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교제살인 사건 증가 추세… 그러나 법적 정의와 통계는 부재

 2024년 3월부터 6월까지 발생한 교제살인 사건은 총 8건으로, 이에 숨진 피해자는 9명이다. 이는 평균적으로 열흘에 한 번씩 사건이 발생한 것을 의미한다. 

 

여성 인권 시민단체에 따르면, 지난해 '친밀한 관계의 남성 파트너'로부터 살해당한 여성은 최소 138명이며, 살인미수 사례는 최소 311건에 이른다고 한다. 언론에 보도된 사건만을 고려할 때라도, 이는 심각한 문제임을 시사한다.

 

교제폭력에 대한 공식적인 정의나 관련 통계는 현재까지도 부족하다. 여성가족부는 상담 전화 1366번으로 접수된 사례를 통해 문제의 심각성을 간접적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정부나 관련 기관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통계나 정책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경찰도 112를 통해 접수된 교제폭력 신고가 매우 높은 수준에 이르지만, 법적 정의가 없어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교제폭력에 대한 법적 규제가 없어서 관련 법과 정책 또한 미흡하다. 현재까지 교제폭력은 기존의 형법에서 폭행죄나 협박죄 등으로만 다루어지고 있으며, 피해자 보호와 처벌 강화에 대한 명확한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여전히 높다.

 

피해자들과 그 가족들은 법적 보호와 함께 예방책 강화를 촉구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이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국회와 관련 부처들이 모인 회의에서는 교제폭력 방지를 위한 교육과 홍보 강화를 논의하고 있으나, 여성가족부 관계자는 그 정도로 해결될 문제가 아님을 지적했다.

 

'영원한 화학물질'이 당신 몸속에 쌓이고 있다...전문가가 경고하는 치명적 주방용품

 일상에서 무심코 사용하는 주방용품들이 우리의 건강과 환경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중년 여성 건강과 피트니스 전문가 크리스 프레이태그는 특히 주의해야 할 주방용품들과 그 대안을 제시했다.가장 대표적인 유해 주방용품은 논스틱 프라이팬이다. 대부분의 논스틱 팬은 PFC 계열의 '영원한 화학물질'로 코팅되어 있어 고온에서 유해 가스를 방출할 수 있다. 이 물질은 체내에 축적되어 갑상선 문제, 호르몬 불균형, 심지어 암 발병과도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전문가들은 세라믹 코팅 팬이나 스테인리스, 무쇠 팬으로의 전환을 권장한다.플라스틱 커피 캡슐 역시 위험 요소로 지목된다. 고온에 노출될 경우 환경호르몬을 포함한 유해 화학물질이 방출될 수 있으며, 대부분 일회용으로 사용되어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프렌치프레스나 스테인리스 재질의 리필 캡슐, 또는 캡슐이 필요 없는 커피머신이 더 안전한 대안이다.플라스틱 밀폐용기도 주의가 필요하다. BPA-free 표시가 있는 제품이라도 플라스틱 자체의 화학물질이 전자레인지나 고온에서 음식에 스며들 수 있다. 유리나 스테인리스 소재의 밀폐용기가 더 안전한 선택이다.플라스틱 도마는 사용 중 흠집이 생기기 쉬우며, 이때 미세플라스틱이 음식에 혼입될 위험이 있다. 일부 제품에는 항균처리를 위해 트리클로산과 같은 화학성분이 포함되기도 한다. 자연 항균 효과가 있는 나무나 대나무 도마가 권장된다.플라스틱 조리도구 역시 열에 노출되면 변형되거나 유해물질을 방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나무, 스테인리스, 고급 실리콘 소재의 조리도구로 대체하는 것이 좋다.알루미늄 포일은 산성이나 염분이 높은 식품과 함께 사용할 경우 알루미늄 성분이 음식으로 이행될 수 있다. 특히 반복 사용 시 노출량이 누적될 수 있어, 베이킹 시에는 유산지나 실리콘 매트를, 음식 보관 시에는 유리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일회용 위생봉투와 지퍼백은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이며, 화학물질 유출 가능성도 있다. 실리콘 재질의 다회용 보관팩이나 벌집 밀랍랩 등이 대안으로 제시된다.플라스틱 생수병도 반복 사용하거나 고온에 노출될 경우 미세플라스틱이 물에 섞일 수 있어 위험하다. 유리병이나 스테인리스 텀블러, 대용량 유리병이 더 안전한 대체재로 활용될 수 있다.식기세척기용 주방 세제와 캡슐 세제에는 합성향료, 염료, 인산염 등 화학성분이 포함된 경우가 많아 식기에 잔류할 수 있다. 식물성 원료 기반의 친환경 제품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주방 세정제 역시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인공향료 등이 포함되어 실내 공기질을 악화시키고 호르몬 교란 가능성이 있다. 천연 성분의 안전한 세정제나 식초, 베이킹소다, 에센셜 오일 등을 활용한 자가제조 방식이 확산되고 있다.전문가들은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주방용품의 재질과 성분을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건강과 환경을 지키는 첫걸음"이라며 "작은 실천이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유의미한 변화를 이끌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