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뉴스

120분 진행된 이재명 대통령 취임 첫 기자회견, 역대 최장 시간 기록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한 달 기자회견이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개최됐다. 이번 회견은 여러 면에서 이전 대통령들의 기자회견과 차별화된 특징을 보였다.

 

회견은 의자에 앉은 수평적 구도와 사전 질문 협의 없는 '프리 스타일' 진행 방식으로, 문재인 전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자회견과 유사한 형태를 취했다. 다만 참석 기자 수는 문 전 대통령 때 250여 명보다 적은 150여 명이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주로 연단에 선 채로 회견을 진행했던 것과는 대조적이었다.

 

이번 기자회견은 당초 100분으로 예정됐으나 약 120분간 진행되며 취임 첫 기자회견으로는 이례적으로 긴 시간 동안 이어졌다. 모두발언은 10분으로 압축하고 질의응답에 110분을 할애했다. 이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취임 첫 기자회견을 1시간도 채 진행하지 않았던 것과 대비된다.

 

그러나 긴 회견 시간에 비해 질문 기회는 15명의 기자에게만 주어졌다. 기자 한 명당 질문과 답변에 평균 7분 이상 소요된 셈이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1시간 동안 15명, 윤석열 전 대통령은 32분간 12명의 질문을 받았던 것과 비교된다.

 


이 대통령은 첫 질문에 17분 가까이 답변하는 등 일부 주제에 대해 상당히 긴 답변을 이어갔다. 반면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나 차별금지법과 같은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는 "곤란"하고 "예민"하다고 언급하면서도 답변을 회피하지 않았지만 상대적으로 짧게 답했다.

 

이번 기자회견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대통령 뒤편에 설치된 미디어월을 통해 대통령실 출입을 하지 않는 '풀뿌리 지역언론' 기자들이 화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한 점이다. 권역별로 선정된 6개 풀뿌리 지역언론 기자 8명이 참여했고, 그중 옥천신문 기자가 질문 기회를 얻었다.

 

질문 기회를 얻은 15명의 기자 중 지역신문 기자가 4명으로 역대 최다 비율을 차지했다. 통신사 3명, 외신과 경제지 기자가 각 2명씩 질문했으며, 10대 종합일간지와 지상파 방송, 보도채널 기자는 한 번도 질문하지 못했다는 점도 이례적이었다. 질문자 선정은 대통령 지목과 기자단 간사의 명함 추첨 방식을 혼합해 진행됐다.

 

당초 국민사서함을 통해 받은 질문에도 답할 예정이었으나 시간 관계상 진행하지 못했으며,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추후 국민과의 대화 시간을 별도로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8월 여름휴가 중에 기자들과 자유롭게 만나는 시간을 갖고 싶다는 의사도 표명했다.

 

19년 동안 벽을 파낸 남자의 충격적 진실... 교도소장도 몰랐던 '쇼생크의 비밀'

 절망적 상황에서도 마음 한구석에 남은 작은 희망이 우리를 다시 일으켜 세운다. 스티븐 킹은 희망의 본질을 집요하게 파헤친 작가다. 1947년 미국 메인주에서 태어난 그는 어린 시절 아버지를 잃고 힘든 나날을 보냈지만, 40년 넘게 500편이 넘는 작품을 쏟아내며 '이야기의 제왕'으로 우뚝 섰다.킹의 중편 '리타 헤이워드와 쇼생크 탈출'은 1982년 출간된 중편집 '사계'에 실린 작품으로, 봄·여름·가을·겨울이라는 테마로 묶인 네 작품 중 '봄'에 해당한다. 이 작품은 희망의 시작을 상징하며, 극한 상황에서 인간이 어떻게 자신을 지키고 선택하는지 탐구한다.원작을 영화로 옮긴 프랭크 다라본트 감독은 헝가리 난민의 아들로 프랑스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건너온 인물이다. 그는 소설을 읽고 확신에 차 영화 판권을 사들인 후, 8주간 각색해 대본을 완성했다. 이후 킹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그린마일'과 '미스트'도 연출하며 '킹 원작, 다라본트 각색 3부작'의 첫 작품으로 '쇼생크 탈출'을 세상에 내놓았다.영화와 소설 모두 '레드'의 내레이션을 통해 주인공 앤디 듀프레인의 이야기가 전개된다. 소설에서 레드는 아일랜드계 백인이지만, 영화에서는 모건 프리먼이 연기한 흑인으로 등장한다. 앤디는 유망한 은행원이었으나 아내와 불륜 상대를 살해했다는 누명을 쓰고 무기징역형을 선고받는다. 그가 수감된 쇼생크 교도소는 강력범들이 주로 수감된 '지옥'과도 같은 곳이다.앤디는 교도소 내 부패와 불의를 목격하면서도 좌절하지 않는다. 오히려 은행원 시절의 능력을 발휘해 교도관들의 세금 컨설팅에 나서며 조금은 편하게 수감 생활을 이어간다. 그러나 그는 안주하지 않고, 수감 기간 내내 탈옥 통로를 만들며 동료 죄수들에게 희망의 씨앗을 뿌린다.영화의 백미는 모차르트의 오페라 이중창이 교도소에 울려퍼지는 장면이다. 앤디가 교도소장 사무실에서 틀어준 '피가로의 결혼' 중 '편지의 이중창'은 죄수들에게 잠시나마 자유와 희망의 감정을 선사한다. 이 장면은 영화 전체의 복선이기도 하다. 오페라 속 두 여인이 권력자를 속여 자유를 얻으려 하듯, 앤디 역시 감옥이라는 거대한 권력의 벽을 교묘하게 이용해 탈출을 준비한다.앤디는 교도소 안에 도서관도 만든다. 6년 넘게 정부에 편지를 보내 예산을 요청하고 마침내 '브룩스 도서관'을 세운다. 이곳은 죄수들이 책을 읽고, 음악을 듣고, 세상과 연결되는 작은 창을 발견하는 공간이 된다. 그는 희망이 먼 미래의 기적이 아니라 오늘의 작은 실천에서 자란다는 사실을 온몸으로 증명한다.그러나 모두가 희망을 견디는 것은 아니다. 50년 가까이 복역한 브룩스는 가석방 후 자유에 적응하지 못하고 "브룩스가 여기 있었다"라는 쓸쓸한 문구를 남기고 스스로 생을 마감한다. 레드는 이를 두고 "이 벽이란 참 이상하다. 처음엔 미워하다가, 나중엔 익숙해지고, 결국엔 그 벽에 의지하게 된다"고 말한다.시간이 흘러 레드도 가석방되어 브룩스와 같은 상황에 처한다. 그는 한때 "희망은 위험한 것"이라며 마음에서 지워내려 했지만, 바깥세상에서 극심한 두려움과 무력감에 시달린다. 이때 그를 붙잡아준 것은 앤디가 남긴 희망의 메시지였다. 레드는 마침내 익숙함의 사슬을 끊고, 앤디가 남긴 약속의 장소로 향한다.앤디는 19년 동안 돌망치로 벽을 파내며 탈출을 준비했다. 폭풍우 치는 밤, 그는 벽을 뚫고 하수관을 타고 쇼생크 교도소를 탈출한다. 교도소장의 비자금을 인출하고, 비리 증거를 언론과 경찰에 넘긴 후 멕시코의 지와타네호에서 새 삶을 시작한다. 레드는 앤디의 초대를 받아 희망을 품고 국경을 넘어 그와 재회한다.'쇼생크 탈출'은 개봉 당시에는 큰 관심을 받지 못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그 존재감이 빛나는 명작으로 자리잡았다. 영화는 단순한 탈옥극이 아닌, 절망의 감옥에서 희망을 행동으로 옮긴 한 인간의 여정과 그 희망이 주변 사람들에게 전달되어 모두를 변화시키는 기적을 보여준다.희망은 언젠가 찾아올 대단한 기적이 아니라, 오늘 내가 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 절망의 벽 앞에서도, 우리는 매일의 작은 행동으로 스스로를 구원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작은 희망이, 언젠가 우리를 진정한 자유로 이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