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한국 노인 빈곤율 OECD 평균의 3배... '노인 지옥' 대한민국의 슬픈 자화상

 대한민국의 노인 빈곤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보건복지부와 통계청의 최신 자료에 따르면, 2023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이 38.2%를 기록했다. 이는 전체 인구의 빈곤율 14.9%와 비교해 2.5배 이상 높은 수치다.

 

특히 충격적인 것은 성별 격차다. 남성 노인의 빈곤율이 31.8%인 데 비해, 여성 노인은 43.2%로 현저히 높았다. 이는 우리 사회의 성별 임금 격차와 여성의 경력 단절이 노후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더욱 우려되는 점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빈곤율이 급증한다는 사실이다. 66~75세 노인의 빈곤율은 31.4%지만, 76세 이상은 52.0%로 폭증한다. 즉, 76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2명 중 1명 이상이 빈곤 상태에 놓여있다는 충격적인 현실이 드러났다.

 


국제 비교에서도 한국의 노인 빈곤 문제는 심각성을 더해간다. OECD의 '한눈에 보는 연금 2023'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 빈곤율은 40.4%로 OECD 평균(14.2%)의 약 3배에 달한다. OECD 회원국 중 노인 빈곤율이 40%를 넘는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다.

 

소득 불평등 측면에서도 한국 노인층의 상황은 심각하다. 66세 이상 노인의 가처분소득 지니계수는 0.376으로, 전체 인구의 지니계수(0.331)보다 높다. 이는 OECD 회원국들의 일반적인 경향과 정반대되는 현상이다. 대부분의 OECD 국가에서는 노인층의 소득 불평등이 전체 인구보다 낮은 반면, 한국은 오히려 노인층에서 불평등이 더 심화되는 특이한 양상을 보인다.

 

더욱 우려되는 것은 개선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2021년까지 감소 추세를 보이던 노인 빈곤율이 2022년부터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이는 노인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한 현행 사회보장제도와 노후소득보장 정책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노인에겐 '약', 젊은이에겐 '독'?…구강청결제와 비트 주스를 둘러싼 놀라운 진실

 상쾌함을 위해 무심코 사용해 온 구강청결제가 젊은 세대의 혈관 건강을 되려 해칠 수 있다는 충격적인 연구 결과가 발표되어 학계와 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매일 아침저녁으로 이어온 청결 습관이 실제로는 우리 몸의 중요한 생화학적 작용을 방해하는 '나비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경고등이 켜진 것이다.이번 연구는 영국 엑서터대학교(University of Exeter) 연구팀이 진행했으며, 그 결과는 저명한 국제학술지 '활성산소 생물학과 의학(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최신 호에 게재되며 신뢰도를 더했다. 연구의 핵심은 '연령'이라는 변수가 구강 미생물과 질산염 섭취, 그리고 혈관 건강 사이의 상호작용에 어떤 차이를 만들어내는지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연구팀은 이를 위해 18세에서 30세 사이의 건강한 젊은 성인 39명과 67세에서 79세의 노인 36명을 대상으로 정교하게 설계된 임상시험을 수행했다.참가자들은 2주 동안 각각 세 가지 다른 처치를 받았다. 첫째는 질산염이 풍부한 비트 주스, 둘째는 살균 성분이 포함된 구강청결제, 그리고 마지막은 효과가 없는 위약(가짜 약)이었다. 각 실험 사이에는 2주의 휴지기를 두어 이전 실험의 영향이 남지 않도록 했다. 연구팀은 이 기간 동안 참가자들의 구강 내 미생물 군집의 변화, 혈액 속 산화질소의 중간 대사물인 아질산염 농도, 평균 동맥압, 그리고 혈관이 얼마나 유연하게 확장하는지를 보여주는 혈관내피세포 의존성 혈관이완 반응(FMD) 수치를 정밀하게 측정했다.결과는 놀라웠다. 젊은 성인 그룹의 경우, 건강에 좋다고 알려진 비트 주스를 마셨을 때는 혈압이나 혈관 기능에서 뚜렷한 긍정적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살균 구강청결제를 단 2주간 사용했을 때, 구강 내 유익한 미생물의 다양성이 눈에 띄게 감소했으며, 혈관의 건강 상태를 보여주는 핵심 지표인 혈관 확장 기능(FMD)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저하되는 것이 확인됐다. 이는 구강청결제의 살균 작용이 입속의 유해균뿐만 아니라, 혈관 건강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유익균까지 무차별적으로 제거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즉, 입안의 '좋은 박테리아'는 우리가 섭취하는 채소 속 질산염을 아질산염으로 전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아질산염이 체내에서 혈관을 확장시키는 산화질소로 바뀌어 혈압을 조절한다. 구강청결제가 이 중요한 연결고리를 끊어버린 것이다.반면, 노인 그룹에서는 전혀 다른 양상이 관찰됐다. 이들은 구강청결제를 사용했을 때 젊은 층과 같은 혈관 기능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다. 오히려 질산염이 풍부한 비트 주스를 섭취했을 때 평균 혈압이 약 4㎜Hg 감소하는 뚜렷한 건강 개선 효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이러한 혈압 강하 효과가 특정 구강 미생물(프리보텔라 속 세균)의 비율 감소와 연관이 있음을 밝혀내며, 노년층에게는 질산염이 풍부한 식단이 심혈관계 부담을 줄이는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이번 연구는 연령대에 따라 구강 미생물과 식단이 혈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극명하게 다를 수 있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다만 연구팀은 "이번 결과는 2주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의 관찰에 근거한 것이므로, 구강청결제의 장기적인 사용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후속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연구는 입속 건강이 전신 건강, 특히 심혈관 시스템과 얼마나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남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