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남자는 결혼 원하고 여자는 도망가는 시대... '솔로 천국' 대한민국의 비극

 최근 우리 사회에서 결혼에 대한 가치관이 크게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R테크 기업 인크루트가 직장인 653명을 대상으로 결혼 가치관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0.2%가 '결혼이 필수가 아니다'라고 답했다. 이는 과거 결혼을 인생의 필수 과정으로 여기던 전통적 가치관에서 크게 벗어난 결과로, 현대 직장인들의 달라진 결혼관을 여실히 보여준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직장 규모별로 결혼관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대기업 직장인의 43.8%가 결혼을 필수로 생각한다고 응답했으며, 중견기업은 40.0%, 중소기업은 38.7%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 규모가 클수록 결혼을 필수적인 삶의 과정으로 여기는 경향이 다소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고용 환경과 급여 체계를 갖춘 대기업 직원들이 결혼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성별에 따른 결혼관 차이는 더욱 극명하게 나타났다. 여성 직장인의 경우 무려 75.3%가 '결혼이 필수가 아니다'라고 응답했다. 이는 4명 중 3명의 여성 직장인이 결혼을 선택 사항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남성 직장인은 50.3%가 '결혼은 필수'라고 답해 여성과 남성 간의 결혼관 차이가 상당히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성별 간 인식 차이는 결혼 제도 내에서 여성이 경험하는 불평등과 부담, 경력 단절 등의 현실적인 문제가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독립성이 향상되면서 결혼을 통한 안정보다 개인의 자아실현과 커리어 성장을 더 중요시하는 가치관의 변화도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미혼 직장인들의 결혼 의향을 살펴보면, '결혼을 하고 싶다'는 응답이 66.6%, '하고 싶지 않다'는 응답이 33.4%로 나타났다. 아직 결혼하지 않은 직장인 중 3명 중 2명은 여전히 결혼에 대한 의향을 가지고 있지만, 3명 중 1명은 결혼 자체를 원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을 희망하는 미혼 직장인들이 꼽은 가장 큰 이유는 '정서적 안정'으로 57.5%를 차지했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결혼이 경제적 안정이나 사회적 의무보다는 정서적 파트너십으로서의 의미가 더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어서 '2세 출산에 대한 니즈'가 17.6%, '결혼을 꼭 해야 하는 것이라 생각해서'가 8.4%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2세 출산에 대한 니즈가 두 번째로 높은 이유로 꼽힌 점은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법적 혼인 관계 내에서의 출산을 선호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이 비율이 20%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점은 결혼과 출산을 별개의 문제로 인식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결혼을 원하지 않는 이들이 제시한 가장 큰 이유는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로 39.7%에 달했다. 이는 결혼이라는 제도 자체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확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경제적인 여유가 없어서'라는 응답이 23.7%로 두 번째를 차지했는데, 이는 주택 가격 상승, 고용 불안정, 양육비 부담 등 경제적 요인이 결혼 기피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마음에 드는 사람이 없어서'라는 응답도 17.6%를 차지했는데, 이는 개인의 취향과 기대치가 높아지면서 적합한 배우자를 찾는 것이 더욱 어려워졌다는 현실을 반영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단순히 결혼 적령기에 도달했다는 이유만으로 서둘러 결혼하기보다, 자신과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이 맞는 파트너를 찾는 경향이 강해졌다.

 

이번 조사 결과는 우리 사회에서 결혼이 더 이상 반드시 거쳐야 할 통과의례가 아닌, 개인의 선택 사항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특히 여성들 사이에서 이러한 인식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향후 혼인율과 출산율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결혼에 대한 가치관 변화는 단순히 개인의 선택 문제를 넘어, 주택 정책, 일-가정 양립 지원, 저출산 대책 등 다양한 사회 정책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정부와 기업은 변화하는 결혼관을 고려한 정책 수립과 근무 환경 개선에 더욱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맥도날드 가도 못 먹는다?” 미국서 저소득층 ‘소비 절벽’ 현실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세계적으로 물가가 치솟는 가운데, 최근 미국에서는 관세 영향까지 겹치며 소비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16일 로스앤젤레스(LA)타임스는 맥도날드, 델타항공, 주요 호텔 체인의 매출 실적과 연체율 자료를 분석해 미국 내 소비 동향의 변화를 조명했다. 분석 결과,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소비 패턴 차이가 갈수록 커지면서 양극화가 구조적으로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층의 매장 방문과 여행·숙박 이용이 줄어드는 반면, 고소득층의 소비는 오히려 증가하는 모습이 확인됐다.맥도날드의 2분기 실적이 소비 양극화 논란을 촉발했다. 맥도날드 2분기 매출은 68억4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5% 증가했지만, 주 고객층인 저소득층의 매장 방문은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였다. 반대로 고소득층 방문은 늘었고, 중산층 고객의 방문은 소폭 증가에 그쳤다. 이러한 현상은 메뉴 가격 인상과 무관치 않다. 2019년부터 2024년까지 맥도날드 메뉴 평균 가격은 약 40% 상승했다. 빅맥의 평균 가격은 4.39달러에서 5.29달러로, 10조각 맥너겟 세트 가격은 7.19달러에서 9.19달러로 뛰었다. 팬데믹으로 풀린 유동성이 물가를 밀어 올린 상황에서 관세 정책까지 겹치며 저소득층의 구매력은 크게 위축됐다.저소득층의 구매력이 감소한 또 다른 이유는 높은 금리와 주거비 부담이다. 신용점수 모델링 업체 밴티지스코어의 분석에 따르면, 연소득 4만5000달러 미만 가구의 60일 이상 연체율은 팬데믹 이후 급증했고 2022년 이후에도 하락하지 않았다. 또한 2023년 연 소득 3만 달러 미만 임차 가구의 주거비를 제외한 잔여 소득 중앙값은 월 250달러에 불과해, 2001년보다 55%나 감소했다. 높은 주거비와 금리로 인해 쪼그라든 저소득층의 구매력은 상대적으로 견조한 고소득층의 소비와 대조를 이루면서 양극화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항공과 숙박 업계에서도 비슷한 양극화가 나타났다. 델타항공의 2분기 일반석 매출은 전년 대비 5% 감소했지만, 프리미엄 좌석 판매는 같은 기간 5% 증가했다. 포시즌스, 리츠칼튼 등 고급 호텔 브랜드의 올해 매출은 최근까지 2.9% 늘어난 반면, 저가 호텔 매출은 3.1% 줄었다. 전반적으로 고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프리미엄 서비스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저소득층 소비는 위축된 상태를 이어가면서 미국 내 소비 양극화가 점점 구조화되고 있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