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故 김새론, 생전 결혼·낙태? 유튜버 폭로로 '진실게임' 점입가경

 연예기자 출신 유튜버 이진호 씨가 故 김새론 씨를 명예훼손한 혐의로 유족에게 고소당한 가운데, 김새론 씨가 생전 결혼과 낙태를 했다는 주장을 펼쳐 논란이 되고 있다. 이 씨의 주장에 대해 고인을 모독하는 행위라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이진호 씨는 지난 19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 '연예 뒤통령이진호'를 통해 김새론 씨가 지난 1월 소셜미디어에 웨딩 화보를 올렸을 당시, 이미 미국에서 남자친구와 결혼한 상태였다고 주장했다. 당시 김새론 씨 측은 "친구와 찍은 스냅 사진"이라며 결혼설을 부인했지만, 이 씨는 매니저 A씨와 김새론 씨로 추정되는 여성의 통화 녹취를 공개하며 반박했다.

 

이진호 씨는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고인의 녹취를 공개한다"는 명분을 내세우며, 1월 8일에 녹음된 통화 내용을 공개했다. 해당 통화에서 김새론 씨로 추정되는 여성은 웨딩 사진에 대해 "남자친구가 게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매니저 A씨가 결혼식을 올렸는지, 한국과 해외 중 어디에서 진행했는지 묻자, 여성은 "이미 결혼한 상태가 맞다. 해외에서 식을 올렸다"고 인정했다. 더불어 이 여성은 "(현재) 남자친구와 결혼할 생각은 없었지만, 원만하게 헤어지려던 중 임신 사실을 알게 되었다. 아이는 지웠다. 그 일 때문에 결혼을 결심하게 되었고, (남자친구로부터) 일종의 협박을 받았다"고 털어놓았다.

 


해당 여성은 남자친구에 대해 "그냥 뉴욕에서 대기업 다니는 일반인"이라고 소개했다. 이 씨는 해당 여성이 김새론 씨인지 정확히 확인되지 않았음에도, "현재 (김새론) 유가족분들은 4년 전 남자친구인 김수현 씨에 대해 대대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김새론 본인은 다른 남성과 결혼해 신혼 생활을 보내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씨의 주장에 대해 누리꾼들은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김새론 씨가 미성년자 시절부터 교제했다는 의혹을 받는 배우 김수현 씨 관련 내용과 이번 사건은 연관성이 없다는 지적이다. "'결혼', '낙태' 등의 프레임을 만들어 고인을 나쁜 여자 만들려는 거 아니냐. 고인 모독"이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김새론 씨 유족과 김수현 씨 측은 미성년자 시절의 교제 의혹, 7억 원에 달하는 변제 압박설 등을 놓고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이진호 씨의 폭로는 논란에 기름을 부은 격이 되었으며, 고인의 명예를 둘러싼 진실 게임은 더욱 격화될 전망이다.

 

트럼프 관세 폭탄 직전, 커버그, 메타 주식 1조 매각

 2025년 1분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여파로 뉴욕증시를 포함한 전 세계 주식시장이 큰 변동성을 겪은 가운데, 일부 기업 CEO들이 회사 주식을 대량 매도한 사실이 밝혀졌다. 이들 중 일부는 사전 신고된 매도 계획에 따라 주식을 매각했으며, 일부는 자선재단으로 주식을 전달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거래들은 주식 시장의 요동치는 상황 속에서 차익을 실현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블룸버그통신은 내부자 거래 분석업체인 워싱턴서비스의 데이터를 인용해, 올해 1분기 동안 미국 상장기업 내부자들이 총 3867명에 달하며, 이들이 매각한 주식 지분의 가치는 155억 달러(약 22조286억원)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매도자 수는 줄어든 반면, 매각한 주식의 총 가치가 크게 줄어든 것이다. 지난해 1분기에는 4702명이 매도했고, 총 매각액은 281억 달러에 달했다.가장 많은 주식을 매각한 인물은 마크 저커버그 메타플랫폼 CEO였다. 저커버그는 자신의 자선재단인 '챈 저커버그 이니셔티브(CZI)'를 통해 메타 주식 110만 주를 매각했다. 매각된 주식의 가치는 약 7억3300만 달러(1조400억원)에 달했다. 이 매각은 메타 주가가 600달러 이상에 달하던 1월에서 2월 초에 이루어졌다. 하지만 메타 주가는 2월 최고가를 기록한 이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 후 32% 이상 하락하면서, 매각 당시의 높은 가격과 비교할 때 상당한 차익을 실현한 셈이다.사프라 카츠 오라클 CEO도 1분기 동안 오라클 주식 380만 주를 매각해 7억500만 달러(약 1조40억원)의 가치를 확보했다. 카츠 CEO는 오라클의 주가가 180달러 이상을 기록한 1월에 주식을 매각했다. 그러나 그 이후 오라클 주가는 30% 이상 하락하며 128.62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카츠는 스톡옵션 만료 시점에 맞춰 주식을 행사하고 매도하는 방식으로 거래를 이어왔다.팔로알토 네트웍스의 니케시 아로라 CEO는 1분기 동안 4억3237만 달러(236만5186주)에 달하는 주식을 매각했다. 그는 매달 초마다 10b5-1 계획에 따라 스톡옵션을 행사하고 주식을 매도하고 있다. 올해 1분기 동안 이 CEO는 총 5억6500만 달러 이상의 매각액을 기록했으며, 스톡옵션 행사 비용은 1억 달러에 달한다. 그 외에도 베인캐피털의 맥스 드 그로웬 파트너는 클라우드 기업 뉴타닉스의 지분 555만 주를 매각해 4억980만 달러를 확보했으며,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CEO도 1분기 동안 2억3378만 달러에 해당하는 86만6361주를 매각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기업의 CEO들이 대규모 주식 매각을 진행하며, 일련의 매각은 기업 내부자들의 차익 실현을 위한 움직임으로 볼 수 있다.이와 같은 내부자 거래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큰 주목을 받는다. 업계 전문가들은 기업 경영진이 자사주를 매도하는 것을 부정적인 신호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한다. 특히, 경영진의 매도는 종종 회사의 향후 전망에 대한 우려를 반영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로 인한 불확실성이 글로벌 시장에 미친 영향을 감안할 때, 일부 기업 경영자들이 주식 매도에 나선 것은 시장 불안정성을 예상한 선제적 대응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글로벌 주식시장이 요동치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 억만장자들은 이를 오히려 주식 매수 기회로 보고 지분을 늘리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한편, 올해 1분기 동안 매도된 주식 지분의 총 가치는 155억 달러에 달했으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281억 달러에 비해 감소한 수치다. 이러한 추세는 시장 불확실성의 영향을 받았지만, 일부 내부자들이 여전히 시장 변동성 속에서 자사주를 매각하고 차익을 실현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