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

토니상 휩쓴 ‘아르카디아’ 드디어 한국 상륙

 연극 ‘아르카디아’ 한국 초연이 오는 7월 27일 서울 종로구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에서 개막한다. 공연제작사 파크컴퍼니는 26일 이 같은 소식을 전하며, 이번 무대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아르카디아’라는 점을 강조했다.

 

‘아르카디아’는 1809년 영국 시골의 한 대저택과 2025년 현재를 오가며 진행되는 미스터리 연극이다. 극은 어린 천재 소녀 토마시나와 그녀의 가정교사 셉티머스가 수학, 과학, 문학 등 다양한 학문을 탐구하는 19세기 모습을 보여주는 한편, 현대의 연구자들이 과거 저택에 남겨진 흔적을 추적하며 진실에 접근하는 두 시대가 교차된다. 이러한 시공간을 넘나드는 구성이 작품의 매력 중 하나다.

 

 

 

파크컴퍼니 측은 “‘아르카디아’는 과학, 철학, 문학, 역사, 예술, 사랑, 진실 등 다양한 주제를 폭넓게 다루며 인간 존재와 우주의 본질에 대한 깊은 질문을 던진다”라며 “관객들은 시공간을 오가는 지적 유희와 미스터리적 요소에 집중하며 작품을 감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작품은 영국 극작가 톰 스토파드의 대표작으로,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은 죽었다’, ‘트라베스티스’, ‘더 리얼 씽’ 등과 함께 그의 뛰어난 극작 역량을 보여준다. 특히 ‘아르카디아’는 1993년 로렌스 올리비에 어워드 희곡상, 1994년 토니상 최고 연극상, 1995년 뉴욕 드라마 비평가 협회상 최고 연극상 등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널리 인정받았다. 또한 영국왕립연구소로부터 ‘최고의 과학 연계 작품’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한국 초연을 맡은 김연민 연출은 번역과 연출을 동시에 진행하며 작품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섬세한 연출을 예고했다. 출연 배우들도 탄탄하다. 레이디 크룸 역에는 강애심, 버나드 역에는 정승길, 브라이스 역에는 정원조, 한나 역에는 김소진, 젤라비 역 김규도, 발렌타인 역 권일, 셉티머스 역 김민하, 녹스 역 서요한, 클로에 역 박희정, 체이터 역 권형준, 아우구스투스/거스 역 강유성, 토마시나 역 김세원 등이 출연해 다채로운 무대를 선사할 예정이다.

 

 

 

이번 공연은 7월 27일부터 8월 3일까지 단 7일간 진행된다. 티켓 예매는 7월 1일 오후 2시부터 아르코와 놀 티켓 사이트를 통해 가능하다.

 

연극 ‘아르카디아’는 과학과 문학, 미스터리와 철학적 사유가 어우러진 작품으로, 한국 관객들에게는 처음 선보이는 특별한 기회가 될 전망이다. 관객들은 이 시대와 19세기를 오가며 펼쳐지는 지적 탐구와 미스터리의 세계에 빠져들며, 인간 존재와 우주의 본질에 관한 깊은 통찰을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고 5배, 적발 6배…日언론이 조명한 '음주운전 후진국' 대한민국의 현실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벌어진 음주운전 사고로 일본인 관광객이 사망하면서, 한국의 솜방망이 처벌이 국제적 망신으로 번지고 있다. 지난 2일, 효도 관광차 한국을 찾았던 일본인 모녀는 꿈에 그리던 드라마 촬영지 낙산공원으로 향하던 길에 비극을 맞았다. 소주 3병을 마신 운전자가 몬 차가 횡단보도를 덮쳤고, 50대 어머니는 끝내 숨을 거뒀다. 유족은 SNS를 통해 "어머니가 낙산공원 사진을 메신저 배경으로 해놓을 정도로 가고 싶어 하셨지만, 결국 도착하지 못했다"며 비통한 심정을 전했다. 또한, 언론에 '경상'으로 보도된 30대 딸 역시 무릎과 갈비뼈 등 여러 곳이 골절된 중상 상태임이 알려지며 주위를 더욱 안타깝게 했다.이번 참사는 단순한 교통사고를 넘어 한국의 음주운전 실태와 관대한 법 감정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숨진 피해자의 유족은 "한국은 일본과 달리 가해자를 엄하게 처벌하지 않는 것인가"라는 글을 올렸고, 이는 한국 사회의 부끄러운 자화상을 꼬집는 날카로운 비수가 되었다. 이에 수많은 한국 누리꾼들은 "한국인으로서 죄송하다", "음주운전 처벌이 훨씬 강화되어야 한다"며 사과와 자성의 목소리를 쏟아냈다. 좋은 추억을 만들러 온 이웃 나라 관광객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안긴 이번 사건을 계기로, 더 이상 음주운전 문제를 개인의 일탈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들끓고 있다.한국의 음주운전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는 일본 언론의 보도를 통해 더욱 명확히 드러난다. 일본 TBS, 아사히TV 등 주요 언론들은 이번 사건을 비중 있게 다루며 한국의 음주운전 실태를 집중 조명했다. 이들은 "한국의 연간 음주운전 사고 건수는 일본의 약 5배, 적발 건수는 인구 대비 6배 이상"이라며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했다. 특히 높은 재범률과 함께, 일본과 달리 운전자 외에 차량 제공자, 동승자, 주류 제공자를 처벌하는 조항이 없다는 점을 음주운전이 만연한 핵심 요인으로 분석했다. 이는 한국의 법적, 사회적 안전망이 음주운전이라는 범죄 앞에서 얼마나 허술하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객관적인 시선으로 증명한 셈이다.결국 이번 비극은 예견된 참사나 다름없다. 일본은 2006년 음주운전으로 어린 삼남매가 숨진 사건 이후 사회적 공분 속에서 법을 대대적으로 개정, 운전자뿐 아니라 관련자까지 강력히 처벌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당시 가해자는 징역 20년이라는 중형을 선고받았다. 이처럼 이웃 나라가 비극을 교훈 삼아 음주운전 근절을 위한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 것과 달리, 한국은 여전히 '술에 관대한' 문화와 솜방망이 처벌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지 못하고 있다. 드라마 속 아름다운 풍경을 꿈꾸며 한국을 찾았던 한 가족의 꿈을 산산조각 낸 이번 사건은, 더 이상 음주운전 처벌 강화를 미룰 수 없다는 사회 전체를 향한 비통한 경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