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뉴스

약세 엔화의 반사이익... 돈키호테, 면세 매출만 4조원 노린다

 일본의 대표적인 디스카운트 스토어 체인 돈키호테를 운영하는 판 퍼시픽 인터내셔널 홀딩스가 2035년까지 250개의 신규 매장을 오픈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급증하고 있는 해외 관광객 수요에 대응하고 장기적인 매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전략이다.

 

블룸버그통신이 18일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판 퍼시픽은 주요 관광 경로를 따라 매장을 확장하고 외국인 고객을 대상으로 한 면세 판매를 강화할 예정이다. 회사는 2035년까지 면세 매출 4천억엔(약 3조7천543억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는데, 이는 지난해 기록한 사상 최대 실적인 약 1천742억엔(약 1조6천350억원)의 두 배가 넘는 금액이다.

 

이러한 확장 계획은 일본 정부의 관광 정책과도 맞물려 있다. 일본 정부는 2030년까지 연간 6천만명의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일본은 코로나19 이후 세계 관광 수요가 회복되고, 약세 엔화가 해외 관광객들에게 매력적인 쇼핑 환경을 제공하면서 사상 최대 방문객 기록을 연이어 갱신하고 있다.

 

돈키호테는 1980년 도쿄에서 첫 매장을 열었으며, 이후 잡화, 식품, 가전 등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생활용품점 체인으로 성장했다. 일본 젊은 층뿐만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들에게도 인기 있는 쇼핑 명소로 자리 잡았으며, 현재 일본 전역에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돈돈돈키'라는 브랜드명으로 해외 시장 진출을 확대하며 글로벌 브랜드로 발돋움하고 있다. 현재 미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홍콩 등 7개국에 매장을 운영 중이며, 국제적인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한국에서도 돈키호테의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달에는 GS25와 협력하여 더현대 백화점에서 한 달간 팝업스토어를 운영했다. 이 팝업스토어는 일본 현지 매장에서 인기 있는 식품과 생활용품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한국 소비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판 퍼시픽의 이번 확장 전략은 일본의 관광 산업 성장과 함께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약세 엔화로 인해 외국인 관광객들의 구매력이 높아진 상황에서, 면세 판매 강화는 회사의 매출 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돈키호테는 독특한 매장 구성과 다양한 상품 라인업으로 '보물찾기' 같은 쇼핑 경험을 제공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좁은 통로에 천장까지 빼곡히 채워진 상품들과 24시간 운영되는 매장은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일본 쇼핑 문화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독특한 쇼핑 경험은 온라인 쇼핑이 확대되는 시대에도 오프라인 매장의 경쟁력을 유지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한 놈은 해킹, 한 놈은 현금깡…KT 무단결제 사건, 두 중국교포의 완벽한 분업 범죄였다

 수도권 일대의 KT 이용자들을 불안에 떨게 했던 이른바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의 전모가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경찰의 끈질긴 추적 끝에, 이 사건의 핵심 용의자로 지목된 중국 국적의 남성 두 명이 마침내 덜미를 잡혔다.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과는 정보통신망법 위반(침해) 및 컴퓨터 등 사용 사기 혐의로 중국교포 40대 남성 A씨를, 그리고 컴퓨터 등 사용 사기 및 범죄수익 은닉규제법 위반 혐의로 또 다른 중국교포 40대 남성 B씨를 각각 체포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들의 검거로 인해, 수많은 피해자를 낳았던 신종 모바일 해킹 범죄의 실체가 마침내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되었다.경찰 조사에 따르면, 주범 A씨의 범행 수법은 대담하고 치밀했다. 그는 지난달 말부터 이달 초까지, 불법으로 들여온 소형 기지국 장비를 자신의 승합차에 설치한 뒤, 유동인구가 많은 수도권 특정 지역을 배회하며 범행 대상을 물색했다. 이 불법 기지국은 일종의 '가짜 중계기' 역할을 하며, 인근에 있는 KT 이용자들의 휴대전화 신호를 가로채는 방식으로 작동했다. 피해자들은 자신의 휴대전화가 정상적인 통신망이 아닌, 범죄에 노출된 해킹 장비에 연결되었다는 사실을 전혀 인지하지 못한 채 일상생활을 하고 있었다. A씨는 이렇게 확보한 휴대전화의 통제권을 이용해, 피해자들의 명의로 모바일 상품권을 대량 구매하거나 교통카드를 충전하는 등 소액결제를 무단으로 감행하며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공범 B씨의 역할은 이렇게 생성된 범죄 수익을 '세탁'하는 것이었다. 그는 A씨가 해킹을 통해 결제한 모바일 상품권 등을 즉시 되팔아 현금으로 바꾸는, 이른바 '현금화'를 담당했다. 한 명은 기술적으로 범죄를 실행하고, 다른 한 명은 그 수익을 추적이 어려운 현금으로 바꾸는 완벽한 분업 체계를 갖추고 있었던 것이다. 경찰은 이들의 범죄 행각을 포착한 뒤, 신원을 특정하고 검거를 위한 작전에 돌입했다. 지난 16일 오후 2시 3분경, 중국에 머물다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한국으로 다시 입국하던 A씨를 입국장에서 바로 체포하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불과 50분 뒤인 같은 날 오후 2시 53분경에는 서울시 영등포구에 은신해 있던 공범 B씨를 긴급체포하며, 이들 범죄 조직을 일망타진했다.경찰은 A씨가 해외를 오간 점과 B씨가 국내에 머물며 범죄 수익을 은닉해온 정황으로 미루어, 이들의 도주 및 증거인멸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두 사람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하고, 신병을 확보한 상태에서 구체적인 범행 동기와 정확한 피해 규모, 그리고 추가 공범의 존재 여부 등을 밝히기 위한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할 방침이다. 이번 사건은 이동하는 차량을 이용한 신종 해킹 수법이 실제로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큰 충격을 주고 있으며, 향후 수사 결과에 따라 더 큰 파장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