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뉴스

150년 만에 밝혀진 당신이 모르는 타이레놀의 진실?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진통제 중 하나인 타이레놀. 두통, 발열, 생리통 등 다양한 통증 완화에 효과가 있어 상비약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지만, 놀랍게도 그 작용 기전은 베일에 싸여 있었다. 1878년 처음 합성된 이후 약 150년 만에 그 미스터리의 일부가 풀렸다.  이스라엘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 연구진이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파라세타몰)의 새로운 작용 기전을 밝혀내면서 부작용 없는 차세대 진통제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

 

지금까지 과학계는 아세트아미노펜이 뇌와 척수에서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을 억제하여 통증을 완화한다고 믿어왔다. 프로스타글란딘은 염증과 통증에 관여하는 물질이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아세트아미노펜이 뇌뿐 아니라 통증을 최초로 감지하는 말초 신경에서도 작용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는 기존 학설을 뒤집는 획기적인 발견으로, 아세트아미노펜의 진통 작용에 대한 이해를 완전히 바꾸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아세트아미노펜의 진통 작용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물질로 'N-아라키도노일페놀아민(AM404)'이라는 대사체에 주목했다.  우리가 타이레놀을 복용하면 간에서 4-아미노페놀로 전환된 후 혈류를 타고 뇌와 다른 장기로 이동한다.  뇌에서는 지방산 아미드 가수분해효소(FAAH)의 작용으로 AM404로 바뀌는데, 이 AM404가 통증 감각 신경 말단의 나트륨 통로를 차단하여 통증 신호가 중추신경계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흥미로운 점은 AM404가 통증 감각 신경 말단에서도 자연적으로 생성된다는 것이다.

 


연구를 이끈 알렉산더 빈슈톡 교수는 "AM404가 뇌 외부의 신경에서 직접 작용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증명했다"며 "이는 파라세타몰의 통증 완화 메커니즘에 대한 기존 개념을 완전히 바꾼다"라고 강조했다.  이 발견은 단순히 아세트아미노펜의 작용 기전을 밝혀낸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AM404의 작용 기전을 이해함으로써 부작용 없이 통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새로운 진통제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기 때문이다.

 

기존의 국소 마취제는 통증 신호 전달을 차단하는 효과는 있지만, 감각 마비, 근육 약화 등의 부작용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AM404는 통증을 전달하는 특정 신경에만 작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작용을 피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공동 연구자인 아비 프리엘 교수는 "AM404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약물을 개발한다면 효과적이면서도 더 안전하고 정밀한 통증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번 연구는 오랫동안 수수께끼로 남아있던 아세트아미노펜의 작용 기전을 밝혀냈을 뿐 아니라, 미래 진통제 개발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AM404를 활용한 새로운 진통제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된다면 만성 통증 환자들에게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실제 임상 적용까지는 추가적인 연구와 검증이 필요하며,  AM404 기반 진통제의 장기적인 안전성과 효능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죽음의 캄보디아 사원… 한국인 5명의 시신, 단순 병사 아닐 수도

 캄보디아의 한 사원에서 한국인 시신이 연이어 발견되면서 현지 교민 사회가 충격과 불안에 휩싸였다. 최근 범죄 단지에 연루되어 숨진 채 발견된 한국인 대학생의 시신이 화장된 프놈펜의 턱틀라 사원에서, 한국인 남성 시신 4구가 추가로 안치되어 있었던 사실이 드러나면서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이로써 해당 사원에만 총 5구의 한국인 시신이 머물렀던 셈이다. 단순한 우연으로 치부하기에는 석연치 않은 정황이 겹치면서, 이들의 죽음을 둘러싼 의혹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외교부는 공식적으로 사원에 안치된 4명의 한국인이 50대 중반 1명과 60대 초중반 3명이며, 모두 질병으로 사망한 '병사'로 파악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현재까지 이들의 죽음이 범죄와 연관된 정황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선을 그으며, 주캄보디아대사관을 통해 국내 유가족에게 연락을 취하고 장례 절차를 지원하는 등 필요한 영사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내놓았다. 정부는 사태의 확산을 경계하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지만, 흉흉한 소문이 꼬리를 물고 이어지면서 공식 발표만으로는 의구심을 잠재우기 어려운 상황이다.하지만 현지 교민 사회를 중심으로 이들의 사인을 둘러싼 의혹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특히 안치된 한국인 중 3명의 공식 사인이 '심장마비'로 기록된 점이 의혹의 핵심이다. 현지에서는 범죄 단체들이 살인 등 강력 범죄를 저지른 후, 경찰의 수사망을 피하기 위해 거액의 돈을 주고 시신의 사인을 '심장마비'와 같은 일반 병사로 조작하는 일이 공공연한 비밀처럼 여겨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소문은 범죄의 표적이 되어 비극적인 죽음을 맞은 대학생의 사건과 맞물리면서, 나머지 4명의 죽음 또한 단순한 병사가 아닐 수 있다는 합리적 의심에 힘을 싣고 있다.설상가상으로 이들의 죽음이 마약과 연관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현지에서 병으로 사망, 특히 심장마비로 사망한 외국인들 중 상당수가 실제로는 마약 남용으로 인한 사망이라는 것이다. 결국 이들의 죽음은 공식적으로는 '병사'로 처리되었지만, 그 이면에는 범죄 조직의 잔혹한 살인 은폐 시도이거나 혹은 마약이라는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을 가능성을 모두 열어두고 있는 셈이다. 한 사원에 뒤얽힌 한국인 5명의 죽음, 그 진실이 무엇이든 간에 캄보디아 내 한국인들의 안전에 대한 경고등이 켜졌다는 사실만큼은 분명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