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뉴스

트럼프-푸틴 '비밀 통화' 30분만에 휴전 합의...

 미국, 러시아, 우크라이나 3국이 에너지 및 인프라 시설에 대한 상호 공격을 30일간 중단하는 부분적 휴전안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그러나 전면적인 휴전 합의에는 이르지 못한 채 제한적 성과에 그쳤다.

 

크렘린궁 발표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18일(현지 시각) 장시간 전화통화를 통해 이같은 합의에 도달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먼저 30일간 에너지와 인프라 시설에 대한 공격 중단을 제안했고, 푸틴 대통령은 이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며 즉시 러시아군에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공격 중단 명령을 내렸다.

 

주목할 점은 트럼프 대통령이 당초 '30일간 전면 휴전안'을 제안했으나, 푸틴 대통령이 이를 거부했다는 것이다. 푸틴은 휴전의 효과적인 통제 문제와 우크라이나의 동원 및 재무장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이유로 들었다. 결국 양측은 에너지 및 인프라 시설에 한정된 부분적 휴전안으로 타협했다.

 

백악관은 보도자료를 통해 두 정상이 에너지 및 인프라 분야 휴전 합의와 함께, '흑해 해상에서의 휴전 이행과 전면적 휴전 및 영구 평화에 관한 기술적인 협상'을 중동에서 즉시 시작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휴전 대상의 범위에 대해 미국과 러시아 간 해석 차이가 드러났다. 러시아측은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휴전'이라고 언급한 반면, 미국은 '에너지와 인프라에 대한 휴전'이라고 표현했다. 이는 러시아가 정유시설·송유관 등 에너지 관련 인프라만을 휴전 대상으로 보는 반면, 미국은 그 외의 다른 인프라 시설도 포함시키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통화 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SNS에 "매우 좋고 생산적인 통화였다"고 평가했으며, 크렘린궁도 "상세하고 솔직한 논의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번 합의에 대해 "에너지 및 인프라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자는 제안을 찬성한다. 러시아가 휴전 제안을 지킨다면 우리도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보증인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젤렌스키는 또한 미·러 정상 간 통화 내용의 세부 사항을 듣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과의 대화를 희망한다고 밝히며, "세부 사항을 받은 뒤 우리의 답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번 합의에는 여전히 불안 요소가 존재한다. 푸틴 대통령은 트럼프와의 통화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서방의 군사 및 정보 지원을 완전히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8일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회담 이후 일시 중단했다가 재개한 대우크라이나 무기 및 정보 지원의 중단을 강력히 요청했다.

 

이에 대해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리의 파트너들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 중단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며 지원이 계속되길 희망한다"고 반박했다. 이처럼 서방의 대우크라이나 지원 문제가 휴전안 합의의 주요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이번 합의는 2년 넘게 지속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미국의 중재로 이뤄낸 첫 가시적 성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전면적 휴전과는 거리가 먼 제한적 합의에 그쳤고, 휴전 범위에 대한 해석 차이와 서방의 대우크라이나 지원 문제 등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이 많아 실질적 평화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아빠와 딸 같다"…이정재·임지연, 18살 차이 로맨스 결국 '독' 됐나

 tvN 월화드라마 '얄미운 사랑'이 주연 배우 이정재와 임지연의 로맨스를 둘러싼 갑론을박으로 초반부터 흔들리고 있다. 국민 배우와 연예부 기자의 로맨틱 코미디라는 설정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의 18살이라는 상당한 나이 차이가 시청자들의 몰입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캐스팅 소식이 전해졌을 때부터 제기되었던 우려는 드라마가 베일을 벗은 후 더욱 거센 비판으로 이어지는 모양새다. 로맨스 장르의 성패를 좌우하는 '케미'가 나이 차이라는 현실적인 문제 앞에서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쏟아진다. 두 배우 모두 연기력으로는 정평이 나 있지만, 시청자들이 감정적으로 동화되기 어려운 로맨스 라인은 시작부터 삐걱거리고 있다.제작발표회 당시 이정재와 임지연은 나이 차이에 대한 우려를 일축하며 강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이정재는 "극복해야 할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고, 임지연 역시 "또래 배우보다 훨씬 편하다"며 호흡을 과시했다. 심지어 이정재는 "임지연이 나를 꽂아줬다"는 농담을 던지며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했다. 하지만 시청자들의 반응은 싸늘하기만 하다. 두 베테랑 배우의 노련한 코믹 연기는 합격점을 받았지만, 정작 로맨스 연기에서는 "삼촌과 조카 같다", "아빠와 딸처럼 보여 설레지 않는다"는 등 몰입이 어렵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배우들의 자신감과 실제 시청자들이 체감하는 감정선 사이에 큰 괴리가 발생한 것이다.논란은 단순히 두 배우의 나이 차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드라마의 억지스러운 전개와 촌스러운 연출 방식 또한 도마 위에 올랐다. 레드카펫에서 넘어져 속옷이 노출되는 등 과장된 코믹 설정은 시대착오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특히 임지연이 연기하는 여자 주인공 위정신 캐릭터에 대한 불호의 목소리가 높다. 명문대 출신 기자라는 설정이 무색하게, 사람을 밟고 도망치거나 병실에 무단으로 침입하고도 사과 한마디 없는 등 무례하고 민폐를 끼치는 행동으로 일관해 시청자들의 짜증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나이 차는 참고 보려 해도 여주 캐릭터가 너무 비호감이라 보기 힘들다"는 격한 반응까지 나올 정도로 캐릭터 설정의 실패가 드라마의 발목을 잡고 있다.작품을 향한 혹평은 고스란히 저조한 성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1회 시청률은 5.5%로 무난하게 출발했지만, 2회 만에 4%대로 주저앉으며 하락세를 보였다. 화제성 역시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 굿데이터코퍼레이션의 11월 1주 차 TV-OTT 통합 화제성 순위에서 10위권 밖으로 밀려났으며, 출연자 화제성 부문에서도 이정재만이 8위에 이름을 올렸을 뿐이다. 결국 '얄미운 사랑'의 부진은 코미디는 잡았을지 몰라도, 로맨스라는 핵심을 놓친 결과다. 이제 제작진은 배우들의 나이 차이라는 표면적인 문제를 넘어, 작품의 완성도 자체를 향한 시청자들의 날카로운 지적에 귀를 기울여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