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

이토 준지의 스릴·공포·상상력을 체험한다 '이토 준지 호러하우스'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공포만화 작가 이토 준지의 몰입형 체험전시 '이토 준지 호러하우스'가 열린다. 

 

이토 준지는 '토미에', '소이치의 저주일기' 등의 수 많은 공포 만화로 전 세계의 팬을 거느리는 작가이다. 그는 단순한 공포뿐만 아니라 독특한 상상력과 심리적 긴장감을 일으키며 전 세계 독자들을 매료시켜왔다. 

 

이번 전시는 그의 작품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에서도 그의 인기가 높은 만큼 관심을 모으고 있다.

 

체험존은 두 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있으며, '복수'와 '악'이라는 테마로 이토 준지의 대표작들을 체험할 수 있다. '복수' 구역에서는 '지붕 밑의 머리카락', '장서환영', '터널 괴담', '토미에: 사진', '견디기 힘든 미로' 등 다섯 작품을 통해 공포의 세계로 빠져들게 되며, '악' 구역에서는 '신음하는 배수관', '머리 없는 조각상', '소이치의 애완동물', '목매는 기구', '괴롭히는 아이' 등의 작품을 통해 섬뜩한 공포를 체험할 수 있다. 두 개의 체험존에서는 작품 속 캐릭터들을 라이브로 연기하는 배우들의 출연으로 현실감을 높이며, 관람객들은 마치 이야기 속에 들어간 듯한 느낌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원화존에서는 작가의 대표작 '우즈마키'의 원화를 감상할 수 있으며, 그동안 볼 수 없었던 소중한 자료들과 작품마다의 의미를 진솔하게 이야기하는 작가의 인터뷰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이외에도 특별 굿즈가 준비되어 있어 관람객들은 이토 준지의 세계를 더욱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전시는 14세 이상 관람 가능하며, 예매는 전시가 시작되기 하루 전인 6월 14일까지 예스24와 네이버를 통해 구입할 수 있다.

 

"시멘트 속에 여행 가방이..." 16년 만에 드러난 옥탑방의 끔찍한 비밀

 16년간 완전범죄를 꿈꾸며 묻어두었던 끔찍한 살인 행각의 전모가 법의 엄정한 심판을 받게 되었다. 경남 거제의 한 옥탑방에서 동거하던 여성을 살해한 59세 남성 김 씨에게 대법원이 징역 14년을 최종 확정했다. 사건은 200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피해자와 말다툼을 벌이다 격분한 김 씨는 돌이킬 수 없는 범행을 저질렀고, 자신의 죄를 영원히 감추기 위해 상상조차 하기 힘든 잔혹하고 치밀한 은닉을 시도했다. 그는 피해자의 시신을 여행용 가방에 담아 옥탑방 베란다로 옮긴 뒤, 그 위에 시멘트를 부어 누구도 의심하지 않을 평범한 구조물처럼 위장하는 대담함까지 보였다.김 씨의 완전범죄를 향한 집착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그는 범행 후에도 무려 8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시신이 암매장된 바로 그 집에서 태연하게 거주하며 일상을 이어갔다. 차가운 시멘트 아래 동거녀의 시신을 숨겨둔 채 하루하루를 살아온 그의 이중적인 삶은 영원히 지속될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세상에 영원한 비밀은 없었다. 16년의 세월이 흐른 지난해, 옥탑방의 누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장을 찾은 공사 작업자가 우연히 시멘트 구조물 속에서 시신이 담긴 여행용 가방을 발견하면서, 묻힐 뻔했던 진실이 마침내 세상 밖으로 드러나게 되었다.수사 과정에서 김 씨의 또 다른 범죄 사실도 밝혀졌다. 그는 상습적으로 필로폰을 투약해 온 것으로 드러나 마약류 관리법 위반 혐의로 추가 기소되었다. 1심 재판부는 김 씨의 살인 혐의에 대해 "범행의 수단과 방법이 매우 잔혹하고, 범행 후 시신을 유기하고 은폐하려 한 정황 등 죄책이 매우 무겁다"고 판단하여 징역 14년을 선고했다. 마약 혐의에 대해서도 징역 2년 6개월을 별도로 선고했다. 김 씨는 이에 불복하여 항소했지만, 항소심 재판부 역시 원심의 판단이 옳다고 보아 항소를 기각했으며, 대법원 또한 원심 판결을 그대로 확정하며 기나긴 법적 다툼에 마침표를 찍었다.이번 대법원의 최종 판결로 김 씨는 살인죄 14년과 마약 범죄 2년 6개월을 더해 총 16년 6개월의 징역형을 살게 되었다. 16년 전 한순간의 분노를 참지 못해 저지른 끔찍한 범죄와 그것을 은폐하기 위한 그의 비정한 노력은 결국 수포로 돌아갔고, 차가운 법의 심판대 위에서 죗값을 치르게 되었다. 한 남자의 뒤틀린 욕망이 빚어낸 비극은 우리 사회에 경종을 울리며, 아무리 완벽하게 숨기려 해도 진실은 언젠가 반드시 드러난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었다.