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뉴스

'2026년 의대증원 유예' 의견 제시한 한동훈에 거절한 대통령실

 국민의힘이 2026학년도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자고 제안했지만, 대통령실은 이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고위당정협의회에서 의대 정원 확대는 유지하되, 2026학년도 증원은 재검토하자고 제안했다.

 

당 관계자는 한 대표가 의정 갈등 해결을 위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결과 이 방안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대통령실은 이 제안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은 의대 정원 증원을 예정대로 추진한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고위 관계자는 의료 인력 수급 문제는 정부의 책임이며, 국회나 의료계와의 협상으로 결정할 사안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해당 관계자는 의대 증원은 데이터와 근거를 바탕으로 신중하게 결정된 사안이라며, 증원 규모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면 합리적인 근거가 제시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매년 2000명씩 의대 정원을 늘려 2035년까지 의사 인력을 1만 명 확충하겠다는 계획을 재확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슬그머니 사라진 사과 영상, 백종원의 '방송 중단' 약속은 없던 일로?

 더본코리아의 대표이자 방송인으로 대중에게 친숙한 백종원이 과거 자신의 발언을 담은 영상을 삭제하며 스스로 논란에 불을 지폈다. 24일 현재, 그의 개인 유튜브 채널에 지난 5월 게시되었던 방송 활동 중단 선언 및 사과 영상은 찾아볼 수 없는 상태다. 당시 그는 더본코리아의 주가 하락 사태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며 “현재 촬영 중인 프로그램을 제외하고 모든 방송 활동을 중단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이는 단순한 방송 중단 선언을 넘어, 위기에 직면한 기업의 수장으로서 주주들의 신뢰를 회복하고 사업에 전념하겠다는 약속의 의미를 담고 있었다. 하지만 불과 몇 달 만에 해당 영상이 아무런 설명 없이 사라지면서 그의 발언의 진정성에 대한 대중의 의구심이 증폭되고 있다.백종원이 내걸었던 ‘촬영 중인 프로그램 제외’라는 조건은 당시 넷플릭스 예능 ‘흑백요리사2’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되었다. 해당 프로그램은 그의 선언 시점 이전에 이미 주요 촬영을 마친 상태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방송 활동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지난 17일 첫 방송된 MBC의 새 예능 프로그램 ‘남극의 셰프’에 그가 버젓이 출연하고 있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약속의 진정성에 대한 논란은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이는 명백히 방송 중단을 선언한 이후에 대중에게 새롭게 공개된 활동이었기에, 일부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그가 ‘이미지 세탁’을 위해 잠시 몸을 사렸다가 슬그머니 복귀 수순을 밟는 것이 아니냐는 날 선 비판이 터져 나왔다.이러한 비판 여론에 기름을 부은 것은 다름 아닌 가맹점주들의 집단행동이었다. 전국가맹점주협의회를 비롯한 관련 단체들은 지난 11일, MBC 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남극의 셰프’ 방송 결정 철회를 강력히 촉구했다. 이들은 백종원 대표와 더본코리아를 둘러싼 여러 문제들이 실질적으로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그가 방송에 출연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방송을 강행할 경우 백종원의 출연 분량을 전면 삭제할 것을 요구했다. 이는 백종원을 둘러싼 논란이 단순한 연예인의 가십을 넘어, 여러 이해관계가 얽힌 사회적 문제로 비화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결국 백종원의 이번 영상 삭제 조치는 위기를 수습하기는커녕, 오히려 논란을 더욱 키우는 악수가 되었다. 대중과의 약속을 잊은 듯한 행보와 그에 대한 명확한 해명 부재는 그에게 등을 돌리는 여론을 가속화하고 있다. 가맹점주들의 절규와 시청자들의 싸늘한 시선 속에서 그가 본격적으로 방송 활동을 재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한때 ‘국민 멘토’로 불렸던 그의 신뢰도는 끝없이 추락하는 모양새다. 스스로 내뱉은 말을 뒤집고 과거의 흔적을 지우려는 듯한 그의 모습에 대중의 실망감은 분노로 바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