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단 며칠만!…30만원대로 떠나는 중앙아시아, '이 노선'은 티웨이 단독

 올겨울, 힐링과 낭만이 가득한 이색적인 여행지를 꿈꾼다면 중앙아시아의 '스탄' 국가로 눈을 돌려보는 것은 어떨까. 티웨이항공이 오는 30일까지 중앙아시아 노선을 대상으로 파격적인 특가 프로모션을 진행하며 여행객들의 마음을 설레게 하고 있다. 이번 프로모션은 인천에서 출발하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와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두 노선에 해당하며, 탑승 기간은 일부 성수기를 제외하고 내년 3월 28일까지로 넉넉하게 열려 있어 겨울부터 초봄까지 이어지는 특별한 여행을 계획할 수 있다. 낯설지만 신비로운 매력이 가득한 중앙아시아로 떠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열린 셈이다.

 

이번 프로모션의 핵심은 단연 파격적인 가격 혜택이다. 먼저 선착순 한정으로 판매되는 초특가 운임은 유류할증료와 공항세를 모두 포함한 1인 편도 총액 기준으로 인천~타슈켄트, 인천~비슈케크 노선 모두 31만 원대부터 시작한다. 만약 아쉽게 초특가 항공권을 놓쳤더라도 실망할 필요는 없다. 항공권 예매 시 할인 코드 'FLYNOV'를 입력하면 인천~타슈켄트 노선은 최대 12%, 인천~비슈케크 노선은 최대 10%의 추가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여기에 30만 원 이상 결제 시 즉시 사용 가능한 2만 원 할인 쿠폰까지 증정해 혜택을 극대화했다. 할인에 할인을 더하는 중복 혜택을 잘 활용하면 매우 합리적인 가격에 중앙아시아 여행을 준비할 수 있다.

 


약 7시간 30분의 비행 끝에 도착하는 두 도시는 각기 다른 매력으로 여행객을 맞이한다. 우즈베키스탄의 수도 타슈켄트는 다양한 문화와 시대가 공존하는 도시로, 아미르 티무르 광장, 하즈라티 이맘 모스크, 바라크 한 마드라사 등 화려하고 장엄한 이슬람 건축 유산을 둘러보며 시간 여행을 떠나는 듯한 기분을 만끽할 수 있다. 반면 '중앙아시아의 스위스'라 불리는 키르기스스탄의 수도 비슈케크는 이식쿨 호수, 스카즈카 협곡, 톈산산맥 등 압도적인 대자연 속에서 진정한 힐링을 경험할 수 있는 곳이다. 특히 인천~비슈케크 노선은 현재 대한민국 국적사 중 티웨이항공이 유일하게 운항하고 있어 그 특별함을 더한다.

 

여행 준비 또한 한결 수월하다. 대한민국 국적자라면 우즈베키스탄은 30일, 키르기스스탄은 60일까지 무비자 체류가 가능해 복잡한 비자 발급 절차 없이 자유로운 일정 계획을 세울 수 있다. 티웨이항공은 인천~타슈켄트 노선을 내년 3월 27일까지 주 2회(월, 금), 인천~키르기스스탄 노선은 내년 3월 28일까지 주 2회(화, 토) 운항하여 여행객들의 스케줄 선택 폭을 넓혔다. 티웨이항공 관계자는 이번 프로모션을 통해 많은 이들이 중앙아시아의 아름다운 정취 속에서 힐링 여행을 즐기길 바란다며, 편안하고 안전한 여행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맥도날드 가도 못 먹는다?” 미국서 저소득층 ‘소비 절벽’ 현실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세계적으로 물가가 치솟는 가운데, 최근 미국에서는 관세 영향까지 겹치며 소비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16일 로스앤젤레스(LA)타임스는 맥도날드, 델타항공, 주요 호텔 체인의 매출 실적과 연체율 자료를 분석해 미국 내 소비 동향의 변화를 조명했다. 분석 결과,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소비 패턴 차이가 갈수록 커지면서 양극화가 구조적으로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층의 매장 방문과 여행·숙박 이용이 줄어드는 반면, 고소득층의 소비는 오히려 증가하는 모습이 확인됐다.맥도날드의 2분기 실적이 소비 양극화 논란을 촉발했다. 맥도날드 2분기 매출은 68억4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5% 증가했지만, 주 고객층인 저소득층의 매장 방문은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였다. 반대로 고소득층 방문은 늘었고, 중산층 고객의 방문은 소폭 증가에 그쳤다. 이러한 현상은 메뉴 가격 인상과 무관치 않다. 2019년부터 2024년까지 맥도날드 메뉴 평균 가격은 약 40% 상승했다. 빅맥의 평균 가격은 4.39달러에서 5.29달러로, 10조각 맥너겟 세트 가격은 7.19달러에서 9.19달러로 뛰었다. 팬데믹으로 풀린 유동성이 물가를 밀어 올린 상황에서 관세 정책까지 겹치며 저소득층의 구매력은 크게 위축됐다.저소득층의 구매력이 감소한 또 다른 이유는 높은 금리와 주거비 부담이다. 신용점수 모델링 업체 밴티지스코어의 분석에 따르면, 연소득 4만5000달러 미만 가구의 60일 이상 연체율은 팬데믹 이후 급증했고 2022년 이후에도 하락하지 않았다. 또한 2023년 연 소득 3만 달러 미만 임차 가구의 주거비를 제외한 잔여 소득 중앙값은 월 250달러에 불과해, 2001년보다 55%나 감소했다. 높은 주거비와 금리로 인해 쪼그라든 저소득층의 구매력은 상대적으로 견조한 고소득층의 소비와 대조를 이루면서 양극화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항공과 숙박 업계에서도 비슷한 양극화가 나타났다. 델타항공의 2분기 일반석 매출은 전년 대비 5% 감소했지만, 프리미엄 좌석 판매는 같은 기간 5% 증가했다. 포시즌스, 리츠칼튼 등 고급 호텔 브랜드의 올해 매출은 최근까지 2.9% 늘어난 반면, 저가 호텔 매출은 3.1% 줄었다. 전반적으로 고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프리미엄 서비스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저소득층 소비는 위축된 상태를 이어가면서 미국 내 소비 양극화가 점점 구조화되고 있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