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비수도권 '외국인 마을' 7년 새 3배 폭증... 한국인 떠난 자리 외국인이 채운다

 전국적으로 외국인 집중거주지역이 급증하는 가운데, 특히 비수도권 지역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며 지역사회 지형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외국인 집중거주지역은 외국인 주민이 1만 명 이상이거나 전체 인구의 5% 이상을 차지하는 지역을 의미한다.

 

이민정책연구원이 22일 발표한 '통계를 통해 살펴본 외국인 주민 집중거주지역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외국인 집중거주지역은 127곳으로 전년(97곳)보다 31%나 증가했다. 이는 전국 229개 시군구 중 절반 이상이 외국인 집중거주지역으로 분류되었음을 의미한다.

 

행정안전부의 '지자체 외국인주민 현황' 자료에 의하면, 2023년 11월 기준 국내에 3개월 이상 거주한 외국인 주민은 246만 명으로, 이는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6년 이후 최대 규모다. 이러한 외국인 주민 증가가 집중거주지역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외국인 집중거주지역의 지리적 분포가 크게 변화했다는 것이다. 2016년에는 외국인 집중거주지역 65곳 중 63%(41곳)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었고, 비수도권은 37%(24곳)에 불과했다. 그러나 2023년에는 수도권은 48곳으로 소폭 증가한 반면, 비수도권은 79곳으로 급증했다. 이는 충청권과 경상권을 넘어 전라권 등 다양한 지역으로 외국인 주민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변화는 더욱 뚜렷하다. 전북은 1곳에서 10곳으로, 전남은 2곳에서 11곳으로, 충남은 3곳에서 13곳으로, 경북은 4곳에서 12곳으로 외국인 집중거주지역이 크게 늘었다. 또한 강원도와 대전시는 각각 3곳, 1곳이 새롭게 외국인 집중거주지역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외국인 주민 수 자체는 여전히 수도권이 압도적인 우위를 보이고 있다. 수도권 내 집중거주지역의 평균 외국인 주민 수는 2만7538명으로, 비수도권 평균(9391명)의 약 3배에 달한다. 이는 수도권의 외국인 밀집도가 여전히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진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지방자치단체들이 지방교부세 산정 시 외국인 주민 규모 반영 확대를 요구하는 등 외국인 주민의 사회적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있다"며 "외국인 주민 유입이 지역 경제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체계적인 연구 설계와 기초 자료 구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현상은 국내 인구구조와 지역사회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향후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방향과 자원 배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비수도권 지역에서의 외국인 집중거주지역 증가는 해당 지역의 경제, 문화,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과제와 기회를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상금만 1억 부커상, 심사위원 만장일치…'모두가 즐겁게 읽은 어두운 책'의 정체는?

 영국을 넘어 전 세계 영문학계의 시선이 집중된 최고 권위의 문학상, 부커상의 2025년 주인공이 마침내 가려졌다. 현지시간 10일 저녁, 런던 올드 빌링스게이트에서 열린 화려한 시상식에서 헝가리·캐나다계 영국 작가 데이비드 솔로이의 여섯 번째 장편소설 '플레시(Flesh)'가 올해의 수상작으로 호명되었다. '플레시'는 헝가리 출신의 한 청년이 수십 년의 세월 동안 헝가리의 낡은 주택 단지를 시작으로 이라크 전쟁의 참상을 거쳐 런던의 화려한 상류 사회에 이르기까지, 극적인 계급 이동을 겪는 과정을 밀도 높게 추적하는 소설이다. 작가는 주인공의 여정을 통해 개인의 내밀한 욕망과 선택이 거대한 사회 구조와 계급, 권력, 그리고 정체성의 문제와 어떻게 충돌하고 얽히는지를 집요하게 파고들었다는 평가를 받았다.이번 부커상 최종 후보 명단에는 한국계 미국인 작가 수전 최의 '플래시라이트(Flashlight)'가 포함되어 국내외 문학 팬들의 큰 기대를 모았으나, 아쉽게도 최종 수상의 영예는 '플레시'에게 돌아갔다. '플래시라이트'는 격동의 동아시아 현대사를 배경으로, 재일교포 남성 '석'과 그와 국경을 넘어 사랑에 빠진 미국인 아내 '앤', 그리고 그들의 딸 '루이자'에 이르기까지 3대에 걸친 가족의 수십 년 세월을 태평양을 넘나들며 그려낸 대서사시다. 한국인의 디아스포라와 정체성의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룬 작품으로 호평받았지만, 올해는 솔로이의 작품이 지닌 독특한 형식미와 주제 의식에 밀려 아쉽게 발걸음을 돌려야 했다.올해의 수상 작가 데이비드 솔로이는 캐나다에서 태어나 영국에서 성장했으며, 현재는 오스트리아 빈에 거주하는 등 경계인의 삶을 살아온 인물이다. 특히 명문 옥스퍼드대를 졸업하고 문단에 데뷔하기 전 금융 광고 영업 부문에서 일했던 독특한 이력은, 그의 작품 세계가 끊임없이 탐구해 온 '계급'과 '욕망'이라는 주제와 무관하지 않음을 짐작게 한다. 솔로이는 수상 소감에서 "이 책을 쓰는 과정은 결코 쉽지 않았고, 그 과정에서 겪는 압박에 현명하게 대처하지도 못했다"고 솔직하게 털어놓으며, "소설은 미학적, 형식적, 심지어 도덕적 위험까지 감수할 수 있는 장르이며, 우리 소설 공동체가 이러한 위험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문학의 실험 정신을 역설했다.심사위원단은 만장일치로 '플레시'를 수상작으로 결정했다고 밝혀, 작품이 지닌 압도적인 문학적 성취에 대한 강한 신뢰를 드러냈다. 아일랜드 작가 출신의 로디 도일 심사위원장은 "'플레시'는 분명 어두운 책이지만, 우리 심사위원 모두는 이 책을 즐겁게 읽었다"고 평하며, 극도로 간결한 문체와 의도적으로 활용된 문장 사이의 여백, 그리고 절제된 대화 등 기존의 소설 문법을 과감히 파괴한 작가의 독창적인 시도를 높이 평가했다. 이로써 데이비드 솔로이는 영문학 작가로서 최고의 영예와 함께 상금 5만 파운드(약 9,600만 원)를 거머쥐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