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뉴스

"오해가 있었다"... 이재명-트럼프 정상회담 직전 40분간의 '위기 외교전' 전말

 한·미 정상회담을 불과 몇 시간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던진 '폭탄 발언'의 배후에 극우 성향의 마가(MAGA) 세력의 영향력이 작용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 직전 자신의 SNS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숙청이나 혁명(Purge or Revolution)이 일어난 것 같다"는 글을 게시해 한국 정부 당국을 긴장시켰다.

 

이 발언은 정상회담 시작 불과 3시간 전에 나왔으며, 이후 행정명령 서명식에서는 "한국 정부가 교회에 대한 압수수색을 하고 미군 기지에서 정보 수집을 했다고 들었다"고 추가 발언했다. 이는 최근 순직해병 특검팀의 여의도순복음교회 압수수색과 비상계엄 내란 의혹 특검팀의 오산 공군기지 내 중앙방공통제소 압수수색을 언급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로 인해 백악관 안팎에서는 정상회담 이상 기류설이 돌 정도로 상황이 심각했다.

 

다행히 정상회담에서 이 대통령이 "국회에서 임명한 특별검사가 사실 조사를 하고 있다"고 설명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오해가 있었다고 확신한다. 잘 해결될 것"이라고 답하며 일단락됐다. 그러나 이 발언이 미국 극우 세력의 주장과 일맥상통한다는 점에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마가(MAGA)는 2016년 트럼프가 내건 대선 캠페인 슬로건(Make America Great Again)에서 유래한 트럼프의 강경 지지층을 일컫는다. 특히 트럼프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알려진 '마가 인플루언서' 로라 루머는 이 대통령 당선 직후 자신의 SNS를 통해 "공산주의자들이 한국을 접수했다"고 언급하며 이재명 정부에 대한 반감을 직접적으로 드러낸 바 있다.

 


트럼프 집권 1기 시절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비서실장 출신인 프레드 플라이츠 미국우선주의정책연구소(AFPI) 부소장은 "트럼프 대통령은 윤 전 대통령이 정치적 이유로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는 보도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며 "실제로 일이 벌어졌다고 믿지 않아도 이는 중요한 이슈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의 발언 이후 마가 진영은 즉각적인 호응을 보였다. 미국보수연합에서 활동하며 정상회담 열흘 전 미 의회전문매체 더힐에 "이 대통령은 맹렬한 반미주의자"라고 기고한 고든 창 변호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SNS 영상 클립을 공유하며 "트럼프가 있는 그대로를 말하고 있다. 브라보!"라고 칭찬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오늘 이재명에게 상당한 압박을 가했다"며 "이제 우리 차례"라는 글을 게시하기도 했다.

 

한편, 위기 상황에서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인 와일스 실장과 40분간 면담을 통해 한국 정치 상황과 특검 수사에 대한 정확한 사실관계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다시 보고해줄 것을 요청하며 정상회담의 분위기를 호전시키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6개월째 빵값 폭주! 알고 보니 '이것' 때문?

 국민 간식 빵값이 심상치 않다. 무려 6개월 연속 고공행진을 이어가며 서민들의 장바구니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최근에는 유명 유튜버 슈카월드의 '990원 빵' 판매가 화제가 되면서, 과연 빵의 적정 가격은 얼마인지, 그리고 왜 한국의 빵값이 유독 비싼지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8월 빵 물가지수는 138.61(2020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6.5%나 상승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1.7%)의 3배를 훌쩍 넘는 수치다. SKT 통신 요금 인하 효과를 제외한 물가상승률(2.3%)과 비교해도 두 배 이상 높다. 빵 가격 상승률이 이처럼 가파른 것은 2023년 7월(8.6%) 이후 2년 1개월 만이다.빵값은 지난해 4월부터 11월까지는 1% 미만의 안정세를 보였으나, 12월 3.3%, 올해 1월 3.2%, 2월 4.9%로 오르더니 3월부터는 6개월 연속 6%대 상승률을 기록 중이다. 3월 6.3%로 급등한 이후 4~7월에는 각 6.4%를 유지했다.이러한 빵값 상승의 배경에는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다. 빵의 주재료인 밀가루 가격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영향으로 2023년 9월 작년 동월 대비 45.5%까지 치솟았다가 이후 안정세를 찾았지만, 여전히 전쟁 이전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여기에 달걀 가격은 지난 4월 이후 꾸준히 올라 8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8.0%나 뛰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작년 말부터 시작된 출고가 인상 누적과 주요 원재료 가격 상승, 인건비 부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한편, 슈카월드의 990원 빵은 소비자들에게 환영받았지만, 일부 자영업자들 사이에서는 "기존 빵집들이 과도한 이윤을 남기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됐다.실제로 국내 빵값은 주요 선진국에 비해 높은 수준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공주대 산학협력단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빵 소비자물가지수는 129로, 미국(125), 일본(120), 프랑스(118)보다 높았다. 100g당 평균 빵 가격 또한 한국(703원)이 프랑스(609원), 미국(588원), 호주(566원)보다 비쌌다.보고서에는 국내 베이커리 전문점의 수익성이 크게 향상되었다는 내용도 담겼다. 매출은 2020년 약 6조 240억원에서 2022년 약 7조 5천700억원으로 25.7% 증가한 반면,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천700억원에서 4천700억원으로 75.3%나 급증했다.양산빵 시장 역시 확대 추세다. 국내 양산빵 판매액은 2018년 2조 8천372억원에서 2022년 3조 9천589억원으로 연평균 8.7% 증가해, 전체 식품 국내 판매액 증가율(6.0%)을 상회했다. 특히 1kg당 생산 단가가 2020년 2천9원에서 2022년 4천534원으로 오르는 동안, 판매 단가는 2천485원에서 5천591원으로 뛰면서 생산 단가와의 격차가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보고서는 설탕·계란·우유 등 주요 원재료가 가공·유통되는 과정에서 시장 경쟁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구조적 문제가 있다고 분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양산빵 소매 시장에서 SPC삼립의 매출액 점유율이 80%에 달해 사실상 독점력이 존재할 가능성도 제기됐다.이에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4월부터 농심, 오리온, 롯데웰푸드 등 주요 식품업체를 대상으로 빵·과자류 출고가 인상 과정에서의 담합 여부를 조사 중이며, 6월에는 대한산란계협회의 계란 가격 담합 의혹에 대해서도 조사에 착수했다. 빵값 고공행진의 배경에 구조적인 문제와 담합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관계 당국의 철저한 조사를 통해 국민들의 부담을 덜어줄 해법이 마련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