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뉴스

'런치플레이션' 대비 뜨끈한 집밥 담을 '보온병' 어때요?

 고물가로 인해 점심 비용이 부담스러운 직장인과 따뜻한 한 끼가 필요한 학생들이 집밥 도시락을 이용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도시락 판매량도 증가하는 추세다. 

 

글로벌 보온병 브랜드 써모스는 '런치플레이션'의 영향으로 2023년 도시락 카테고리 매출이 전년 대비 15% 증가했다고 밝혔다.

 

소셜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LUCY 2.0에 따르면, 최근 1년간 '보온도시락'과 '직장인'의 언급량이 39.1% 증가했다. 써모스는 직장인과 운동 전 저녁 식사를 하는 소비자에게 '일체형 대용량 보온도시락'과 '플+스 반반 보온도시락'을 추천하고 있다.

 

'일체형 대용량 보온도시락'은 밥, 국, 반찬을 모두 담을 수 있으며, 스테인리스 재질로 뜨거운 음식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플+스 반반 보온도시락'은 플라스틱과 스테인리스 용기를 결합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댕댕이랑 찜질까지?…4개월 만에 '딴판' 된 진안 명물 호텔의 정체

 전라북도 진안군의 대표 숙박시설 '홍삼빌'이 4개월간의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마치고 완전히 새로운 모습으로 지난 24일 다시 문을 열었다. 이번 재개장은 단순한 시설 개선을 넘어, 최신 여행 트렌드를 전면적으로 수용하고 새로운 관광 수요를 창출하려는 진안군의 전략적인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인구 감소와 지역 경제 침체라는 지방 소도시의 공통된 위기 속에서, 홍삼빌은 숙박시설의 역할을 재정의하고 지역 관광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핵심 거점으로 거듭나겠다는 야심 찬 목표를 내세웠다. 이번 변신은 진안의 상징인 마이산과 홍삼이라는 기존 자원에 안주하지 않고, 능동적으로 관광객을 유치하려는 과감한 시도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펫 프랜들리(Pet-Friendly)' 호텔로의 전환이다. 천만 반려인 시대를 맞아 반려동물과 함께 여행을 즐기려는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땅한 숙박시설을 찾기 어려웠던 현실을 정면으로 파고든 전략이다. 홍삼빌은 각 층마다 반려동물과 함께 편안하게 묵을 수 있는 전용 객실을 마련하여 반려인들의 가장 큰 고민을 해결했다. 이는 단순히 동반 투숙을 허용하는 차원을 넘어,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여행이 진안 방문의 핵심적인 동기가 되도록 만들겠다는 의도다. 군은 이를 통해 새로운 고정 수요층을 확보하고, 이들이 지역에 더 오래 머물며 소비를 유도하는 '체류형 관광' 활성화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큰 기대를 걸고 있다.홍삼빌의 혁신은 반려동물 동반 정책에만 그치지 않는다.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특화 공간 조성 역시 이번 리모델링의 핵심이다. 1층 로비에는 일과 휴식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워케이션(Workation) 센터'를 새롭게 마련했다. 이는 원격 근무의 확산과 함께 새로운 관광 형태로 자리 잡은 워케이션 수요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호텔 야외에는 마이산의 수려한 풍광을 병풍처럼 두르고 즐길 수 있는 이색적인 핀란드식 사우나를 설치하여, 방문객에게 단순한 숙박을 넘어선 특별한 휴식과 재충전의 경험을 선사한다. 이러한 시도들은 홍삼빌이 잠만 자는 공간이 아닌, 그 자체로 하나의 즐길 거리이자 여행의 목적지가 되겠다는 비전을 명확히 보여준다.정환용 홍삼빌 총지배인은 "단순한 숙박시설을 넘어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하고, 마이산과 진안의 관광 가치를 한 단계 끌어올리는 거점 공간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며 강한 포부를 밝혔다. 진안군은 홍삼빌의 성공적인 재개장을 시작으로, 인근의 '진안홍삼스파' 역시 내부 수리를 거쳐 2026년 3월경 새롭게 문을 열 계획이다. 이는 홍삼빌의 변신이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진안군 전체의 관광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장기적인 청사진의 일부임을 시사한다. 낡은 시설을 개선하는 수준을 넘어, 시대의 흐름을 읽고 과감한 변신을 택한 홍삼빌이 침체된 지역 관광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성공 모델이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