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뉴스

"이재명보다 더 싫다"... '비호감 1위' 등극한 '이 사람' 누구길래?

 한국 갤럽이 실시한 최신 여론조사에서 개혁신당의 이준석 의원이 정치인 비호감도 조사에서 1위를 차지했다. 지난 11일부터 13일까지 전국의 유권자 1004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45%가 이준석 의원을 "대통령감으로 절대 지지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이준석 의원의 비호감도가 여야를 통틀어 가장 높았다는 사실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41%로 2위를 기록했으며, 최근 정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37%로 그 뒤를 이었다. 홍준표 대구시장(36%),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33%), 오세훈 서울시장(30%) 순으로 비호감도가 집계됐다.

 

반면 적극적인 지지층을 살펴보면 양상이 완전히 달라진다. '대통령감으로 적극 지지한다'는 응답에서는 이재명 대표가 26%로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여권의 유력 주자들인 김문수 장관(12%), 오세훈 시장(6%), 홍준표 시장(5%), 한동훈 전 대표(4%)를 크게 앞서는 수치다. 야권의 다른 인사들인 김동연 경기지사(3%)와 이준석 의원(2%)은 한 자릿수 지지율에 그쳤다.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 조사에서도 이재명 대표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이재명 대표는 34%의 지지율로 1위를 기록했으며, 김문수 장관이 12%로 2위를 차지했다. 한동훈 전 대표, 홍준표 시장, 오세훈 시장은 각각 5%의 지지율을 보였다. 주목할 만한 점은 높은 비호감도를 기록했던 이준석 의원의 경우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김동연 지사와 함께 1%의 저조한 지지율을 기록했다는 것이다.

 

정당 지지도에서는 여야 양당의 팽팽한 접전이 이어지고 있다. 국민의힘이 39%, 더불어민주당이 38%로 오차범위 내에서 경합하는 모습을 보였다. 신생 정당인 조국혁신당은 4%, 개혁신당은 2%의 지지율을 기록했으며, 무당층은 16%로 집계됐다.

 

한국갤럽은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지난해 12월 중순 민주당의 지지도가 현 정부 출범 이래 최고치를 기록하며 국민의힘과의 격차를 벌렸으나, 2024년 들어서는 양대 정당이 총선과 대선을 앞둔 것처럼 치열한 경쟁 구도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작위로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를 통해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16.1%의 응답률을 기록했다. 표본오차와 신뢰수준 등 보다 상세한 조사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재명 대통령, 故 이순재 애도 "선생님의 목소리 생생한데…" 슬픔 감추지 못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문화예술계의 큰 별, 원로 배우 이순재의 별세 소식에 깊은 애도를 표했다. 이 대통령은 25일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대한민국 문화예술계의 큰 별, 이순재 선생님의 명복을 기원합니다'라는 제목의 추모글을 올리며 고인을 향한 슬픔과 존경의 마음을 전했다. 해당 게시글에서 이 대통령은 국민배우의 갑작스러운 비보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하며, 한평생 연기라는 외길에 전념하며 대한민국 문화예술의 위상과 품격을 한 단계 끌어올린 고인의 위대한 업적을 기렸다. 연극 무대에서 시작해 스크린과 브라운관을 종횡무진하며 국민의 희로애락과 함께했던 거장의 빈자리에 사회 각계의 추모 물결이 이어지고 있다.이 대통령은 고인이 우리에게 남긴 수많은 작품을 회고하며, 그가 단순히 연기자에 머무르지 않고 우리 시대의 진정한 광대이자 위로자였음을 강조했다. "선생님은 연극과 영화, 방송을 넘나들며 우리에게 웃음과 감동, 위로와 용기를 선사해 주셨다"라고 언급한 부분은, 고인이 맡았던 수많은 배역이 각기 다른 시대와 세대를 관통하며 대중의 삶에 얼마나 깊숙이 스며들었는지를 보여준다. 때로는 엄격하지만 속정 깊은 아버지로, 때로는 친근하고 유머러스한 이웃으로 분했던 그의 연기는 단순한 오락을 넘어 지친 국민의 삶을 보듬는 따뜻한 손길과도 같았다는 것이 대통령의 평가다.특히 이 대통령은 "연기는 살아 있는 인간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삶의 동반자"라는 고인의 생전 철학을 인용하며, 그의 연기 인생이 곧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고 세상과 소통하는 과정 그 자체였음을 역설했다. 이는 이순재라는 배우가 자신의 직업을 단순한 기술이 아닌, 인간과 삶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아내는 통로로 여겼음을 시사한다. 이 대통령은 이러한 고인의 굳건한 연기 철학과 배우로서의 투철한 직업 정신, 그리고 삶의 지혜를 몸소 보여준 '진정한 어른'으로서의 인품이 수많은 후배 예술인에게 귀감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에 큰 울림을 주었다고 평가하며 고인의 인격적인 측면 또한 높이 기렸다.마지막으로 이 대통령은 고인이 남긴 주옥같은 작품과 연기 속에 담긴 그의 메시지가 이제는 대한민국의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남아 영원히 전해질 것이라고 확신했다. 모든 세대를 아우르며 전 국민적인 사랑을 받은 예술인이자 '국민배우'였던 고인을 오래도록 기억하겠다는 다짐도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선생님의 표정과 목소리가 여전히 생생하다"라며 개인적인 슬픔을 드러내면서, "선생님, 부디 평안히 쉬십시오"라는 마지막 인사로 깊은 추모의 글을 마무리했다. 고인의 갑작스러운 비보에 대통령까지 직접 나서 애통함을 표하면서, 대한민국은 위대한 예술가 한 명을 떠나보낸 슬픔에 잠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