신선함이 공존하는 독특한 무대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그런가 하면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 신세계갤러리에서는 우리의 일상 공간을 예술로 채우는 방법을 제안하는 특별한 기획전 'COLLECTIBLES:공간미학'이 한창이다. 지난해 큰 호응을 얻었던 동명의 기획전에 힘입어 다시 한번 마련된 이번 전시는 미술관의 하얀 벽에서 벗어나, 마치 잘 꾸며진 쇼룸이나 감각적인 편집숍을 둘러보는 듯한 경험을 제공한다. 갤러리 휴, 플레이리스트, 아트사이드 등 여러 갤러리와 빈티지 가구 전문점 등이 협력하여 원화, 아트 프린트, 가구, 포스터 등 약 200점에 달하는 작품들을 다채롭게 연출했다. 권소진, 류주영, 염지애 등 12명의 참여 작가들은 작품을 통해 현대인의 감정과 풍경을 섬세하게 비추며, 관람객이 자신의 공간에 어울리는 작품을 직접 고르고 수집하는 즐거움을 누리게 한다.이처럼 장르와 형식은 다르지만, 두 행사는 모두 예술이 일부의 전유물이 아닌 모두의 일상에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트레프 오케스트라의 공연이 단 하루 동안 펼쳐지는 특별한 이벤트라면, '공간미학' 전시는 다음 달 14일까지 비교적 여유롭게 즐길 수 있는 문화 산책 코스다. 익숙한 멜로디의 감동을 오케스트라 사운드로 증폭시키고 싶거나, 나의 취향이 담긴 작품으로 나만의 공간을 꾸며보고 싶은 이들에게 부산의 6월은 풍성한 예술적 영감을 얻을 더없이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딱딱한 틀을 벗어던진 예술이 대중과 어떻게 호흡하고 소통하는지 직접 확인해 볼 수 있는 현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