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화제

'정신적으로 쉽지 않았다' 이정후, MLB 첫 슬럼프에서 털어놓은 속마음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이정후가 마침내 부진의 터널에서 빛을 발견했다. 지난 3일(한국시간) 애리조나주 피닉스 체이스필드에서 열린 2025 메이저리그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벡스와의 경기에서 이정후는 5번 타자 중견수로 선발 출전해 3루타와 2루타를 포함한 5타수 3안타 1타점 2득점의 맹활약을 펼쳤다. 홈런 하나만 있었다면 사이클링히트를 완성할 수 있었던 인상적인 경기였다.

 

MLB닷컴은 이정후의 KBO 시절을 언급하며 "2017년부터 2023년까지 KBO리그에서 7시즌 연속 3할 타율을 넘겼던 선수가 최근에는 프로 커리어에서 겪었던 그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힘든 시간을 보냈다"고 전했다.

 

이날 경기 후 이정후는 자신의 심정을 솔직하게 털어놓았다. "정신적으로 쉽지 않았다"면서도 "하지만 알다시피 우리는 매일 경기를 한다. 경기가 안 좋더라도 내일 또 경기를 하러 들어가야 한다. 정신적으로 강해야만 했다"고 말했다.

 

이정후의 시즌 초반은 화려했다. 4월을 마쳤을 때 시즌 타율 0.324로 펄펄 날았고, 최고 타율은 0.360까지 올라 외야수 올스타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그러나 5월부터 급격한 하락세를 보였다. 5월 한 달 타율은 0.231에 그쳤고, 6월에는 더욱 악화되어 0.143까지 떨어졌다.

 

특히 최근 4경기에서는 14타수 무안타로 극심한 부진을 겪었고, 범위를 더 넓히면 26타수 2안타라는 처참한 성적을 기록했다. 이날 경기 전까지 시즌 타율은 0.240까지 하락한 상태였다.

 


MLB닷컴에 따르면 이정후는 강한 타구가 평소처럼 안타로 연결되지 않으면서 슬럼프가 시작됐다고 느꼈다. 이러한 불운의 연속이 정신적인 싸움으로 이어졌고, 지난 몇 주 동안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왔다고 한다.

 

디애슬래틱은 이정후의 슬럼프 극복 과정을 자세히 보도했다. "이정후는 최근 자신의 타석 영상을 반복 분석하며 문제점을 찾는 데 집중하고 있다. 특히 커브, 체인지업과 같은 변화구에 대한 대처 방식을 개선하고자 수차례 훈련을 반복하고 있다는 것이 구단 관계자의 설명이다. 또 타석에 들어가기 전 루틴을 간결하고 일관되게 유지하며 심리적 안정감을 되찾는 데도 집중하고 있다"며 "안심해도 된다. 곧 이정후에게 안타가 쏟아질 것"이라고 확신했다.

 

이번 3안타 경기를 통해 이정후의 시즌 타율은 0.240에서 0.246으로 소폭 상승했다. 이정후는 "오늘 경기를 시작으로 7, 8, 9월이 나에게 좋은 달이 되기를 바랄 뿐"이라며 "이제부터는 팀을 도와 보답하고 싶다"고 밝혔다.

 

밥 멜빈 샌프란시스코 감독 역시 "오늘 경기가 이정후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한국인 외야수의 반등을 기대했다.

 

120분 진행된 이재명 대통령 취임 첫 기자회견, 역대 최장 시간 기록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한 달 기자회견이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개최됐다. 이번 회견은 여러 면에서 이전 대통령들의 기자회견과 차별화된 특징을 보였다.회견은 의자에 앉은 수평적 구도와 사전 질문 협의 없는 '프리 스타일' 진행 방식으로, 문재인 전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자회견과 유사한 형태를 취했다. 다만 참석 기자 수는 문 전 대통령 때 250여 명보다 적은 150여 명이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주로 연단에 선 채로 회견을 진행했던 것과는 대조적이었다.이번 기자회견은 당초 100분으로 예정됐으나 약 120분간 진행되며 취임 첫 기자회견으로는 이례적으로 긴 시간 동안 이어졌다. 모두발언은 10분으로 압축하고 질의응답에 110분을 할애했다. 이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취임 첫 기자회견을 1시간도 채 진행하지 않았던 것과 대비된다.그러나 긴 회견 시간에 비해 질문 기회는 15명의 기자에게만 주어졌다. 기자 한 명당 질문과 답변에 평균 7분 이상 소요된 셈이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1시간 동안 15명, 윤석열 전 대통령은 32분간 12명의 질문을 받았던 것과 비교된다.이 대통령은 첫 질문에 17분 가까이 답변하는 등 일부 주제에 대해 상당히 긴 답변을 이어갔다. 반면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나 차별금지법과 같은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는 "곤란"하고 "예민"하다고 언급하면서도 답변을 회피하지 않았지만 상대적으로 짧게 답했다.이번 기자회견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대통령 뒤편에 설치된 미디어월을 통해 대통령실 출입을 하지 않는 '풀뿌리 지역언론' 기자들이 화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한 점이다. 권역별로 선정된 6개 풀뿌리 지역언론 기자 8명이 참여했고, 그중 옥천신문 기자가 질문 기회를 얻었다.질문 기회를 얻은 15명의 기자 중 지역신문 기자가 4명으로 역대 최다 비율을 차지했다. 통신사 3명, 외신과 경제지 기자가 각 2명씩 질문했으며, 10대 종합일간지와 지상파 방송, 보도채널 기자는 한 번도 질문하지 못했다는 점도 이례적이었다. 질문자 선정은 대통령 지목과 기자단 간사의 명함 추첨 방식을 혼합해 진행됐다.당초 국민사서함을 통해 받은 질문에도 답할 예정이었으나 시간 관계상 진행하지 못했으며,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추후 국민과의 대화 시간을 별도로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8월 여름휴가 중에 기자들과 자유롭게 만나는 시간을 갖고 싶다는 의사도 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