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화제

징계 받은 메시, 경기장 대신 콘서트장에서 포착... '역대 최고 선수' 환호 받다

 세계적인 축구 스타 리오넬 메시(38)와 그의 아내 안토넬라 로쿠소가 콜드플레이 콘서트장의 '키스캠'(Kiss Cam)에 포착되어 화제가 되고 있다. 이 장면은 콘서트장을 찾은 관객들과 온라인 팬들 사이에서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28일(현지시간) USA투데이와 ESPN 등 미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메시 부부는 전날 미국 마이애미 하드록 스타디움에서 열린 콜드플레이 콘서트를 관람하던 중 현장의 키스캠에 잡혀 대형 전광판에 모습이 비춰졌다. 이에 콜드플레이의 리드 보컬 크리스 마틴은 즉석에서 "리오, 내 아름다운 동생. 당신과 당신의 아내는 정말 좋아 보인다"라는 가사를 붙여 짧게 노래를 불렀다. 이어서 마틴은 "오늘 우리 밴드 공연을 보러 와줘서 고맙다. 역대 최고의 스포츠 선수"라며 메시에게 찬사를 보냈다.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진 메시였지만, 마틴의 말을 이해한 듯 활짝 웃으며 손을 흔들고 박수를 보내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콘서트장의 관객들은 "메시!"를 연호하며 그를 환영했다.

 

콘서트가 끝난 후, 메시는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아내와 세 아들과 함께 콘서트장에서 찍은 가족 사진들을 게시했다. 이 게시물은 불과 18시간 만에 '좋아요' 680만 개 이상을 받으며 팬들의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다.

 


현재 미국 메이저리그사커(MLS) 인터 마이애미에서 활약 중인 메시는 최근 올스타전 불참으로 인해 지난 26일 1경기 출전 금지 징계를 받은 바 있다. 이 시기에 가족과 함께 콘서트를 즐기는 모습이 포착된 것이다.

 

한편, 콜드플레이 콘서트의 명물로 자리잡은 키스캠은 공연 중 카메라로 객석의 커플을 비추고, 즉석에서 노래를 불러주는 등의 이벤트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 키스캠은 원래 주로 팬들 사이에서 유명했으나, 최근 미국에서 한 '불륜' 커플이 포착되면서 더욱 화제가 되었다.

 

지난 16일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열린 콜드플레이 콘서트에서는 키스캠에 서로를 안고 무대를 바라보는 한 중년 남녀의 모습이 잡혔는데, 전광판에서 자신들의 모습을 확인한 이 커플은 황급히 서로에게서 떨어져 얼굴을 숨기는 모습을 보였다. 이 장면을 담은 영상이 틱톡 등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급속히 확산되면서, 해당 남녀의 신원이 미국 IT기업 아스트로노머의 최고경영자(CEO) 앤디 바이런과 같은 회사의 최고인사책임자(CPO) 크리스틴 캐벗으로 밝혀졌다. 결국 이 사건 이후 며칠 만에 두 사람 모두 회사를 떠나는 사태로 이어졌다.

 

이처럼 콜드플레이의 키스캠은 메시 부부와 같은 유명 인사들의 달콤한 순간을 포착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예상치 못한 파장을 일으키는 양날의 검과 같은 존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트럼프 심판보다 '내 지갑'…민주당, '먹고사는 문제'로 선거판 뒤집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1년에 대한 민심의 향방을 가늠할 핵심 선거에서 민주당이 압승을 거두며 트럼프 대통령에게 뼈아픈 정치적 타격을 안겼다. 4일(현지시간) 치러진 버지니아와 뉴저지 주지사 선거, 그리고 뉴욕 시장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가 모두 승리한 것이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독단적인 국정 운영과 35일간 이어진 연방정부 셧다운 사태에 대한 유권자들의 준엄한 심판이 표심으로 드러난 결과로, 내년 중간선거의 전초전에서 민주당이 기선를 제압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경합주로 꼽혔던 버지니아에서는 민주당의 에비게일 스팬버거 전 연방 하원의원이 공화당 후보를 여유롭게 따돌리고 승리하며 4년 만에 주지사직을 탈환했다. 이로써 버지니아 역사상 첫 여성 주지사가 탄생했으며, 함께 치러진 부지사 선거에서는 미국 최초의 무슬림 여성 주정부 선출직 당선자가 나오는 등 민주당의 승리가 더욱 빛을 발했다. 전통적인 민주당 텃밭인 뉴저지에서도 마이키 셰릴 연방 하원의원이 트럼프의 지지를 받은 공화당 후보를 꺾고 주지사직 수성에 성공했다. 해군 헬기 조종사 출신의 셰릴과 CIA 근무 경력의 스팬버거 모두 당내 중도파로, 이들의 승리는 민주당이 중도층 표심을 공략하는 데 성공했음을 보여준다.이번 선거의 최대 이변은 미국 최대 도시 뉴욕에서 터져 나왔다. 자신을 '민주사회주의자'로 칭하는 34세의 인도계 무슬림, 조란 맘다니 후보가 뉴욕 시장에 당선된 것이다. 최저임금 인상, 버스 무상화 등 파격적인 진보 공약을 내건 그는 젊은 층의 열광적인 지지를 바탕으로, 민주당 경선 패배 후 무소속으로 출마한 앤드루 쿠오모 전 주지사와 공화당 후보의 추격을 뿌리쳤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까지 나서 '반(反) 맘다니 연합'을 시도했으나, 뉴욕 유권자들은 결국 급진적인 변화의 손을 들어주며 미국 정치 지형에 큰 충격을 안겼다.이번 선거 결과는 민주당의 선거 전략이 완벽하게 적중했음을 입증했다. 민주당은 '트럼프 심판론'을 전면에 내세우면서도, 유권자들의 실생활과 직결된 경제 문제에 집중하는 실용주의 노선을 택했다. 버지니아의 스팬버거 후보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물가 상승을 유발했다고 비판했고, 뉴저지의 셰릴 후보는 높은 전기요금 인하를 약속하며 표심을 파고들었다. 결국 '트럼프에 대한 분노'를 '먹고사는 문제'와 효과적으로 결합시킨 민주당의 전략이 승리를 이끌었으며, 이는 내년 11월 중간선거를 향한 민주당의 핵심적인 승리 공식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