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생태체험과 자연보전의 아름다움 찾아 '광주 무등산 평촌명품마을'

 환경부가 반딧불이와 수달이 사는 아름다운 자연을 자랑하는 광주 무등산 평촌명품마을을 9월의 생태관광지로 선정했다.

 

평촌명품마을은 무등산 풍암천 상류에 위치한 4개 마을로 다양한 생태 체험과 자연환경 보전 노력을 통해 생태관광지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 마을에서는 '생태 숲길 걷기'와 '반디·두부밥상 체험' 등 관광객을 위한 여러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되어 지역의 자연환경을 보호하면서도 방문객들에게 지역 생태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마을에 흐르는 풍암천에는 1급 멸종위기 야생생물인 수달과 2급 멸종위기 야생생물인 남생이가 살고 있으며, 들녘에는 반딧불이와 풍년새우, 물자라 등 다양한 생물이 살고 있다. 

 

무등산 지역은 총 4천종 이상의 야생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보고이며, 특히 산 정상부의 주상절리대는 용암이 지상으로 분출된 뒤 냉각되며 형성된 독특한 지형으로 2018년에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된 바 있다. 

 

오는 9월에는 제15회 광주비엔날레가 개최되며, 광주를 방문하는 이들은 평촌명품마을을 비롯한 생태관광과 문화 예술 행사를 동시에 즐길 수 있다. 평촌명품마을과 광주 생태관광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환경부와 광주시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슬그머니 사라진 사과 영상, 백종원의 '방송 중단' 약속은 없던 일로?

 더본코리아의 대표이자 방송인으로 대중에게 친숙한 백종원이 과거 자신의 발언을 담은 영상을 삭제하며 스스로 논란에 불을 지폈다. 24일 현재, 그의 개인 유튜브 채널에 지난 5월 게시되었던 방송 활동 중단 선언 및 사과 영상은 찾아볼 수 없는 상태다. 당시 그는 더본코리아의 주가 하락 사태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며 “현재 촬영 중인 프로그램을 제외하고 모든 방송 활동을 중단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이는 단순한 방송 중단 선언을 넘어, 위기에 직면한 기업의 수장으로서 주주들의 신뢰를 회복하고 사업에 전념하겠다는 약속의 의미를 담고 있었다. 하지만 불과 몇 달 만에 해당 영상이 아무런 설명 없이 사라지면서 그의 발언의 진정성에 대한 대중의 의구심이 증폭되고 있다.백종원이 내걸었던 ‘촬영 중인 프로그램 제외’라는 조건은 당시 넷플릭스 예능 ‘흑백요리사2’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되었다. 해당 프로그램은 그의 선언 시점 이전에 이미 주요 촬영을 마친 상태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방송 활동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지난 17일 첫 방송된 MBC의 새 예능 프로그램 ‘남극의 셰프’에 그가 버젓이 출연하고 있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약속의 진정성에 대한 논란은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이는 명백히 방송 중단을 선언한 이후에 대중에게 새롭게 공개된 활동이었기에, 일부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그가 ‘이미지 세탁’을 위해 잠시 몸을 사렸다가 슬그머니 복귀 수순을 밟는 것이 아니냐는 날 선 비판이 터져 나왔다.이러한 비판 여론에 기름을 부은 것은 다름 아닌 가맹점주들의 집단행동이었다. 전국가맹점주협의회를 비롯한 관련 단체들은 지난 11일, MBC 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남극의 셰프’ 방송 결정 철회를 강력히 촉구했다. 이들은 백종원 대표와 더본코리아를 둘러싼 여러 문제들이 실질적으로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그가 방송에 출연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방송을 강행할 경우 백종원의 출연 분량을 전면 삭제할 것을 요구했다. 이는 백종원을 둘러싼 논란이 단순한 연예인의 가십을 넘어, 여러 이해관계가 얽힌 사회적 문제로 비화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결국 백종원의 이번 영상 삭제 조치는 위기를 수습하기는커녕, 오히려 논란을 더욱 키우는 악수가 되었다. 대중과의 약속을 잊은 듯한 행보와 그에 대한 명확한 해명 부재는 그에게 등을 돌리는 여론을 가속화하고 있다. 가맹점주들의 절규와 시청자들의 싸늘한 시선 속에서 그가 본격적으로 방송 활동을 재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한때 ‘국민 멘토’로 불렸던 그의 신뢰도는 끝없이 추락하는 모양새다. 스스로 내뱉은 말을 뒤집고 과거의 흔적을 지우려는 듯한 그의 모습에 대중의 실망감은 분노로 바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