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화제

'37세 투혼' 이승훈, 7년 만의 월드컵 金… "즐기니 보너스가!"

 한국 빙속의 '살아있는 전설' 이승훈(37·알펜시아)이 7년 만에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스피드스케이팅 월드컵 금메달을 목에 걸며 건재함을 과시했다.

 

24일(한국시간) 이승훈은 폴란드 토마슈프마조비에츠키에서 열린 2024-25 ISU 월드컵 5차 대회 남자 매스스타트에서 7분 48초 05의 기록으로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2위 바르트 홀버르프(네덜란드·7분 48초 50), 3위 안드레아 조반니니(이탈리아·7분 48초 56) 등 쟁쟁한 경쟁자들을 제치고 따낸 값진 금메달이다.

 

이번 우승은 이승훈에게 여러모로 의미가 깊다. 2017년 12월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월드컵 이후 7년 만의 월드컵 금메달이자,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이후 국제대회 첫 금메달이기 때문이다.

 

2010 밴쿠버 올림픽부터 2022 베이징 올림픽까지 4회 연속 출전해 금메달 2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한 이승훈은 이미 전성기가 지났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꾸준히 장거리 종목에서 성적을 내며 '노장의 힘'을 보여줬다.

 

최근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에서 남자 팀 추월 은메달을 획득, 한국 동계아시안게임 최다 메달 기록(9개)을 세운 이승훈은 이번 월드컵 금메달로 다시 한번 세계 정상급 기량을 입증했다.

 


이날 경기에서 이승훈은 노련한 레이스 운영을 선보였다. 초반에는 후미에서 체력을 비축하며 기회를 엿봤다. 결승선을 4바퀴 남기고 16위에 머물렀던 그는 두 바퀴를 남기고 3위까지 치고 올라오며 선두권을 형성했다. 마지막 곡선주로에서 바깥쪽으로 빠져나와 선두를 꿰찬 뒤, 폭발적인 스퍼트로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이번 대회 매스스타트에는 2022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바트 스윙스(벨기에)를 비롯해 세계 정상급 선수들이 대거 출전해 경쟁이 치열했다. 이승훈의 우승이 더욱 값진 이유다.

 

이승훈은 경기 후 ISU와의 인터뷰에서 "정말 행복하다"며 "이제는 결과를 위해서가 아니라 즐기기 위해 스케이트를 탄다. 그래서 오늘의 금메달은 내게 굉장한 보너스"라고 소감을 밝혔다.

 

매스스타트 세계 1위 홀버르프는 "이승훈은 이 종목의 진정한 스페셜리스트"라며 "좁은 코너를 잘 타고 스피드도 엄청나다. 늘 주시해야 하는 선수"라고 극찬했다.

 

'37세 투혼' 이승훈, 7년 만의 월드컵 金… "즐기니 보너스가!" 다음 달 세계선수권대회에 출전하는 이승훈은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을 은퇴 무대로 삼겠다고 밝힌 바 있다. '빙속 황제'의 마지막 질주가 어떤 모습으로 마무리될지 기대된다.

 

금요일 출근 안하는데 연봉은 그대로?... 매출 20배 폭증한 기업의 충격 비결

 유통업계를 중심으로 주 4.5일 근무제가 확산되고 있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의 노동 관련 핵심 공약이기도 한데, 일부 기업들은 정부 정책을 앞서 근로자들의 근무 여건 개선을 위해 선제적으로 근무시간을 단축하거나 유연 근무제를 도입하고 있다.전자상거래 플랫폼 카페24는 7월 1일부터 주 4일제 근무를 본격 시행했다. 이 회사는 2021년부터 매월 격주 금요일을 '오프데이(휴무)'로 운영해왔으나, 4년 만에 이를 매주 금요일 전체 휴무로 확대했다. 주목할 점은 근무일이 줄었음에도 연차 제도는 기존과 동일하게 적용되며, 평일 근무시간과 임금도 그대로 유지된다는 것이다.카페24가 주 4일제를 선제적으로 도입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2021년부터 실시한 격주 4일제가 기업 운영에 효율적이었다는 판단이 작용했다. 실제로 카페24는 지난해 세계 최초 유튜브 쇼핑 전용 스토어 기능을 출시하며 영업이익 319억원을 달성했는데, 이는 전년 대비 약 20배 증가한 수치다.프랜차이즈 기업 60계치킨은 더 과감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 회사는 2023년부터 주 4.5일제를 시행하다 올해 초부터는 주 4일(36시간)을 넘어선 32시간 근무제를 도입했다. 수요일은 오후 1시 30분 출근, 금요일은 오후 3시 30분에 퇴근하는 방식이며, 평일에도 오전 9시 50분부터 6시까지 근무하는 유연한 근무 체계를 갖추고 있다.이러한 근무 체계 변화는 60계치킨의 실적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주 4.5일제를 실시했던 2023년에는 매출 1500억원과 흑자 전환을 기록했고, 지난해에는 매출이 1642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10%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침대 업계 1위 기업 시몬스도 2019년부터 주 4.5일제를 선도적으로 도입해 운영 중이다. 매주 금요일 오전 8시 30분부터 12시 30분까지 근무 후 퇴근하는 유연 근무제를 통해 직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시몬스는 주 4.5일제 도입 당시인 2019년 2038억원이던 매출이 지난해 3295억원으로 약 62% 증가하는 놀라운 성장을 기록했다. 이 기간 동안 시몬스는 수십 년간 업계 1위를 차지했던 에이스침대를 제치고 시장 선두 자리를 차지하는 성과도 거뒀다.시몬스의 이러한 근무 방식은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젊은 인재들 사이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2023년 진행된 대학생 인턴십 프로그램에서는 14명 선발에 1085명이 지원해 7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일하고 싶은 직장'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했다.기업들이 근로시간을 줄이거나 탄력적으로 운용하는 주된 이유는 직원들의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지난달 직장인 357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주 4일제에 대해 86.7%가 긍정적이라고 응답했다. 긍정적인 이유로는 '휴식권이 보장되고 워라밸이 정착될 수 있어서'(80.3%), '재충전으로 업무 효율이 높아질 것 같아서'(64.8%),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44.6%) 등이 꼽혔다.업계 관계자는 "요즘 직원들은 워라밸을 중시하기 때문에 좋은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보다 짧은 근무시간과 효율적인 업무 방식을 채택할 수밖에 없다"며 "근무 시간이 짧다고 업무나 성과가 나지 않을 것이라고만 보는 건 잘못된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이처럼 주 4.5일 또는 4일 근무제는 단순한 근로시간 단축을 넘어 기업 경쟁력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